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작문써클선생님께] - 일기를 어떻게 쓸가ㅠ...9
2018년 01월 06일 01시 35분  조회:4102  추천:0  작성자: 죽림
방학 중 일기 쓰기 8가지 지도법


 

기를 쓰는 것이 좋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특히 어린 시절부터 매일매일 일기를 쓰다 보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일기를 쓰면 하루의 생활을 반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사고력도 길러진다. 주위를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지고 관찰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다. 꼬박꼬박 쓴 일기가 오래 쌓이다 보면 그 자체가 한 사람의 역사가 되고, 추억거리가 된다.
전반적인 문장 능력은 물론 표현력, 문단 구성 능력이 길러져 논술 과외가 필요치 않을 정도의 글짓기 학습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또 아무리 짧은 일기라도 매일매일 쓴다는 것은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일을 꾸준하게 해내는 끈기와 성취감, 자신감까지 얻을 수 있다. 
그럼 이렇게 좋은 일기 쓰기를 아이들에겐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학습 효과 100% 일기 지도 방법
1. 띄어쓰기, 맞춤법에 너무 연연하지 않는다
흔히 하는 엄마들의 실수 중 하나가 아이들의 일기 내용보다는 맞춤법이나 띄어쓰기에 더 관심을 갖는 것. “글자가 왜 이렇게 많이 틀렸니?”, “글씨 좀 잘 써라” 하고 자꾸 지적하다 보면 아이들의 생각을 막아버리거나 띄어쓰기와 맞춤법에 대한 부담감으로 아이들이 일기 쓰기를 피할 수 있다. 일기를 문법 공부로 변질시키지 말고 아이가 자신에게 있었던 일과 그것에 대한 생각을 얼마나 자연스럽게 표현했는지에 신경 쓰도록 하자.
2. 커다란 사건보다는 일상의 작은 일을 골라 깊이 생각하도록 유도한다
사실 아이들의 생활이야 늘 비슷하고 특별한 일이나 커다란 사건은 가끔 생길 뿐이다. 아이들은 처음 일기를 쓸 땐, 거창하거나 특별한 일만을 쓰려고 하기 쉽다. 이렇게 일기에 무엇을 쓸까 고민할 때 늘 생활하면서 겪는 평범한 일 중에서 얘깃거리를 찾도록 유도해보자.
본 이미지는 링크 URL이 잘못 지정되어 표시되지 않습니다.
3. 일기 쓰기를 하루 일과의 마지막으로 삼지 않도록 지도한다
일기는 하루를 마감하는 밤에 써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아이들은 일찍 잠들게 마련이므로 이때쯤이면 피곤하고 졸린 시간. 그러다 보니 밤에 쓰는 일기가 좋을 리 없고 정성껏 쓰기도 힘들다. 따라서 저녁 식사 전에 일기를 쓰도록 습관을 들여준다.
4. 일기는 반성하는 글이라는 선입견을 버리자
엄마나 아이나 일기를 흔히 반성하는 글로 생각한다. 그래서 일기의 마지막에는 늘 ‘앞으로는 ~하지 말아야겠다’, ‘다음부터는 ~해야겠다’라는 문장이 보이게 마련. 하지만 형식적으로 그런 문장을 쓰다 보면 진정한 반성은 이루어지기 힘들다. 기뻤던 일을 썼다면 기쁘게, 슬픈 일을 썼다면 슬프게, 화났던 일은 화난 대로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만들어주자.
5. 초등학교 저학년은 일기에 제목을 붙여주면 더 쓰기 쉽다
아이들이 어릴수록 생각의 폭이 좁다 보니 일기 내용이 매일 비슷해지기 쉽다. 이때 일기를 그냥 쓰는 것보다 제목을 붙여 쓰도록 해주자. 제목을 정해주면 똑같은 일상생활도 날마다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에 아이들의 흥미 유발도 되고 더욱 생생하게 쓸 수 있어서 좋다.
6. 다양하게 쓸 수 있도록 도와준다
끼니마다 식단이 바뀌어야 여러 가지 음식을 맛있게 먹을 수 있듯 일기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영화나 연극을 봤을 땐 감상문으로, 동물원에 가서 동물들을 봤다면 동물들에 대한 관찰 기록문으로 쓰라는 식으로 자연스럽게 이끌어준다. 
그림일기를 쓰는 초등학교 저학년이라면 요일별로 일기를 다른 방법으로 써보도록 해주자. 가령 월요일엔 사인펜으로, 화요일엔 먹물로 화선지에, 수요일엔 크레파스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림일기를 쓰다 보면 아이들의 표현력도 풍부하게 기를 수 있다.
7. 엄마가 아이들에게 일기 쓰는 모습을 직접 보여준다
일기를 쓰게 할 때도 엄마나 아빠가 먼저 시범을 보여준다면 쓸데없는 잔소리 없이 그 시간 동안 자연스럽게 아이들이 일기를 쓸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셈이다.
8. 오늘 일기와 어제 일기를 비교하고 좋아진 점을 점수로 체크해준다
아이들의 일기에 점수를 매겨주자. 예를 들어 표현력이나 맞춤법, 생활태도가 어제보다 못했으면 -1점, 어제와 같으면 0점, 어제보다 나아졌으면 +1점을 주는 식으로 한다. 아이들은 경쟁의식이 강해 더 좋은 점수를 받으려 노력하기 때문에 빠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일기, 이렇게도 쓸 수 있다!
