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솔숲은 늘 푸른데, 숲에 난 발자국은 모두 다르더라"...
2017년 12월 28일 23시 00분  조회:3331  추천:0  작성자: 죽림
교과서에 실리지 못한 정철 시조
(ZOGLO) 2017년12월27일 

[박종인- 땅의 歷史]
솔숲은 늘 푸른데, 숲에 난 발자국은 모두 다르더라
담양의 두 사내 송강 정철과 제봉 고경명

16세기 士禍의 시대… 가혹하게 정적 죽이던 잔인한 세월… 많은 선비들이 낙향
가사문학의 대가 정철… 아버지가 사화 연루돼 유배지 전전하며 성장
담양에서 스승들 만나 문학과 세상을 배워 조선 최고 문장가이자 냉혹한 정치가로 성장
같은 마을 친구 고경… 명나라 위해 의병 일으켜 두 아들과 함께 순국
구한말 두 후손은 무장투쟁으로 항일… 신교육으로 인재 길러
아흔 살 담양 사내 강일수 "저 들판이 황금이다"
 

박종인의 땅의 歷史
대나무가 많은 담양에는 인물도 많다. 인물이 많으니 사연도 많다. 사연 많은 인물만 추려도 글이 한 바가지이니, 비슷한 무렵 살았던 두 사람만 이야기한다.

정철이 살았다. 16세기 정적(政敵)들에게 공포를 안겨준 냉혹한 정치가요, 21세기 대입 수험생들을 공포에 몰아넣는 대문장가다. 정철의 친구 고경명도 담양에 살았다. 환갑 나이에 전쟁이 터지자 두 아들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가 죽었다.

같은 시대 같은 공간에 산 인물들인데, 누구는 냉혹한 정치가(政治家)가 되었고 누구는 목숨을 초개처럼 버린 의사(義士)가 되었다. 살아간, 죽어간 방법이 그리도 다르다. 같은 곳 같은 시대에 살았던 두 사람 이야기.

우리가 몰랐던 정철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시조집 '근화악부(槿花樂府)'에 귀양살이 중인 노인과 기생이 주고받는 시조가 나온다. 내용이, 끔찍하다. 현대어로는 민망하다. 그대로 읽고 짐작만 해본다.
 
이미지 크게보기
전남 담양에 있는 송강정. 정계에서 은퇴한 송강 정철이 살던 정자다. 조선 가사문학의 최고봉이라는 빛나는 얼굴 뒤에는 냉정하고 거침없는 정치가의 얼굴이 숨어 있다. /박종인 기자
'玉이 옥이라커늘/반옥(玉)만 너겨떠니/이제야 보아하니/진옥(眞玉)일시 젹실(的實)하다/내게 살송곳 잇던니/뚜러 볼가 하노라' 여자가 화답한다. '철(鐵)이 철(鐵)이라커늘/섭철(鐵·잡철)만 녀겨떠니/이제야 보아하니/정철(正鐵)일시 분명하다/내게 골풀무 잇던니/뇌겨 볼가 하노라'

'살송곳'으로 여자를 유혹하는 시인은 송강 정철이다. '골풀무'로 역공을 하는 시인은 그 송강이 귀양 시절 만난 기생 진옥이다. 이 시조는 당연히 고등학교 국어책에 실려 있지 않다.

그런데 정철에 관해 교과서에 실리지 않은 내용이 또 있다. 문헌을 본다. "선조(宣祖)가 문득 깨닫고 전교했다. '음흉한 성혼과 악독한 정철이 나의 어진 신하를 죽였다(兇渾毒澈殺我良臣).' 이 여덟 글자가 간사한 그들의 속마음을 갈파하기 넉넉하다."(이긍익, '연려실기술') 정철더러 악독하다고 평한 기록은 한두 건이 아니다. '선조는 정철을 강계로 유배시키고 간사한 정철(姦澈, 간철) 또는 독한 정철(毒澈, 독철)이라고 칭했다. 그 자손을 독종(毒種)이라고까지 했다.'(윤선도, '고산유고', 국시소(國是疏)) 바야흐로 16세기, 사화(士禍)의 시대였다.

