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력사속에 영영 사라질번 했던 맥주 한 젊은이 땜에 살아났다...
2017년 10월 03일 01시 12분  조회:3648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데일리 EnterFN 강동완기자]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의 동쪽에 있는 호가든은 화이트 맥주의 고향이다.  

연노란색의 뿌연 빛깔을 내며 풍부한 과일향에 쓴 듯 단 듯한 부드럽고 상쾌한 맛을 내는 밀맥주, 호가든 화이트가 처음 만들어진 곳이다.  

(창업기획_백장미의 맥주야화) ④ 벨지안 화이트 비어의 전설, 호가든
 
전세계의 밀맥주 애호가들을 열광시키고 있는 이 전설적인 맥주는 피엘 셀리스(Pierre Celis)라는 젊은이의 집념이 아니었다면 영영 역사속으로 사라졌을런지도 모른다. 
 
호가든 마을에서는 14세기 무렵부터 수도사들에 의해 밀맥주가 주조됐고, 많을 때는 인구가 6,000여명 밖에 되지 않는 작은 마을에 30개가 넘는 양조장에서 밀맥주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20세기 들어서면서 대량생산 체제로 주조되는 필스너 맥주에 밀려 급속히 쇠락의 길로 들어서고 말았다. 
  
그 많던 밀맥주 양조장이 하나 둘 문을 닫았고, 1957년에는 많은 사람이 안타까워 하는 가운데 마지막 양조장인 톰신(Tomsin) 양조장 마저 폐쇄되었다. 

위기의 순간, 우유배달을 하면서 톰신 양조장에서 견습으로 일한 경험이 있었던 셀리스는 700년 전통의 밀맥주의 부활을 위해 나섰다.  
  
셀리스는 부친으로부터 자금지원을 받고 노련한 양조가들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수도원’이라고 명명한 작은 시골 양조장에서 전래되어 온 방식에 따라 코리앤더 열매나 오렌지 껍질 등 색다른 원료를 사용하여 호가든만의 밀맥주를 만들었다는 것.
  
그리하며 밀맥주가 다시 모습을 드러낸 것은 마지막 양조장이 문을 닫은 뒤 9년이 지난 1966년. 이렇게 다시 태어난 밀맥주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첫해에 350헬터리터 였던 생산량은 1985년 까지 7만 5,000헬터리터로 크게 늘어났다. 무려 생산량이 200배 이상 성장한 것이다.  
  
호가든 화이트는 벨기에와 독일의 젊은이들을 매료시켰고, 전세계를 향해 힘찬 부활의 날개짓을 했다.  

오늘날 호가든 화이트는 세계 최대의 맥주회사인 인베브(InBev)의 간판 상품의 하나가 되어 전세계 100여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호가든 화이트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셀리스는 1987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으로 이주하여 또 다른 맥주 ‘셀리스 화이트’로 밀맥주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도움말 : 스파이스비 펍문화팀장]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사막을 잡는것은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10 0 5213
1636 [동네방네] - 백고개를 넘어가는 령마루에 별은 더욱 빛난다... 2017-12-10 0 3519
1635 [쉼터] - 중국 조선족대학생들 "조선족의 앞날" 걱정하다... 2017-12-10 0 4309
1634 [쉼터] - 에펠탑은 기억하리... 2017-12-09 0 4841
1633 [쉼터] - 중국 흑룡강 야부리에 "참대곰관" 없다?... 있다!... 2017-12-09 0 5510
1632 [연변 유적비 순례] - 강경애문학비 2017-12-08 0 5639
1631 [타산지석] - 세치 혀끝과 험담... 2017-12-08 0 3820
1630 [이런저런] - 호랑이야, 니 자알 가래이... 2017-12-07 0 4191
162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메말라가는 땅을 살찌우기... /그 외... 2017-12-07 0 4825
1628 [그것이 알고싶다] - "차와 녀자"는 있구!... "차와 남자"는?... 2017-12-07 0 3814
1627 [그것이 알고싶다] - "차 중의 보배 백차"래ㅠ?... 2017-12-07 0 3846
162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남의 일이 아니다@!@... 2017-12-07 0 4082
1625 [쉼터] - 10 = 7 2017-12-07 0 3614
162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상식과 "상식"은 그저 일이 아니다... 2017-12-07 0 7754
1623 빈민과 병자, 고아들의 수호자 = 작은 몸짓으로 사랑을... 2017-12-07 0 7546
1622 조선족식, 조선식, 한국식 "우리 글 규범" 언제 통일되나... 2017-12-07 0 3878
1621 [이런저런]-길바닥에 떨어진 물건이라도 그냥 가져가면 처벌... 2017-12-07 0 4381
1620 [쉼터] - 사투리의 비교비평 2017-12-06 0 4458
1619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사투리 달력"을 만들었으면... 2017-12-06 0 4684
1618 [쉼터] - 한반도 팔도 사투리야, 놀아보쟈... 2017-12-06 0 4014
1617 [쉼터] - 전라도 사투리로 쓴 詩 한졸가리 2017-12-06 0 3556
1616 [쉼터] - 강원도 사투리로 한 얘기 한토리 2017-12-05 0 3934
1615 [이런저런] - 8년 = 7억원 2017-12-05 0 3683
1614 [이런저런] - 7천원 = 4천만원 2017-12-05 0 3714
1613 [타산지석] - 우리 연변에서도 "산천어축제"가 있었으면... 2017-12-05 0 3281
1612 [이런 저런] - "아예 '교통경찰' 시킬가ㅠ"?... 2017-12-05 0 5054
161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건축쓰레기"?!... 2017-12-05 0 3944
1610 [그것이 알고싶다] - "마치 쟁반 위에 앉은 파리처럼"?... 2017-12-05 0 4073
1609 [그것이 알고싶다] - 동물들도 "부부"가 함께 살까???... 2017-12-01 0 4917
1608 [고향문단소식] - 고향과 청보리와 엄마의 세월... 2017-12-01 0 4362
16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변소혁명"... 2017-11-30 0 5218
16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금 지구는 무섭게 앓고 있다... 2017-11-30 0 3822
1605 [타산지석]-우리 연변 민족 대학가에서도 떡메춤.도리깨춤을... 2017-11-27 0 4567
1604 [쉼터] - 세상은 넓고 세상은 살맛나고지고... 2017-11-27 0 5050
1603 [이런저런] -중국 중경시에 "S"형 컬러 도로가 없다?... 있다!... 2017-11-27 0 3775
1602 [이런저런] - "송이버섯" 인공재배 된다고???... 2017-11-27 0 3565
1601 [타향문단소식] - "흑토에서 흘러온 훈훈한 문단분위기"... 2017-11-27 0 3454
1600 [타향문단소식] -"문학적 혼을 공유하는것" 절대 미룰수 없다... 2017-11-27 0 3919
1599 [타산지석]-우리 연변 학교들에서도 "전통민요라디오체조"를... 2017-11-21 0 4758
159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백호야, 너와 나와 놀아보쟈... 2017-11-20 0 5078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