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전래동화"?, "창작동화"?, "우화"?...
2018년 01월 08일 00시 20분  조회:4845  추천:0  작성자: 죽림

전래동화란...?

신화·전설에서 발전하여 이루어진 동심(童心)이 기조(基調)가 된 이야기.
 

전래동화는 특히 민담 가운데 많으며, 공상·서정(抒情)·교양적인 요소가 이야기의 주축을 이룬다. 이러한 동화는 그 겨레의 생활·풍속·종교 등과도 깊은 관계가 있으며, 이야기를 좋아하는 어린이의 심정에 호소하여 전래동요와 같은 구비(口碑)의 방법으로 전하여 내려왔다.
인간과 비인간의 대화 및 비인간의 인간적 심리 등은 곧 전래동화의 세계로서, 인간적인 정서가 신(神)이나 나무나 동물을 가리지 않고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화는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구비동화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게 되면서 창작동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창작동화란...?

그냥 보통 사람들이 창작해서 만들어낸 동화라 할수 잇죠...

 

우화란...?

인간 이외의 동물 또는 식물에 인간의 생활감정을 부여하여 사람과 꼭 같이 행동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빚는 유머 속에 교훈을 나타내려고 하는 설화(說話).

 

 

그 의도하는 바는 이야기를 빌려 인간의 약점을 풍자하고 처세의 길을 암시하려는 데에 있다. 이를테면 이야기를 육체로 하고 도덕을 정신으로 하는 설화이다. 그러나 주인공이 일상 친근할 수 있는 한 마리의 새앙쥐이며 역시 한 마리의 까마귀이기 때문에 그들이 연출하는 기지와 유머에는 도덕적인 딱딱한 맛은 가셔지고 독자들을 흥미 속으로 이끌어 도의의 세계로 끌어들인다.

옛날부터 동물을 이용하여 인간사회를 풍자하는 방법은 적지 않지만 그런 경우 주인공인 동물들은 인간의 능력과 줄을 긋고 절대로 자기 본래의 영역을 넘지 못하는 데 비해 우화의 주인공들은 인간의 모든 기능을 구비한 인격으로서 자유스럽게 지껄이며 행동하는 것이 상례이다. 여기에 우화의 기교상 특색이 있는 것이다.

우화 작가로서 유명한 사람은 《이솝 이야기》의 작가로 알려진 이솝인데, 그야말로 시대적으로나 또는 작품의 우수성으로나 동물우화의 제1인자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757 [고향사람] - 조선족과 영화... 2019-10-26 0 3404
2756 [그것이 알고싶다] - 단성사와 "아리랑" 영화와 라(나)운규 2019-10-25 0 4243
2755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영화 100 2019-10-25 0 4318
2754 [그것이 알고싶다] - 한국 최초 영화와 단성사 2019-10-25 0 4165
2753 [고향사람] - 가야금과 "결혼한" 총각선생... 2019-10-25 0 3868
2752 [력사속에서] - 한국 최초의 영화관 - 단성사(團成社) 2019-10-24 0 5433
275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24 0 3956
2750 [그때그때] - "단성사" 100 = 한국영화 100 2019-10-24 0 3789
274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살되는 사과배선조나무 구합시다... 2019-10-24 0 3986
2748 [고향사람] - "중국 조선족의 주시경"... 2019-10-24 0 3572
2747 [고향시단] - 시인들의 명절 - "중국조선족시가절" 고고성... 2019-10-23 0 3575
2746 [그것이 알고싶다] - 돌배나무... 2019-10-17 0 5821
27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과배나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4240
274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6 0 3847
2743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공쿠르상"... 2019-10-15 0 4530
2742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3대 문학상 中 "맨부커상"... 2019-10-15 0 4047
2741 [세계문학] - "부커상" - 녀성시대... 2019-10-15 0 3750
2740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상은 어떻게 선정?... 2019-10-13 0 4094
2739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8... 2019-10-13 0 3757
2738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문학상 116... 2019-10-13 0 4451
2737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평화상" 력대 기록... 2019-10-13 0 3956
273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100 = "노벨평화상"... 2019-10-12 0 4644
2735 [그때그시절] - 졸라 졸라 졸라... 2019-10-12 0 3632
2734 [별의별] - "임신한 다이아몬드"... 2019-10-12 0 4007
2733 [별의별] - 38... 2019-10-12 0 3486
2732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678
2731 문자가 없으면 력사서도 전통 문학도 없다... 2019-10-11 0 3598
2730 한글 띄어쓰기는 외국인이 처음 도입했다?!... 2019-10-11 0 4593
2729 재밋는 한글 배우기 6... 2019-10-11 0 4543
2728 재밋는 한글 배우기 5... 2019-10-11 0 4408
2727 재밋는 한글 배우기 4... 2019-10-11 0 4942
2726 재밋는 한글 배우기 3... 2019-10-11 0 3488
2725 재밋는 한글 배우기 2... 2019-10-11 0 4015
2724 재밋는 한글 배우기... 2019-10-11 0 3844
272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한글보급", 남의 일이 아니다... 2019-10-11 0 3872
2722 [그것이 알고싶다] - 2018, 2019,노벨문학상 2019-10-10 0 4260
2721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상주본"은 어디에?... 2019-10-10 0 4074
2720 [그것이 알고싶다] - "訓民正音" 解例本 2019-10-10 0 4200
271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훈민정음 상주본"아, 너 보고싶다... 2019-10-10 0 3557
2718 [그것이 알고싶다]-"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언제면 해빛??? 2019-10-10 0 3688
‹처음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