조선의 흑역사, 사화(士禍) 시대

조선 건국 초기부터 권력을 잡은 개국공신들을 훈구파라 한다. 훈구파는 왕권과 타협과 견제를 주고받으며 국가 체제를 만들어간다. 9대 임금 성종 대에 종합 법전인 경국대전이 완성되고 국가 체제가 확립됐다. 이제, 비대해진 훈구파를 성종이 두고 볼 리 없었다. 성종은 조선 개국을 반대하며 은둔했던 지방 학자들을 대거 중용했다. 속칭 사림파다. 이 신흥 권력집단을 또 기성 권력자들이 두고 볼 리 없었다.

성종이 죽고 4년 뒤인 연산군 4년 무오사화(1498년)를 시작으로 갑자사화(1504년), 기묘사화(1519년, 중종 14년), 을사사화(1545년, 명종 즉위년)가 잇달아 터졌다. 기득권 집단인 훈구파가 갖은 핑계를 걸어 사림파를 숙청한 암흑시대다. 한 번도 아니고 네 번이나 이 같은 일이 터지자, 많은 이들이 벼슬을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사태가 심각했다.
 
이미지 크게보기
의병장 고경명의 후손 고정주가 살던 고택. 담양 창평 삼지내마을에 있다.
충청도 공주 주학제독관(州學提督官, 감영 학교 교장)에 임명된 조헌(趙憲)이 상소를 올렸다. '(사화로 말미암아) 성수침은 성시에 은거했고 성운은 보은에 은거했고 이황은 예안으로 물러났고, 서경덕은 화담에 은둔했고 조식과 이항은 바닷가에 정착했고 성제원은 해학으로 일생을 보전했고 이지함은 미치광이로 세상을 피했다. 모두 세상을 구제할 재목들이었으나 산골짜기에서 늙어 죽었다.'(1586년 선조수정실록 19년 10월 1일)

50년 권력투쟁에 연패한 사림파는 집단으로 처형되고 유배당했다. 그 가운데 정철 아버지 정유침이 있었다. 왕실과 사돈 관계라 잘나가던 정씨 집안이었다. 그런데 을사사화에 연루돼 가족이 함경도로 전라도로 경상도로 유배를 당했다. 큰아들은 곤장을 맞고 죽었다. 1551년 유배가 풀렸다. 정유첨은 전남 담양 창평으로 은둔했다. 정유침의 넷째 아들 정철 나이는 열다섯 살. 철들기 전부터 정철 인생은 꼬여 있었다.

창평에서 완성된 모순된 인격체

누이들이 왕실로 시집간 덕에 궁궐을 맘대로 드나들던 아이였다. 영민했으되, 어른들 권력투쟁으로 그 모든 걸 빼앗긴 정철이었다. 전(前) 나주 목사 김윤제가 정철을 알아보고 자기 정자 환벽당에서 글을 가르쳤다. 김윤제의 학문적 동지인 송순, 임억령, 양산보, 양응정, 김인후가 환벽당에 모여 아이를 함께 가르쳤다. 당대 최고 지성이 총동원돼 지혜와 지식을 쥐어짰다. 정철은 당대 지성의 완전체였다. 11년 뒤 정철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해 당당하게 중앙 정계에 진출했다.

그 완전체의 한 얼굴이 문학가 정철이다. 정철은 한학은 물론 16세기 유행한 언문 문학, 가사(歌辭)에 천재적인 재능을 보였다. 또 다른 얼굴은 무자비한 정치가 정철이다.
 
이미지 크게보기
정철과 동향인 고경명의 후손, 고정주가 구한말 인재를 기른 학교 상월정.
수험생을 괴롭히는 명작, 사미인곡(思美人曲)을 본다. '이 한 몸 생겨날 제 임 좇아 생겨나니/한평생 연분이며 하늘 모를 일이런가/나 하나 젊어 있고 임 하나 날 괴시니/이 마음 이 사랑 견줄 데 다시 없다/평생에 원하기를 함께 가자 하였더니/늙어서 무슨 일로 홀로 두고 그리는고/임이야 나인 줄 모르셔도 내 임 좇으려 하노라.'

21세기 민주공화정 언어로 옮겨본다. '날 때부터 각하를 따른 동지애는 하늘도 압니다. 청년 시절 각하께서 저를 총애하셨으니 그 마음 비할 데가 있겠습니까. 죽을 때까지 동지로 여기겠다 하셨거늘, 제가 연로하다고 하여 저를 은퇴시키는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각하께서는 모르셔도 저는 끝까지 각하와 함께하렵니다.' 낯 간지럽지 않은가.

