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이런저런] - 신기한 동물세계- "강제 짝짓기"
2017년 10월 08일 11시 26분  조회:4528  추천:0  작성자: 죽림
[애니멀피플] 추석특집-신기한 오리 생식기의 진화
'강제 짝짓기' 성행하는 종일수록 생식기가 길고 복잡
'섹스 전쟁'이 진화를 추동..홍오리 음경은 몸 길이 비슷

[한겨레]

번식기의 북미산 오리인 홍오리 수컷. 아래에 나사처럼 꼬인 부위가 음경이다. 브레넌 제공.

아름다운 노래, 현란한 춤, 화려한 깃털 변화 등 새들은 동물 가운데 가장 극적으로 사랑을 표시한다. 그러나 그 모든 사랑 과정의 종착점인 짝짓기 행위는 허무할 정도로 짧고 간소하다. 새들의 수컷은 따로 음경이 없어 배설과 생식 기능을 모두 하는 총배설강을 암컷과 접촉해 짧은 시간 동안 정자를 옮기면 끝이다(■ 관련 기사: 새들은 어떻게 ‘남성’을 잃어버렸나).

그러나 몇몇 예외가 있다. 타조는 짝짓기할 때뿐 아니라 배설할 때도 총배설강이 뒤집히며 길이가 30㎝나 되는 음경이 휘어져 나와 동물원을 찾은 가족 단위 탐방객을 민망하게 만든다. 타조뿐 아니라 에뮤, 레아, 키위 등 땅 위 생활에 적응한 일단의 새들도 이런 해부구조이다.

발기한 타조의 음경. 브레넌 등 제공.
조류 수컷 생식기의 비교. 왼쪽부터 닭, 메추라기, 오리, 거위 순이다. 닭과 메추라기 사진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돌기가 축소된 생식기이다. 애나 헤레라 외, ‘커런트 바이올로지'

다른 예외가 오리 류이다. 수컷 오리 가운데는 자기 몸집만큼 긴 40㎝에 이르는 긴 생식기가 있는 것도 있으며, 와인 따개처럼 나선형으로 꼬인 형태이기도 하다. 패트리셔 브레넌 미국 매사추세츠 대 진화생물학자 등은 2011년 타조와 오리가 포유류와 달리 발기 때 혈액이 아닌 림프를 이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관련 기사: 170년 만에 풀린 과학 숙제, 타조 거시기의 비밀).

오리는 수컷 생식기의 형태가 다양하고, 수컷끼리 경쟁이 심할수록 음경 길이도 길어지는 등 조류의 생식기 진화를 연구하는 데 최적의 대상으로 꼽힌다. 특히 나사처럼 꼬인 오리의 음경 형태는 과학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대부분의 오리는 일부일처제이지만, 상당수의 수컷은 이미 짝이 있는 다른 암컷과 강제로 짝짓기를 시도한다. 연구 결과 이런 강제 짝짓기가 성행하는 종일수록 음경이 길고 복잡한 형태를 띠는 것으로 밝혀졌다. 암컷은 원치 않는 짝짓기를 피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생식기 형태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암컷이 편한 자세를 허용하지 않는다면 수컷의 정자는 난자 가까이 도달하기 힘들다. 실제로 오리 가운데 강제 짝짓기의 비율은 30∼40%에 이르지만, 수태 성공률은 2∼5%에 지나지 않는다.

오리 생식기의 이런 변화는 오랜 진화 과정에서 일어난 ‘섹스 전쟁’의 결과이다. 그러나 형태 변화는 한 세대 안에서도 일어난다. 브레넌 등은 미국 조류학회가 내는 과학저널 ‘아우크: 조류학 진보’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흥미로운 실험결과를 보고했다.

번식기의 수컷 쇠검은머리흰죽지. 북미의 오리이다. 칼리바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연구자들은 쇠검은머리흰죽지와 홍오리 등 2종의 오리를 대상으로 한쪽에서는 암컷과 수컷 한 마리씩 짝을 짓도록 하고, 다른 쪽에서는 암컷 한 마리당 여러 마리의 수컷을 넣어 2년 동안 번식 과정을 거치면서 음경 길이의 변화를 조사했다. 그랬더니 암컷과 홀로 있던 수컷에 비해 다른 수컷과 경쟁하게 된 수컷의 음경이 훨씬 커졌다. 브레넌은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결국 진화는 유연해지는 능력에 손을 들어줍니다. 주어진 여건에 꼭 필요한 것에 투자하는 능력 말입니다.”라고 말했다. 오리는 무작정 음경의 크기를 키우는 게 아니라 생식이냐 생존이냐의 갈림길에서 한쪽을 선택한다는 얘기다.

연구진이 홍오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긴 생식기에 투자할 것이냐를 둘러싼 더 극적인 양상이 나타났다. 홍오리는 오리 가운데서도 몸길이에 견줘 음경이 가장 긴 축에 든다. 종종 음경이 자기 몸보다 길다. 이 오리는 또 암컷을 차지하려는 수컷끼리의 다툼이 하도 심해 상대가 죽기도 한다.

