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조선족식, 조선식, 한국식 "우리 글 규범" 언제 통일되나...
2017년 12월 07일 01시 14분  조회:3873  추천:0  작성자: 죽림
우리 말 우리 글 약론
 

◎ 모동필

 

 

.

 

언어, 문자는 한 공동체의 삶의 양식에서 가장 근간으로 되는 문화적인 속성인 동시에 생활 방식의 바탕으로 되는 요소이다. 소통의 도구인 언어문자는 민족, 지역, 국가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새를 하고 있지만 한글을 사용하는 조선민족들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말미암아 그 사용 정황에서 다다소소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 단적인 예로 한국식 규범, 조선식 규범, 조선족식 규범의 각이 함을 들 수가 있겠다. 그러나 똑같은 족속들이 각자 다른 규범을 기준으로 하는 일은 어덴가 마뜩잖은 부분이 없지 않아 있다.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하는 견지에서 볼 때 지방언어문자의 특수성은 존중받아 마땅하겠지만 서로 다른 규범들이 난무하는 문화적인 현상은 괜한 혼란을 조성하기가 십상이다. 때문에 딱딱한 원리원칙에 의한 접근보다는 보다 부드럽게 생각의 둘레를 정리해볼 필요가 있겠다.

 

언어문자는 문화현상인 동시에 문화는 언어문자를 통하여 유지되고 발전한다. 또한 부단히 변화되는 문화는 언어문자의 사용상황에 큰 영향을 준다. 즉 언어문자와 문화는 역학적으로 상호 영향을 받는 동시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글로벌시대가 열리면서 지구촌이 하나로 무어 지고 충돌보다는 화합을 중요시하는 시대적인 패러다임의 시각으로 볼 때 같은 민족이라는 말이 무색해지는 것이 우리가 처한 현실이다.

 

경직된 흑백 논리로 자신만을 고집하기에는 세상은 역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서로의 문화 속에 침투되어 수용되고 영향을 주며 하루가 다르게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한 지역이나 한 공동체의 생활방식은 세계화의 물결과 시대적인 패턴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요즘은 글로벌시대의 다문화공존과 더불어 문명권의 알력과 마찰보다는 상호 교류와 보완을 우선시하는 시대적 흐름을 감안할 때 굳이 한국식 규범, 조선식 규범, 조선족식 규범들의 계선을 딱 잘라가면서 동질성보다 이질성을 강조하는 듯한 뉘앙스는 부질없는 옴니암니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민족 대통합이라는 높은 견지에서 굽어볼 때 상호 교감을 형성해나가기 위한 유연한 제스처가 필요하다.

 

문화의 가장 작은 원소인 언어문자를 통한 소통의 자유로움과 정서적인 화합이야말로 물리적인 통합이나 지리적인 통합의 전제가 될 수 있다. 생각과 관념의 차이, 시선과 이념의 차이는 우리들의 일상에서 가장 일반적인 모습이므로 같은 언어문자를 사용하는 공동체라도 서로의 다름을 충분히 인정하는 기초에서 포용과 배려를 우선시하면서 아름다운 우리 언어문자가 더욱 폭넓게 통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신분적인 정체성보다는 문화적인 정체성이야말로 전정한 ''를 정의해줄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요즘 조선족 공동체가 가장 수월하게 접수하는 문화산물들은 대부분 한국의 미디어나 출판물 등이다. 젊은 세대일수록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문화현상은 변형적인 것이다. 그러나 피동에 처할 수 밖에 없는 우리에겐 크게 어필할 훌륭한 문화자산들이 산출되지 않는 현실 또한 반성해보아야 할 일이다.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삼성이나 애플 스마트폰에 기재된 우리 문자의 규범을 살펴보면 뭔가 떠오르는 생각이 있을 것이다. 애플이나 삼성은 외국기업이니 그나마 위안이 되겠지만도 중국의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채팅앱인 위챗에는 '녀'가 아닌 '여자'로 표기되어있다.

 

우리의 일상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게 되는 문물에서 선택되지 않았다는 것은 그만큼의 문화경쟁력이나 경제적 가치가 없다는 말이 되겠고 더 나가 '정글'에서의 도태를 의미한다. 또한 가장 보편적인 문화소통의 도구로서의 가치를 잃은 언어나 문자는 본연의 역할을 해내기에 역부족인 동시에 자칫하면 원활한 소통에 거추장스러운 걸림돌이 되어 불필요한 혼잡함을 조성할 우려가 있다.

 

때문에 유관 부서나 사업일군들은 내것만이 유일한 기준이라는 경직된 사고방식은 지양하고 보완할 부분들은 긍정적으로 검토해나가면서 합리적으로 융통하여 변화를 줄 수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적시 적으로 변화를 주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반드시 이러해야만이 경쟁력을 갖춘 문화의 힘으로 '타인'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족들의 지정학적인 우세를 이용한 민족대통합에도 응분의 기여를 할 수 있다.

