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이런저런] - 中, 朝, 韓 세집에서의 "조선말통일안" 나와야...
2017년 12월 20일 01시 16분  조회:5832  추천:0  작성자: 죽림

조선말규범집(朝鮮말規範集)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의 현행 한국어 맞춤법이다. 조선말규범집은 조선어 철자법(1954년 제정)을 개정한 것으로 1966년 6월에 북한 국어사정위원회에서 제정되었으며 현행 북한 맞춤법은 1987년 5월 15일에 이를 개정한 것이다. 여기서는 ‘문화어발음법’을 제외한 1987년 개정판에 관해 대한민국(이하 ‘한국’이라 함)의 현행 맞춤법인 한글 맞춤법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구성[편집]

조선말규범집은 ‘맞춤법’(총칙, 7장 26항), ‘띄여쓰기’(총칙, 5장 22항), ‘문장부호법’(총칙, 20항), ‘문화어발음법’(10장 31항), ‘내려쓰기’ 다섯 부문으로 구성된다. 장 구성은 아래와 같다(맞춤법과 띄어쓰기는 원문대로임).
맞춤법
총칙

    • 제1장  조선어자모의 차례와 그 이름
    • 제2장  형태부의 적기
    • 제3장  말줄기와 토의 적기
    • 제4장  합친말의 적기
    • 제5장  앞붙이와 말뿌리의 적기
    • 제6장  말뿌리와 뒤붙이(또는 일부 토)의 적기
    • 제7장  한자말의 적기
  • 띄여쓰기
  • 총칙
    • 제1장  명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 제2장  수사, 대명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 제3장  동사, 형용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 제4장  관형사, 부사, 감동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 제5장  특수한 말, 특수한 어울림에서의 띄여쓰기
  • 문장부호법
  • 총칙
    • (각론 제1항~제20항)
  • 문화어발음법
  • 총칙
    • 제1장  모음의 발음
    • 제2장  첫 소리 자음의 발음
    • 제3장  받침자모와 관련한 발음
    • 제4장  받침의 이어내기현상과 관련한 발음
    • 제5장  받침의 끊어내기현상과 관련한 발음
    • 제6장  된소리현상과 관련한 발음
    • 제7장  ≪ㅎ≫과 어울린 거센소리되기현상과 관련한 발음
    • 제8장  닮기현상이 일어날 때의 발음
    • 제9장  사이소리현상과 관련한 발음
    • 제10장  약화 또는 빠지기 현상과 관련한 발음
  • 내려쓰기

맞춤법[편집]

북한에서 ‘맞춤법’이라는 용어는 한국에서처럼 표기법 전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띄어쓰기를 제외한 글자의 적기에 한정해서 사용된다. 총칙에서는 “조선말맞춤법은 단어에서 뜻을 가지는 매개 부분을 언제나 같게 적는 원칙을 기본으로 하면서 일부 경우 소리나는대로 적거나 관습을 따르는 것을 허용한다.”라고 규정되어 있다. 이 규정은 형태주의 원칙에 따라 적는 것을 밝힌 것으로 한국의 한글 맞춤법과 동일한 원칙이다.

아래에 한글 맞춤법과의 차이점을 정리해 본다.

어미의 표기[편집]

어미에서 ‘ㄹ’ 받침 바로 뒤에 된소리가 올 경우 예사소리로 적는다(제6항). 유사한 규정은 한국에도 있으나(한글 맞춤법 제53항), 한국에서는‘-ㄹ까, -ㄹ꼬, -ㅂ니까/-습니까, -리까, -ㄹ쏘냐’는 된소리로 적기로 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ㅂ니까/-습니까, -리까’는 한국과 같은 형태로 적지만 ‘-ㄹ까, -ㄹ꼬, -ㄹ쏘냐’는 ‘-ㄹ가, -ㄹ고, -ㄹ소냐’로 적는다.