1589년 임진왜란 직전 동인(東人) 정여립의 모반사건이 터졌다. 서인(西人) 영수였던 정철은 수사반장을 자임하며 동인 당원을 대거 숙청했다. 기축옥사라 한다. '임금이 정철에게 옥사를 다스리게 했다. 정철이 과격했던 동인은 죽이거나 귀양 보내니, 조정이 거의 비다시피 했다.'(이중환, 택리지 '복거총론-인심'편) 1000명 넘는 동인 선비들이 죽었다.

비겁한 권력자, 선조

동인 학살극인 기축옥사가 끝났다. 선조는 정철을 앞세워 비대한 집권여당을 정리했다. 옥사가 마무리될 무렵, '정철이 뜻이 다른 사람들을 없애고자 하였다'는 상소가 올라왔다. 선조는 그날로 공식문서 없이 비망록 한 장으로 정철을 강계로 유배시켰다.(1591년 선조수정실록 24년 5월 1일) 그가 한 말이 "악독한 정철이 나의 어진 신하를 죽였다(毒澈殺我良臣)"였으니, 아주 비겁한 토사구팽이다. 이러구러 한 여정 끝에 정철은 강화도 농가에서 굶어 죽었다.

정철의 친구, 고경명과 그 후손

정철과 같은 마을 창평에는 고경명이 살았다. 정철과 함께 식영정에서 스승 임억령으로부터 글을 배웠다. 고경명은 정철보다 세 살 위다. 1591년 동래부사를 끝으로 정계에서 은퇴하고 고향 창평으로 은둔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터졌다. 선조가 중국으로 달아났다는 소식이 담양까지 날아왔다. 각지에서 도주한 관군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다. 혼자가 아니었다. 큰아들 종후와 둘째아들 인후가 선봉장이었다. 담양에 육천 의병이 일어났다. 7월 10일 충청도 금산에서 의병-관군 연합군은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일본군은 관군을 먼저 공격했다. 관군이 패배했다. 이에 의병군 또한 전의를 상실했으나 고경명은 끝까지 전투를 지휘했다. 그날 고경명이 전사했다. 둘째아들 인후도 함께 죽었다. 첫째아들 종후는 아버지와 동생의 복수를 위해 다시 군사를 일으켰다. 복수의병장이라 불린 고종후는 진주성 2차 전투에 참전해 전사했다. 세 사람은 훗날 불천위(不遷位), 영원토록 제사를 지내는 지위를 나라로부터 받았다.
 
이미지 크게보기
정철이 어린 시절 최고 지성들로부터 교육을 받았던 환벽당.
세월이 흘렀다. 300년 뒤 일본이 다시 조선을 침략했다. 1895년 고종 왕비 민씨가 일본 외교관과 깡패 집단에 살해됐다. 고경명의 후손 고광순이 의병을 일으켰다. 고광순은 1907년 구례 연곡사에서 의병 훈련 도중 일본군 포격에 전사했다.

역시 창평에 살던 만석지기 후손 고정주는 학교를 세웠다. 영어를 가르치고 일본어를 가르치고 수학을 가르쳤다. 고씨 문중 산속 상월정(上月亭)에 영학숙을 세웠다. 학생이 불어나자 창흥의숙으로 확대했다. 그 후신이 창평초등학교다.

군량미가 떨어지면 고광순은 한 마을에 사는 고정주 집 마당에서 쌀을 훔치곤 했다. 무장투쟁과 신교육으로 노선은 달랐지만, 고정주는 고광순을 존경했고 고광순은 고정주를 존경했다.

도사 전우치와 황금리

기록에 따르면, 사화의 시대를 살았던 도사 전우치는 실존 인물이다. 실학자 이덕무는 전우치를 담양사람이라고 했다.(청장관전서) 담양 어딘가에 황금대들보를 묻었다고 했다.(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금을 묻은 들판을 사람들은 황금리라 불렀다.

황금리 노인 강일수(91)는 오른손 세 손가락이 없다. "경운기가 먹어버렸다"고 했다. 백 년에서 10년 빠지는 세월, 함경북도 청진 일본제철소에서도 일했고 중국에서도 일했다. 6·25전쟁 때 인민군에게 잡혔다가 풀려나 "오해받기 싫어서" 국군에 자원입대도 했다. 인민군 포로 시절 배웠던 이발 기술로 국군들 머리 깎아주며 지냈다.

