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노벨문학상과 시인] -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였던 시인...
2017년 11월 13일 00시 19분  조회:2006  추천:0  작성자: 죽림
출생 1901. 9. 23, 프라하
사망 1986. 1. 10, 프라하
국적 체크

요약 야로슬라프 세이페르트. 체크 시인·저널리스트.

 

1984년 체크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1950년까지 저널리스트로 활동했으며, 이미 1920년 첫 시집 〈눈물의 도시 Město v slzàch〉를 출판했다. 초기 프롤레타리아 시에는 소련 공산주의의 미래에 대한 젊은이다운 기대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성숙함에 따라 정부체제에는 마음이 덜 끌리게 되었으며 시의 주제도 변모해 〈무선전파를 타고 Na vlnách T.S.F.〉(1925)·〈나이팅게일은 노래를 못한다 Slavík zpívá špatnĕ〉(1926)에서는 이른바 순수시의 서정적인 요소가 뚜렷이 나타났다.

1929년에는 공산당을 탈당했다.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사건과 상황은 그의 시에서 자주 나타나는 주제가 되었다. 〈전등을 꺼라 Zhasnĕte svĕtla〉(1938)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를 독일에 합병시킨 뮌헨 조약에 관해 썼다. 〈빛에 감싸여 Svĕtlena odĕná〉(1940)의 주제는 프라하였으며 〈진흙투구 Přílba hlíny〉(1945)에서는 1945년의 프라하 봉기를 다루었다. 그는 또한 30여 권의 시집에 관해 서평을 썼으며, 몇 편의 잡지에 기고하고 아동문학 작품도 썼다.

1966년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었으나, 1968년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비난했다 하여 침묵을 강요당했다. 1981년 체크어로 씌어진 회고록이 출간되었다.
====================

요세프 호라, 프란티셰크 할라스, 비테슬라프 네즈발, 야로슬라프 세이페르트가 2차례의 세계대전 사이에 쓴 서정시가 특히 주목을 받았다. 1980년대까지 생존한 세이페르트는 자신의 후기 시가 영어 및 여러 언어로 번역되는 것을 보았다...
======================

 

 

 

체코의 시인, 작가, 언론인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Seifert, Jaroslav) 

사이페르트(세이페르트) [Seifert, Jaroslav, 1901.9.23~1986.1.10]

체크의 시인·저널리스트.

1984년 체크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1950년까지 저널리스트로 활동했으며, 이미 1920년 첫 시집 〈눈물의 도시 Město v slzàch〉를 출판했다. 초기 프롤레타리아 시에는 소련 공산주의의 미래에 대한 젊은이다운 기대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성숙함에 따라 정부체제에는 마음이 덜 끌리게 되었으며 시의 주제도 변모해 〈무선전파를 타고 Na vlnách T.S.F.〉(1925)·〈나이팅게일은 노래를 못한다 Slavík zpívá špatnĕ〉(1926)에서는 이른바 순수시의 서정적인 요소가 뚜렷이 나타났다. 1929년에는 공산당을 탈당했다.

당시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사건과 상황은 그의 시에서 자주 나타나는 주제가 되었다. 〈전등을 꺼라 Zhasnĕte svĕtla〉(1938)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를 독일에 합병시킨 뮌헨 조약에 관해 썼다. 〈빛에 감싸여 Svĕtlena odĕná〉(1940)의 주제는 프라하였으며 〈진흙투구 Přílba hlíny〉(1945)에서는 1945년의 프라하 봉기를 다루었다. 그는 또한 30여 권의 시집에 관해 서평을 썼으며, 몇 편의 잡지에 기고하고 아동문학 작품도 썼다. 1966년 인민시인으로 추대되었으나, 1968년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을 비난했다 하여 침묵을 강요당했다. 1981년 체크어로 씌어진 회고록이 출간되었다. /브리태니커

===========================덤으로 더...
 

 

 

 

 

 

오스트리아의 정신분석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Freud, Sigmund) 

프로이트 [Freud, Sigmund, 1856.5.6~1939.9.23]