용언의 ‘-아/-어’형에서 어간 끝소리가 ‘ㅣ, ㅐ, ㅔ, ㅚ, ㅟ, ㅢ’인 경우에는‘-여’를 붙인다(제11항). 마찬가지로 용언의 ‘-아/-어’형에서 파생된 부사도 이를 따른다. 이 규정은 1930년에 조선총독부가 정한 ‘언문 철자법’의 규정과 동일하다.

용언의 ‘-아/-어’형 : 기여, 개여, 베여, 되여, 쥐여, 희여

  • 용언의 ‘-아/-어’형에서 파생된 부사 : 도리여, 드디여

준말의 표기[편집]

준말의 표기에 관해 남북 사이에 일부 차이가 있다.

어간이 모음‘ㅏ/ㅓ’ 또는 ‘ㅣ’로 끝나는 용언에서 한국에서는 ‘가아, 서어, 치어’와 같은 형태를 본말로 인정하면서 그것이 준 형태 ‘가, 서, 쳐’를 허용한다고 되어 있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가아, 서어, 치여’와 같은 형태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반드시 준 형태로 사용한다고 규정되어 있다(제12항). 다만 실제로는 한국에서도 ‘가아, 서어, 치어’와 같은 형태는 쓰이지 않기 때문에 실제 운용에서 남북 차이는 없다.

용언에 접미사 ‘-이-’가 붙은 ‘쏘이다’와 같은 단어의 준 형태는 남북 다 ‘쐬다’와 같은 형태를 인정하는데, 그 어형의 ‘-아/-어’형인 ‘쏘이여’(한국 ‘쏘이어’) 등에 관해서 한국에서는 ‘쐬어, 쏘여’ 두 형태를 인정하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쐬여’만 인정하고 ‘쏘여’를 인정하지 않는다(제12항).

‘하다’가 준 형태에 관해 한국에서는 ‘넉넉지 않다’와 같이 ‘하’ 탈락형을 허용하는 데 반해 북한에서는 ‘넉넉치 않다’처럼 격음화되는 경우만 인정한다(제13항).

합성어의 표기[편집]

한국에서 쓰는 사이시옷은 북한에서 전혀 표기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나무가지(나뭇가지), 바다가(바닷가), 대잎(댓잎)

다만 아래 단어들에 관해서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사이시옷의 사용을 예외적으로 인정한다.

샛별 ― 새별(새로운 별)

  • 빗바람(비가 오면서 부는 바람) ― 비바람(비와 바람)

‘뒷-, 웃-’ 등은 각각 하나의 접두사로 보기 때문에 그 속에 있는‘ㅅ’ 받침은 사이시옷으로 보지 않는다(제18항).

한국에서는 ‘앞니’처럼 ‘이(이빨, 벌레의 이) ’의 합성어는 예외적으로 ‘니’로 적기로 되어 있지만 북한에서는 그러한 규정이 없으므로 ‘앞이’와 같이 원칙대로 적는다.

한자어[편집]

한자어는 낱낱 한자의 원래 음대로 적기 때문에(제25항),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고 어두에 ‘ㄹ, ㄴ’이 올 수 있다.

락원(낙원), 례외(예외), 녀자(여자)

다만 몇몇 단어에 관해서는 관용음에 따라 적기로 되어 있다.

나사(<라사), 나팔(<라팔)

  • 류월(<륙월), 시월(<십월)

띄어쓰기[편집]

북한에서 띄어쓰기 규정은 조선말규범집이 제정한 후, 2000년에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이, 2003년에 ‘띄여쓰기규정’이 다시 제정되었고 2006년에 ‘조선말띄여쓰기’가 또다시 제정[1]되면서 이것이 현행 띄어쓰기 규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그 새 규정들은 언급하지 않고 1987년 개정 조선말규범집에 관해 한글 맞춤법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기술한다.