마을 한가운데에는 벼락을 네 번이나 맞은 팽나무가 서 있다. 한눈에 봐도 다 산 듯 보이는 팽나무 아래에 전우치가 황금대들보를 묻었다고 마을 사람들은 믿었다. 그런데 사람들은 땅을 파헤치는 대신 경운기에 손가락 먹여가며 농사를 짓는다. 손가락 몇 개 부족한 강일수가 말했다. "하우스 농사로 수확하는 방울토마토가 우리한테 황금이다." 정철의 황금, 고경명과 그 후손의 황금, 그리고 백 년을 살아온 노인의 황금. 무엇을 택할 것인가.

///조선일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0 [시문학소사전] - "블랙리스트"이란?... 2017-01-01 0 4052
89 시인은 모든 리익과 다툼에서 손해보는 사람이다... 2016-12-31 0 3430
88 문학과 비평은 쌍두마차... 2016-12-31 0 2514
87 여보게 친구,분위기가 얼쑤인데 한잔 안할수가 없잖은가... 2016-12-31 0 3179
86 술과 시와 삶은 잘 삭혀야 제맛!~~~ 2016-12-31 0 2475
8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학생들께 론문쓰는법 가르치자 2016-12-31 0 2727
84 "전설의 편집자", 53, 그리고 외길 인생 2016-12-31 0 3015
83 안중근 유묵 106년만에 해빛 보다... 2016-12-30 0 3134
8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뜻뜨미지근", "뜨뜻미지근" 2016-12-30 0 2673
8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임대"냐? "임차"냐?... 2016-12-30 0 2585
8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우리말 애정 표현은?... 2016-12-30 0 2695
79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달이다", "다리다","졸이다", "조리다" 2016-12-30 0 2933
7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치어"를 쓸때, "치여"를 쓸때... 2016-12-30 0 2739
77 소리로 날려 보내던 생각을 그 소리를 붙잡아 시로 남기기... 2016-12-29 0 2284
76 세기의 혁신가 10인 2016-12-29 0 2866
75 [시문학소사전] - 추상표현주의란?... 2016-12-29 0 2826
74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작문평정과 평어쓰기 2016-12-28 0 2623
73 시는 추상적관능과 비평정신을 고도의 음악성과 결부해야... 2016-12-28 0 2728
72 말안장에서 용사를 가려내고 달빛아래에서 미인을 보다... 2016-12-28 0 2658
71 시를 쓴다는것은 인생의 마지막역을 잘 인테리한다는것... 2016-12-27 0 2861
70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속에서 구하라... 2016-12-27 0 2719
6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소나무와 첫락엽 2016-12-27 0 2244
68 [시문학소사전] - "퓨전"이란?... 2016-12-27 0 2810
67 시의 건초더미에서 겨우겨우 찾을수 있을가말가 하는 시를 쓰라... 2016-12-26 0 2569
66 시인이 시 한수를 빵으로 바꿀수 있을까?... 2016-12-26 0 2576
65 술, 가슴에서 터져나오는 시, 머리에서 짜여져 나오는 시... 2016-12-26 0 2693
64 대만 현대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2-26 0 2902
63 대만 녀성시인 - 수샤오리엔 2016-12-26 0 2623
62 리백 음주시 관련하여 2016-12-25 0 2590
61 로신과 겨레의 문인들 2016-12-25 0 2712
60 李陸史는 魯迅을 만나 보았을까? 2016-12-25 0 2738
59 력사, 문학, 그리고 미래... 2016-12-25 0 2770
58 영웅이 없는 시대에 그저 하나의 사람이 되고싶을 뿐... 2016-12-25 0 3093
57 몽롱시와 그 "찬란한 빛" 2016-12-25 0 2451
56 시는 최소한의 언어로 최대한의 세계를 담아야... 2016-12-25 0 2638
55 진정으로 뛰여난 담시(譚詩) 한수라도 보고지고... 2016-12-23 0 2607
54 시인은 정화가 된 "저체온의 성스러운 언어"로 시를 써야... 2016-12-22 0 2772
53 시인, 석류, 그리고 파렬, 분출, 문여는 소리... 2016-12-22 0 2707
52 [쉼터] - 작문써클선생님들께; 마구잡이로 쓰는 "~의 대하여" 2016-12-22 0 2529
51 "종소리를 더 멀리 보내기"+"혼자만 잘 살믄 무슨 재민겨"... 2016-12-22 0 2421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