정신분석학의 창시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1939년 9월 23일 런던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는 당대 최고의 지적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의 정신분석학은 인간의 정신 및 정신병 치료에 관한 이론인 동시에 문화와 사회를 해석하는 시각을 제공하는 이론이었다.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였던 모라비아의 프라이베르크에서 유태인 모직상 아들로 태어나 3살때 빈으로 이사, 80년 가까이 한 도시에서 산 프로이트는 괴테의 자연에 관한 수필을 읽고 감명 받아 전공을 의학으로 선택했다. 빈 대학을 졸업하고 인턴생활을 하던 그의 인생을 바꿔놓은 사람은 프랑스 신경병학자 장 마르탱 샤르코였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라는 새로운 정신세계를 발견하고, 무의식의 실체를 접근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신분석'을 제창했다. 즉 정신병은 무의식에 존재하는 억압된(본능적) 욕구 때문이고, 따라서 이 무의식의 본능적 욕구를 '의식화'시키는 것이 정신분석 치료라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은 '본능'(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나누어진다. 프로이트는 1900년 발표한 '꿈의 해석'과 1905년에 발표한 '농담과 무의식의 관계'라는 논문을 통해, 그는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갖가지 정신현상들을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논했다. /조선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10 근대 구조주의 언어학의 시조 - 소쉬르 2017-10-30 0 3534
809 시는 낱말의 조합으로 초자연적인 길을 열어야... 2017-10-30 0 2284
808 [타산지석] - 100年 = 100人 2017-10-30 0 2914
807 시인은 예언적 신앙심으로 모든것에 사랑을 심어야... 2017-10-30 0 3103
806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예부흥운동을 주도한 "상원의원"시인 2017-10-30 0 4058
805 [노벨문학상과 시인]생전 수상 거부, 죽은후 수상자가 된 시인 2017-10-29 0 3428
804 [노벨문학상과 시인]지도자 계급의 어용문인으로 전락된 시인 2017-10-29 0 3160
803 [노벨문학상과 시인] - 문학과 언어학의 부흥을 주도한 시인 2017-10-29 0 3566
802 [노벨문학상과 시인] - 제1회 노벨문학상 주인공으로 된 시인 2017-10-29 0 4216
801 [노벨문학상과 시인]비평가들로부터 절대적 인정을 받은 시인 2017-10-29 0 3589
800 [노벨문학상과 시인] - "새로운 시"의 동의어를 만들어낸 시인 2017-10-29 0 3663
799 시작에서도 싱싱한 화면으로 시정짙은 공간을 펼쳐보여야... 2017-10-28 0 3403
798 시작에서도 조각적 회화공간의 미를 창조해야... 2017-10-28 0 5837
797 시작에서도 선과 리듬으로 독자들을 끌어야... 2017-10-28 0 3105
796 [노벨문학상과 시인] - 알을 깨고 새세계를 연 시인 2017-10-25 0 7444
795 [노벨문학상과 시인] - 남아메리카 칠레 녀류시인 2017-10-25 0 3677
794 "마지막 잎새에도" 그는 "빛"이였다... 2017-10-25 0 2608
793 단 한번도 반복되는 하루는 두번 다시 없다... 2017-10-22 0 2803
792 "삶은 짧지만 하나의 강렬한 축제" 2017-10-21 0 2647
791 20세기 최고의 독일 시인 중 한 사람 - 라이너 마리아 릴케 2017-10-21 0 4322
790 "나는 내가 가진 모든것들을 당신에게 빚졌습니다"... 2017-10-21 0 2378
789 " 머리가 어질어질 뗑하게 만드는" 러시아 시인들 이름... 2017-10-21 0 2432
788 러시아 투사시인 - 표드르 이바노비치 츄체프 2017-10-21 0 3241
787 독학으로 배운 언어로 시를 쓴 노르웨이 과수원 농부시인... 2017-10-20 0 2557
786 시인 김용제는 "그림자", 시인 윤동주는 "빛"... 2017-10-20 0 2544
785 시작에서도 정적인것을 동적인것으로 출구를 찾아 표현해야... 2017-10-17 0 2173
784 [그것이 알고싶다] - 어린이들은 "어린이"를 알고 있는지요?... 2017-10-17 0 4264
783 "어린이"와 방정환 그리고 "강도" 2017-10-17 0 5066
782 "내 쓸개를 잡아 떼어 길거리에 팽개치랴"... 2017-10-17 0 2203
781 시비(詩碑)에 또 시비(是非)를 걸어보다... 2017-10-17 0 2789
780 "반달할아버지"가 "반달"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다?!... 2017-10-17 0 2070
779 "반달할아버지"와 룡정 2017-10-17 0 2119
778 "반달" = "하얀 쪽배(小白船)" 2017-10-16 0 3545
777 시인이라고 해서 다 시인이다?... 아닌 이도 있다!... 2017-10-14 0 1888
776 시인은 용기를 내여 치렬하게 작품을 쓰라... 2017-10-14 0 2372
775 [쟁명] - "꾸준히 실험시를 써보라"... 2017-10-14 0 2196
774 "반달"과 "반달 할아버지" 2017-10-14 1 3149
773 한줄기의 빛이었던 시인 - 윤동주 2017-10-13 0 2340
772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 아이디어, 한 이미지를 갖고 써라... 2017-10-10 0 2180
771 "현대시는 암소, 하이퍼시는 암퇘지"... 2017-10-10 0 2537
‹처음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