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반도에서 최초의 성교육 동시집 "응아~" 태여나다...
2017년 12월 12일 21시 48분  조회:2192  추천:0  작성자: 죽림

 

 

 

정성수시인 대한민국 최초 성교육 동시집 ‘꽃을 사랑하는 법’ 출간

 

 

 

 

  중견 시인 정성수씨가 대한민국 최초 본격 성교육 동시집 ‘꽃을 사랑하는 법’을 고글 출판사에서 출간(2017년 3월)했다. 동시집은 4부로 총 100여편의 시가 실려 있다. 그는 시인의 말에서 ‘이번에 쓴 동시들은 주로 성에 관한 것들이다. 성적인 이야기는 입에 올리기도 조심스럽고 글로 표현하기도 어렵다. 시대가 바뀌어도 성에 관한 동시는 금기시된 것이 사실이다. 이제 누군가는 성에 관한 동시를 써야 한다는 생각으로 오랜 시간 자료를 모으고 그것을 토대로 어린이들의 올바른 성교육에 일조를 하기 위해서 성에 관한 동시를 썼다.’고 피력하고 있다.

 

  서평을 쓴 이준관 시인은 ‘어린이들의 성에 관한 이야기는 잘못 다루면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려 상처 입기 십상이다. 그런 이유로 지금까지 어린이들의 성을 다룬 동시는 거의 없다. 우리 동시단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분야를 본격적으로 다루어 ’꽃을 사랑하는 법‘이라는 제목을 붙여 성교육 동시집을 펴냈다는 것은 동시단의 획기적인 일로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했다.

 

 

  전)국민대교수 문전자 한국학교보건협회명예이사장은 ‘요즈음 사회적 이슈는 단연 성 관련 문제들이다. 성추행, 성폭력 등 성범죄가 급등하여 정부차원의 성폭력 대처 및 예방교육은 물론 성 관련 신고 센터가 설치 운영되고 있다. 여기에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별법을 제정하여 이에 대처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요청에 맞추어 성교육용 동시집이 발간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고 표사를 썼다.

 

 

  한편 보건교사인 하송 아동문학가는 ‘어린이들의 성 문제를 좀 더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면 일상적인 삶과 직 ․ 간접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올바른 성가치관 정립을 위해서는 초등학생 시기의 성교육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요즘은 학교에서 보건교사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가정 ․ 학교 ․ 사회가 함께 힘을 합쳐야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동시집 ‘꽃을 사랑하는 법’ 출간은 시의 적절합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 동시문학회장이자 아동문학가인 이준섭씨는 ‘우리나라 동시 문단에서 특정 전문 분야에 대한 동시집 시대가 열린지 15년이 지났다. 꽃, 새, 나무, 스포츠 … 여러 분야에 대한 전문 동시집들이 나왔지만 본격적인 성교육 동시집은 처음이다. 그 무엇이든 처음은 개척이요 설렘이요 눈부신 꿈의 세계다. 예로부터 성 문제는 말로 하기도 어렵거니와 글로 표현하기에도 조심스럽다. 동시로 형상화하여 예술작품으로서 탄생시킨 성교육 동시집을 발간한 정성수시인에게 뜨거운 박수를 보내며 아울러 우리 동시문단의 큰 경사임을 자랑하고 싶다.’고 했다.

 

 

  정성수씨는 문단에 나온 후 55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동시집은 ‘할아버지의 발톱’을 비롯해서 9번째이며 시집 21권, 시곡집 5권, 동시곡집 8권, 산문집 4권, 실용서 2권, 논술서 5권, 장편동화 1권 등이다. 수상으로는 대한민국교육문화대상, 한국문학예술상, 세종문화상, 12소월시문학대상, 대한민국사회봉사대상정부포상, 공무원문예대전동시부문최우수국무총리상, 대한민국환경문화대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문학창작기금수혜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373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458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715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464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4121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783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640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902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551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947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358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660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688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5036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332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637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348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699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3138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536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3987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590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3063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3190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3271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952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295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308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740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589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2983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3055
1338 ... 2018-12-23 0 2828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891
1336 ... 2018-12-21 0 3651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3147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879
1333 ... 2018-12-20 0 3174
1332 ... 2018-12-20 0 2878
1331 ... 2018-12-20 0 3004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