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윤동주묘 발견 당시 "묘비는 제대로 서있었다"...
2017년 09월 15일 22시 14분  조회:2259  추천:0  작성자: 죽림
윤동주 시인의 ‘묘소’
최초 발견자는 일본인 학자
(ZOGLO) 2017년9월15일

와세다대 오무라 명예교수(오른쪽)과 전상중 제독

와세다대 오무라 명예교수 세계한글작가대회서 밝혀

1985년 봄 시인 동생 부탁받고 조선족 문인들과 발견

[아시아엔=전상중 국제펜클럽 회원, 해군 예비역 제독]= 
애국시인 윤동주의 묘를 최초 발견한 사람은 일본인이다. 와세다대학 오무라 마스오 명예교수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오무라 교수는 ‘윤동주와 한국문학’이란 심도 있는 평론을 쓰는 등 남북한 문학 연구에 평생을 바쳤다.

경주에서 12일 개막, 15일 끝나는 제3회 세계한글작가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오무라 교수는 “1985년 5월 발견 당시 한국과 중국이 국교 수립 이전이어서 한국인 학자들의 접근이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윤동주 시인의 동생(윤일주)이 1984년 도쿄를 방문해 내게 부탁해 묘지를 찾게 됐다”고 말했다.

오무라 교수가 시인의 묘지를 찾은 것은 1985년 5월14일로 윤동주 시인이 용정에 묻힌 지 40년 만의 일이다.

오무라 교수는 “윤 시인은 죽을 때까지 시인으로 대우받지 못했다. 후쿠오카 감옥에서 옥사하여 한줌의 재로 돌아온 손자를 북간도에 묻은 다음 할아버지가 ‘시인 윤동주의 묘’라는 비석을 세워놓아 비로소 시인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그런 시인의 무덤을 찾아냈다는 사실에 가슴 벅찼다”고 술회했다.

오무라 교수는 “봉분이 허물어져 편평할 정도였다”며 “5월이었는데도 새싹은 돋지 않았고, 잡초만 무성해서 황량하기 그지 없었다”고 했다. 그는 발견 당시 묘비가 넘어져 있었다고 알려진 것과 관련해 “묘비는 제대로 서있었다”고 했다.

윤동주 시인 묘지 발견에는 중국 옌볜대학 권철 부교수, 조선문학 고연실 주임, 이해산 강사와 용정중학 한생철 교사 등 조선족 문인과 학자들이 동행했다.

오무라 교수 등은 발견 닷새 뒤인 5월19일 옌볜민속박물관에서 전통제기를 빌려 두만강에서 잡은 생선을 제상에 올려 제사을 지냈다고 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0 토템시/ 사슴= 남영전, 해설= 현춘산(7) 2020-10-10 0 2716
1529 토템시/ 물= 남영전, 해설= 현춘산(6) 2020-10-10 0 2500
1528 토템시/ 흙= 남영전, 해설= 현춘산(5) 2020-10-10 0 2596
1527 시=흥취 2020-10-09 0 2532
1526 조선족문단 우화시 개척자 - 허두남 2020-09-08 0 2754
1525 토템시/ 백학= 남영전, 해설= 현춘산(4) 2020-09-08 0 2590
1524 토템시/ 신단수= 남영전, 해설= 현춘산(3) 2020-09-08 0 2539
1523 토템시/ 곰= 남영전, 해설= 현춘산(2) 2020-09-08 0 2436
1522 토템시/ 달= 남영전, 해설= 현춘산(1) 2020-09-08 0 2563
1521 토템과 남영전시인 11 2020-09-03 0 2906
1520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어학회" 2020-09-03 0 4021
1519 우아하게 삽시다 / 우상렬 2020-08-24 0 3174
1518 토템과 남영전 시인 10 2020-07-18 0 2994
1517 토템과 남영전 시인 9 2020-07-18 0 3245
1516 토템과 남영전 시인 8 2020-07-18 0 2990
1515 토템과 남영전 시인 7 2020-07-18 0 3556
1514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07-18 0 3416
1513 토템과 남영전 시인 5 2020-07-18 0 3305
1512 두만강은 알리라... 2020-07-17 0 3084
1511 작가들의 큰 박수를 받은 민족개념/ "길림신문"/ 김승종 2020-07-02 0 3370
1510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638
1509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282
1508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94
1507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369
1506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438
1505 토템과 남영전 시인 4 2020-06-27 0 3080
1504 토템과 남영전 시인 3 2020-06-27 0 3425
1503 토템과 남영전 시인 2 2020-06-27 0 3253
1502 토템과 남영전 시인 1 2020-06-27 0 3278
1501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0 0 3467
1500 친족, 친척 = 토템 2020-06-20 0 3009
1499 [시공부 101] - 38... 2020-05-13 0 3138
1498 [시공부 101] - 37... 2020-05-13 0 3506
1497 [시공부 101] - 36... 2020-05-13 0 4806
1496 [잊혀진 민속] - 다듬이 2020-05-08 0 4987
1495 [그것이 알고싶다] - "토템"연구와 남영전 시인 2020-05-02 0 3503
1494 [그것이 알고싶다] - "단군신화" 2020-04-30 0 3309
1493 [시문학소사전] - 토테미즘 2020-04-30 0 4180
1492 [시공부 101] - 35... 2020-04-04 0 3109
1491 [시공부 101] - 33... 2020-04-04 0 377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