영어일기-영어 실력까지 향상
영어일기를 쓰면 자신의 하루 생활을 성찰하는 동시에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표현함으로써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처음엔 단순한 문장이라도 꾸준하게 쓰도록 시키고, 어느 정도 자신감이 생기면 자유로운 형식으로 영어 일기를 쓰도록 지도한다.
TV 시청일기-아이들이 즐겨 보는 TV를 통해 교육 효과 증진
우리가 매일 보는 TV는 우리 주변의 일상사가 소재이다. 따라서 자신이 즐겨 보는 TV 프로그램을 선정한 후, 아이들에게 내용면에서 좋은 점과 나쁜 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게 하고 아이 자신의 행동과 비교시켜본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TV를 시청하면서 자신이 고쳐야 할 행동 및 시청 시간에 대한 계획까지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프로그램은 자신이 스스로 선택하되, 하루에 1시간 정도만 볼 수 있도록 엄마가 제한한다.
만화일기-하루 중 기억나는 일을 재미있게 표현
아이가 그림을 좋아하거나 솜씨가 있다면, 하루 중 기억나는 일을 그림으로 표현하도록 해주자. 이때 단순한 그림보다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만화로 그려보게 하는 건 어떨까. 4컷, 6컷, 8컷 등 간단하게 만화로 표현하도록 해보자. 재미도 있을 뿐 아니라 한정된 칸에 효과적으로 상황을 표현해야 하므로 그림 실력이나 표현력이 늘게 마련이다.
여행일기-관찰력을 키워주고 추억도 만들어주고
가족들과 여행을 떠난다면 여행하면서 보고 들은 느낌과 생각을 일기로 쓰도록 가르쳐주자.이때 아이들이 여행지에서 본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그 지방의 특색, 생활 모습, 문화재 등을 잘 관찰하고 꼼꼼하게 기록하도록 시킨다. 이렇게 하다 보면 아이들의 사물에 대한 관찰력도 눈에 띄게 늘고 더불어 여행의 추억도 되새길 수 있어 좋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437 [연해문단] - 청도조선족문인들을 응원한다... 2018-08-24 0 4020
2436 [이런저런] - 시글벅적... 2018-08-24 0 5074
2435 [그것이 알고싶다] - "12간지(띠)" 유래?... 2018-08-23 0 5780
2434 [작문써클선생님께] - 아이들에게 설화와 추상화와 상상력과... 2018-08-23 0 3812
2433 [그것이 알고싶다] - "태풍 이름"과 순서?... 2018-08-23 0 5903
2432 [그것이 알고싶다] - "태풍의 이름"?... 2018-08-23 0 5341
2431 [이런저런] - 무서운 폭염으로 "72년전"이 드러나다... 2018-08-23 0 3753
2430 [이런저런] - 유언이 사실로... 2018-08-23 0 3921
2429 [록색평화주의者] - "리산가족상봉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22 0 4920
2428 [동네방네] - 로마에 가면 로마의 률을 따르라... 2018-08-21 0 4869
2427 [록색평화주의者] - 만남도 하루 빨리... 통일도 하루 빨리... 2018-08-21 0 4407
2426 [동네방네] - "세계, 국제 평화사절" 2018-08-21 0 3785
2425 [고향문단소식] - 두만강은 "꼬마시인"들을 부른다... 2018-08-21 0 4046
2424 [그것이 알고싶다] - 글쓰는 눔들의 "주의보"... 2018-08-21 0 4013
242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스포츠통일",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21 0 3693
2422 [그것이 알고싶다] - "기청제(祈晴祭)의 유래?... 2018-08-19 0 5493
2421 [그것이 알고싶다] - "기우제(祈雨祭)"의 유래?... 2018-08-19 0 6228
2420 [동네방네] - 고정관념을 깨버려야... 2018-08-13 0 5122
2419 [고향문단소식] - "문학상, 자체의 힘으로"... 2018-08-13 0 3350
2418 [이런저런] - "개보다 못하다"???와 "개보다 낫다"!!! 2018-08-13 0 5385
2417 [그것이 알고싶다] - "가리느냐 안 가리느냐"가 문제면 문제... 2018-08-11 0 5318
241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곰사육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10 0 4804
241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고래의 모성애",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10 0 4892
2414 "윤동주 이름에 먹칠 하지 말기를..." 2018-08-09 0 4223
2413 [문단소식] - 연변녀성문인협회에서 교감하다... 2018-08-08 0 3542
241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모성애",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08 0 4988
24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연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08 0 3841
2410 [고향소식] - 장백산기름개구리야, 어서 빨리 나와 놀쟈... 2018-08-08 0 3819
2409 [그것이 알고싶다] - 백두산은 지금?... 2018-08-08 0 3819
2408 [고향소식] - "황소는 내가 탄다"... 2018-08-06 0 3991
24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들이 문제냐, 인간들이 문제냐" 2018-08-06 0 5177
2406 [동네방네] - 8세 천재소년 2018-08-06 0 3793
240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후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06 0 4531
24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온실가스",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05 0 5585
2403 [록색평화주의者] - "백두산 호랑이 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04 0 5018
2402 [그것이 알고싶다] - 신비한 "얼음골" 2018-08-04 0 5110
240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들한테서 배우라... 2018-08-03 0 5088
2400 [동네방네] - 북방 연변 = "축구 고향" = 남방 매주 2018-08-02 0 3690
2399 [고향의 자랑] -연변 사과배 = 연변 사과배엿 2018-08-02 0 3300
23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산공동연구", 남의 일이 아니다... 2018-08-01 0 5471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