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나는 가끔 주머니를 어머니로 읽는다"...
2017년 09월 22일 13시 43분  조회:2032  추천:0  작성자: 죽림

<좋은 시의 조건-10가지> -박남희

 

 

 

1. 함축성이 있고 입체적인 시를 써라

 

시와 산문이 다른 점은 시가 지니고 있는 함축성 때문이다. 시는 평면적인 글을 의미전환 시키거나 이미지화해서 그 속에 새로운 의미를 갖게 해준다. 시에서 다양한 수사법(은유, 상징, 역설, 알레고리, 아이러니 등)을 사용하는 것도 평면적인 글을 입체적이고 함축적인 글로 만들려는 노력인 것이다. 그러므로 시인은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그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않고 인간이나 사회의 어떤 현상과 연결시켜서 바라보고, 그것을 새롭게 인식하고 재해석해내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우리가 시를 쓸 때 세계 속에서 자아를 발견하고(동화-assimilation) 자아 속에서 세계를 발견하려는 것(투사-projection)도 이러한 노력의 일환인 것이다. 동화는 세계(사물)를 자신의 내면으로 끌어들여 동일화시키는 것을 말하고, 이를 다른 말로 세계의 자아화라고 말한다. 이에 반해 투사는 자아의 감정을 세계(사물)에 이입시켜서 자아를 세계와 동일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이를 요약해서 자아의 세계화라고 말한다. 동화는 대상을 주관적으로 바라보고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자아에 중점이 주어지는데 반해, 투사는 이와 반대로 자아를 대상에 상상적으로 감정이입 시켜서 자아와 세계가 일체감을 갖도록 하는 방법으로 세계(사물)에 중점이 주어진다는 점이 다르다. 자아와 세계를 동일화하려는 것은 서정시의 가장 본질적인 성격이다. (예시:박남희<나는 가끔 주머니를 어머니로 읽는다>/투사-최문자<팽이>)

 

 

나는 가끔 주머니를 어머니로 읽는다 -박남희

 

 

어머니를 뒤지니 동전 몇 개가 나온다

오래된 먼지도 나오고

시간을 측량할 수 없는 체온의 흔적과

오래 씹다가 다시 싸둔

눅눅한 껌도 나온다

 

어쩌다, 오래 전 구석에 처박혀 있던

어머니를 뒤지면

달도 나오고 별도 나온다

옛날이야기가 줄줄이 끌려나온다

 

심심할 때 어머니를 훌러덩 뒤집어보면

온갖 잡동사니 사랑을 한꺼번에 다 토해낸다

 

뒤집힌 어머니의 안쪽이 뜯어져

저녁 햇빛에

너덜너덜 환하게 웃고있다

 

 

팽이 -최문자

 

세상이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하나님,

팽이 치러 나오세요

무명 타래 엮은 줄로 나를 챙챙 감았다가

얼음판 위에 휙 내던지고, 괜찮아요

심장을 퍽퍽 갈기세요

죽었다가도 일어설게요

뺨을 맞고 하얘진 얼굴로

아무 기둥도 없이 서 있는

이게,

선 줄 알면

다시 쓰러지는 이게

제 사랑입니다 하나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342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491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351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970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199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2051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219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2004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579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194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940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2034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2103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2198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326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978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2093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2088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930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2143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2118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239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476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2140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2140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964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330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2099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272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2081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334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356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283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214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622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2175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431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321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694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2182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