 

'연변조선족자치주조선언어문자사업조례'를 일별하면 실지 우리 현실 생활에서 행해지지도 않는 구호 같은 조례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큰 아쉬움을 주고 있다.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도 먹어주는 사람이 없으면 헛된 낭비겠으니 아름다운 우리 말과 글을 널리 사용하게끔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모든 민족문화사업일군들 당면에 놓여진 숙제이다.

 

외적인 변화는 아랑곳 않은 채 고루한 관념으로 안으로만 배어들어 스스로를 내면화하면서 부단히 자아를 복제해내는 창의력 부재로 말미암은 민족문화의 창달은 아름다운 표어로만 머물 수 밖에 없다. 안일하게 교조적인 '원칙성'보다는 각성과 성찰, 의식의 일신은 매우 시급해 보인다. 변화를 추구하지 않는 '사명감'은 노파심에 불과하기에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여만 한다. 때문에 널리 변화를 모색하면서 시대적인 흐름과 변화상을 민감하게 진맥하면서 소통도구로서의 우리 언어문자의 작용을 극대화하는데 많은 심혈을 기울여야만 한다.

 

우리 언어문자를 정의하는 '헌법'이 단지 보여주기나 생색내기용 문건으로 존재하기보다는 날로 변화하는 시대와 보조를 같이하여 더욱 광범한 범위에서 아름다운 우리 말이 오가고 우리 글이 씌여지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한 널리 세상과 소통하는데 막힘이 없는 언어문자로 거듭나면서 더욱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문화의 힘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해본다.

 

민족의 언어문자에는 그 민족의 혼백이 담겨있다. 때문에 우리 입가에서 피어오르는 우리 말과 우리 손끝에서 그려지는 우리 글은 더욱 고와져야만 한다. 

 

편집흥경선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9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07 0 4501
2916 [민속] - 이남박 2020-04-05 0 4491
2915 [민속] - 함지박 2020-04-05 0 4782
29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식량위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4-04 0 4431
2913 [그것이 알고싶다] - "짝짓기" 몇초 사이 호박속에... 2020-04-04 0 4376
2912 [세계속에서] - 애매불쌍한 유채꽃들... 2020-04-03 0 4143
2911 [민속] - 탈 2020-03-28 0 9318
2910 [민속] - 대장간 2020-03-28 0 5580
2909 [세계속에서] - 비상사태속에서의 은정... 2020-03-28 0 4537
2908 [민속] - 올개심니 2020-03-25 0 4341
2907 [그때 그시절] - 추억 영화 "꽃파는 처녀" 2020-03-24 0 5170
2906 [세상만사] - "가짜세상"... 2020-03-22 0 4184
2905 [민속] - 비녀 2020-03-21 0 6382
29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핵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21 0 4623
2903 [세계속에서] - 100배... 2020-03-19 0 4513
29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닐쓰레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8 0 4387
2901 [세계속에서] - 올림픽 "연기"? "연기"!... 2020-03-17 0 4067
2900 [세계속에서] - ...다면???... 2020-03-13 0 4080
2899 [별의별] - "원숭이 패싸움"... 2020-03-13 0 4377
2898 [민속] - 우물 2020-03-11 0 4814
2897 [세계소에서] - "악수금지령"... 2020-03-11 0 4772
289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동물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1 0 4377
2895 [민속] - 한복 2020-03-10 0 7944
289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마스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0 0 4556
289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세균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10 0 4447
289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환경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9 0 4285
28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온난화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7 0 4641
2890 [민속] - 방아 2020-03-07 0 6456
2889 [민속] - 바가지 2020-03-06 0 4502
2888 [세계속에서] - "나는 고발한다"... "그는 고발당하다"... 2020-03-06 0 4304
2887 [세계속에서] - 지나간 100, 앞으로 100... 2020-03-05 0 3978
2886 [별의별] - 세월, 시간, 시계, 시시비비... 2020-03-04 0 4880
28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력사의식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3-01 0 5120
288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재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7 0 4405
2883 [별의별] - "평평"... "둥글"... 2020-02-25 0 4516
288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전염병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4 0 4534
2881 [그것이 알고싶다] - "윷놀이" 2020-02-24 0 6229
2880 [타산지석] - 우리는 언제부터 "저작권문제"를 중시할려나... 2020-02-23 0 4251
287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두호랑이보호", 남의 일이 아니다... 2020-02-22 0 3532
2878 [그것이 알고싶다] - "베를린 국제영화제" 2020-02-21 0 4469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