하나의 대상으로 묶어지는 덩이[편집]

몇 개 명사가 조사 없이 어울려서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 북한에서는 띄어쓰지 않고 붙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제2항). 한국에서도 일부는 붙여쓰는 것이 허용되어 있으나 북한의 경우 붙여쓰는 것이 원칙이라는 점에서 한국과 크게 다르다.

붙여쓰기에 관해서는 아주 자세하게 규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일부분을 발췌한다.

기관이름이나 ≪국, 처, 과…≫ 등의 조직기구체계의 이름과 그 직명사이는 줄어들지 않는 경우에 띄여쓴다.
례 : 조직계획처 처장, 강연과 과장〔이후 생략〕
그러나 기관, 부서의 이름과 직무사이가 줄어든 경우에는 그것들을 붙여쓴다.
례 : 정무원총리, 도당책임비서〔이후 생략〕
동격어나 이에 준하는 단위는 띄여쓴다.
례 : ―〔앞 부분 생략〕박사 김준식〔이후 생략〕
칭호, 직명 등이 뒤에 올적에는 그것을 앞에 붙인다.
례 : ―〔앞 부분 생략〕김춘식박사〔이후 생략〕
그러나 뒤에 오는 칭호나 직명을 붙여씀으로써 달리 리해될 수 있는 경우에는 띄여쓸수 있다.
례 : 김철 부부장〔이후 생략〕

의존 명사[편집]

의존 명사(북한에서는 ‘불완전명사’)는 앞 단어에 붙여쓴다(제3항).

그분, 누구탓

  • 좋은것, 갈리 없다

위치 명사나 시간 명사도 마찬가지로 앞 단어에 붙여쓴다.

학교앞, 그날밤

다만 ‘등, 대, 겸’ 등 두 명사를 대비적으로 나열할 때 쓰는 의존 명사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띄어쓴다.

용언[편집]

합성 용언(보조 용언 포함)은 붙여쓴다(제10항)

돌아가다, 적어두다

  • 밀고나가다, 읽고있다, 먹고싶다, 끝나고나서
  • 읽는가보다

‘-아/-어’형으로 연결된 용언은 한국에서도 붙여쓰기가 허용되어 있지만 북한에서는 ‘-고’형 등 다른 형태로 연결된 것도 붙여쓰는 것이 특징적이다.

‘체언+용언’의 구성으로 하나의 용언을 이루는 것은 붙여쓴다(제11항). 용언 부사형도 이에 준한다. 이러한 용언의 일부는 한국에서도 붙여쓴다.

앞서다, 의리깊다

  • 가슴깊이, 두말없이

문장 부호[편집]

문장 부호에 관해 특징적인 것을 몇 가지 들어 본다.

구두점은 ‘,(반점)’, ‘.(점)’을 쓴다. 다만 ‘,’의 용법은 자세한 규정이 있는데 복문의 경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등 전체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다.

  • 따옴표(북한에서는 ‘인용표’)는 가로쓰기의 경우 ≪  ≫를 쓴다. 이것은 러시아어 맞춤법의 «  »를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의 한글 맞춤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같음표'라는 이름의 문장 부호(〃)를 사용한다. 한국에서 '같음표'라는 말은 등호를 뜻한다.

같이 읽기[편집]

한글 맞춤법

각주[편집]

  1. 이동 리정옥 편‘조선말사전(제2판)’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ISBN: 978-9946-1-0060-9