A, B는 쇠검은머리흰죽지와 음경, C는 다양한 경쟁 수준의 홍오리. 왼쪽은 혼인색이 선명한 지배적 수컷이고 오른쪽은 미처 혼인색을 띠지 못한 약한 수컷이며, 각각의 음경은 D와 E이다. 브레넌 외, ‘아우크’ 제공.

실험 첫해에 수컷이 많은 우리에서 홍오리 가운데는 가장 덩치가 큰 개체만 음경이 18㎝로 커졌지만 덩치가 작은 오리들은 0.5㎝밖에 안 됐다. 두 번째 해에 작은 오리들의 음경도 정상적인 크기가 됐지만 이번에는 지속 기간이 5주에 그쳤다. 큰 개체가 석 달 동안 유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홍오리는 해마다 번식기에만 음경을 키운다. 브레넌은 “큰 개체의 괴롭히기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늘려, 음경 크기를 조절하는 안드로젠 효과를 억제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자연환경뿐 아니라 사회환경도 음경의 크기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조홍섭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77 [쉼터] - 잘 나가는 가게는 간판 없서도 대박... 2017-10-20 0 4314
1476 "조선족"이냐, "재중동포"냐?... 2017-10-20 0 4456
1475 "조선족" 호칭을 "선족(鮮族)이라 부르지말기... 2017-10-20 0 3943
1474 한글 지키기와 한글 바로 세우기 그리고 한글 재통일하기... 2017-10-19 0 5723
1473 [쉼터] - 죽어서도 떼돈 버는 사람들 톱 10... 2017-10-17 0 5671
1472 길림, 흑룡강 두 성에서 규모가 가장 큰 사과기지-훈춘 맹령촌 2017-10-17 0 4202
1471 예술의 흔적 래일의 유산, 민간 복원 주도 자랑스럽다... 2017-10-17 0 5501
1470 [그것이 알고싶다] - 반도(半島)의 첫 동요집 "반달" 2017-10-17 0 3462
1469 [고향자랑] -이야기 하라 "어곡전"아, "어곡전"은 잊지 않으리... 2017-10-16 0 4138
14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천재들의 명언록... 2017-10-16 0 4322
1467 중국 장춘에서 "단군문학관" 문 활짝 열다... 2017-10-16 0 3451
1466 [그것이 알고싶다] - 한글의 글씨체 알아보기... 2017-10-15 0 7319
1465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한글 "글꼴"이란?... 2017-10-15 0 6185
1464 [그것이 알고싶다] - 한글 글꼴의 "아버지"들... 2017-10-15 0 5266
1463 "한글을 소재로 영화를 만들면 좋겠다"... 2017-10-15 0 3976
1462 [그것이 알고싶다] - "도레미..." 계이름 누가 만들었나?... 2017-10-14 0 4066
1461 한글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만든 사람과 만든 원리가 있는 문자 2017-10-14 0 4811
1460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서문 풀이... 2017-10-14 0 4224
1459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본"... 2017-10-14 0 5099
1458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해석본"... 2017-10-14 0 4832
1457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국보 특호" 지정돼야... 2017-10-14 0 3788
1456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을 "한글"로 부른 사람?... 2017-10-14 0 3795
1455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 2017-10-13 0 5553
1454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국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017-10-13 0 5268
1453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2017-10-13 0 5327
1452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단 2개!!!... 2017-10-13 0 4778
1451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 운명???... 2017-10-13 0 3759
1450 [그것이 알고싶다] - 訓民正音과 음양오행... 2017-10-13 0 5781
1449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원본?... 2017-10-13 0 4709
1448 [그것이 알고싶다] - 훈민정음 해례본?... 2017-10-13 0 4929
1447 중국 흑룡강에는 "오상쌀", 길림 연변 룡정엔 "어곡미" 있어요 2017-10-13 0 4630
144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모아산을 제발 그만 "못쌀게 구러라"... 2017-10-13 0 3409
1445 [쉼터] - 잘 반성하고 정리해야 할 "결혼식문화" 2017-10-13 0 3704
1444 "아름다운 연변에는 백두산도 있고 두만강도 있쑤꾸매"... 2017-10-13 0 3021
144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연길늪(청년호)을 돌려달라... 2017-10-13 0 3532
1442 [쉼터] + 二語人, 三語人, 多語人 2017-10-13 0 3473
1441 [록색주의者] - "양들은 시위하고 늑대들은 시위할수 없고"... 2017-10-13 0 3638
144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기린 천적이 없다고?... 2017-10-13 0 3446
1439 [고향문화소식] - "문화는 민족의 혈맥, 인민의 정신가원" 2017-10-13 0 3027
1438 [타향문화소식]-중국 철령시에 조선족 "탈춤" 없다?... 있다!... 2017-10-13 0 3402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