외부 링크[편집]
조선말규범집 - 1987년판. 한글학회 제공.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57 [고향축구] - "연변축구 응원가" 2017-09-24 0 3662
1356 [고향축제] - 중국 장백 "蜂蜜"절 2017-09-22 0 5425
1355 [고향자랑거리] -중국 룡정 854명 가야금 연주 기네스북 성공 2017-09-22 0 4564
1354 [고향문화인] -"연변인민"을 전국, 세계로 알린 저명한 작곡가 2017-09-22 0 3334
1353 [수석문화] -"수석은 내 강산의 뼈골이며 내 국토의 사리이다" 2017-09-22 0 5028
1352 [고향문화인] - 쿵쟈쨔 쿵쿵... 장고가락 울린다... 2017-09-22 0 5067
1351 [고향자랑거리] - 중국 도문 1000명 장고춤 기네스북 성공 2017-09-22 0 4307
1350 [고향자랑거리] - 중국 왕청 1000인 상모춤 기네스북 성공 2017-09-22 0 4483
1349 [고향자랑거리] - 중국 연변 집체드리볼 기니스세계기록 성공 2017-09-22 0 4692
1348 [이런저런] - 모기 눈알 최고급 료리라고?!... 2017-09-22 0 3603
1347 [쉼터] - 중국 중경시 = 판다 新星 35살이래ㅠ... 2017-09-22 0 4568
1346 [이런저런]-중국 료녕성 심양시에 "도서탑"이 없다?... 있다!... 2017-09-21 0 4673
134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리산에 곰이 없다?... 있다!... 2017-09-21 0 3103
1344 마광수님, 커피값 오천원 척척 내면서 책 안 사보려고 하고... 2017-09-21 0 3160
1343 [그것이 알고싶다] - 필리핀 닭싸움 2017-09-21 0 3930
1342 [그것이 알고싶다]연변에서 웬일인지 까치가 보기 드물다?! ... 2017-09-21 0 5175
1341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새, 닭 싸움 풍속 2017-09-21 0 5134
1340 [이런저런] - 중국 "쌍둥이 카니발" 130쌍 모이다... 2017-09-21 0 3744
1339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사천성 강족들 瓦爾俄足節 2017-09-21 0 4020
1338 [이런저런] - 중국 호남성 봉황고성 퉈강에서의 오리잡기 대회 2017-09-21 0 3582
133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귀주성 묘족들 루성을 연주하다... 2017-09-21 0 4082
1336 [쉼터] - 세계에서 가장 비싼 음식 10 2017-09-21 0 3403
1335 [쉼터] - 조선말 방언, 하르가리루 가다듬새 답쌔겨야잼껴... 2017-09-20 0 4252
1334 [고향문단소식] - 중국 연변시조협회 25살이라네ㅠ... 2017-09-20 0 5061
1333 [이런저런] = 1895 + 600 + 2 2017-09-20 0 2817
1332 [이런저런] - 저승에 간 할아버지를 찾으려고 한 반려 고양이 2017-09-20 0 3540
1331 [쉼터] - 세상에 뿔 세개 달린 소가 없다?... 있다!... 2017-09-20 0 4124
1330 [그것이 알고싶다] - "투우"?... 2017-09-20 0 4649
1329 [쉼터] - 중국 연변황소- 투우로 지명도 높혀준다... 2017-09-20 0 4646
1328 [쉼터] - "도문 투우" = 중국 길림성 연변 브랜드 2017-09-20 0 4891
1327 도문엔 길림성에서 유일의 표준화한 "두만강투우장"이 있다... 2017-09-20 0 3342
1326 [쉼터] - 중국 길림성 연변 도문 투우시합 2017-09-20 0 5177
1325 [쉼터] - 중국 길림성 연변 조선족 투우절 2017-09-20 0 3313
1324 [쉼터] - 중국 길림성 연변에는 "투우절"이 없다?... 있다!... 2017-09-20 0 5316
1323 [그것이 알고싶다] - 세계 10대 축제?... 2017-09-20 0 3770
1322 [쉼터] - 중국 광서성 동족 투우절 2017-09-20 0 5121
1321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동족 투우 민속 2017-09-20 0 3548
1320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동족 투우 풍속 2017-09-20 0 4837
1319 [쉼터] - 중국 귀주성 동족 투우시합 2017-09-20 0 5485
1318 [쉼터] - 중국 귀주성 묘족 자매절 2017-09-20 0 6535
‹처음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