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마광수-국문학 력사상 처음으로 윤동주시인의 모든 시를 분석
2017년 09월 07일 01시 14분  조회:3856  추천:0  작성자: 죽림
2017-09-06 17:45
트랜드뉴스 보기위터
왼쪽부터 마광수, 윤동주, 기형도. 동아일보DB.
 


정말입니다. 마광수 교수(1951~2017)가 없었다면 우리는 여태 윤동주 시인(1917~45)이 누구인지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할지 모릅니다. 기형도 시인이 세상 빛을 보게 된 것도 마 교수 덕분입니다.  

이제 윤 시인은 ‘국민 시인’이라고 불러도 모자람이 없는 인물. 하지만 1980년대 초반까지도 윤 시인은 이 정도 평가를 받는 인물은 아니었습니다. 정부에서 1990년 광복절이 되어서야 윤 시인에게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는 게 그 방증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윤 시인이 명성을 얻게 된 건 마 교수가 1983년 쓴 박사 논문 ‘윤동주 연구: 그의 시에 나타난 상징적 표현을 중심으로’ 덕분이었죠. 마 교수는 이 논문에서 국문학 역사상 처음으로 윤 시인의 모든 시를 분석했습니다. 그리고 그가 쓴 시에 ‘부끄러움’이라는 정서에 깔려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문제집에서 윤 시인 시를 해설한 내용은 거의 이 논문에서 따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마 교수는 이 논문에 “그의 시에 나타나는 자학적이며 자기부정적인 이미지의 대표적 보기를 들면 이 점이 분명해진다. 앞서 말했듯 ‘부끄러움’이란 시어가 나오는 작품이 10편이나 되는데, 이는 예나 지금이나 우리나라 시인들이 표피적 정서나 표피적 이데올로기(또는 사상)만을 좇는 경향과 비교해 보면 가히 파격적이리만큼 독특한 문학세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썼습니다. 

마 교수는 또 이렇게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역사는 이상하게도 ‘투사’보다는 ‘유약하지만 솔직한 사람’을 한 시대의 상징적 희생물로 만드는 일이 많다. 윤동주는 바로 그러한 역사의 희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들은 일제 말 암흑기, 우리 문학의 공백을 밤하늘의 별빛처럼 찬연히 채워주었다.”


마 교수는 소설이나 에세이를 쓰는 산문 작가로 유명하지만 원래는 청록파 시인 박두진(1916~98)의 추천으로 등단한 시인이었습니다. 그는 1983년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된 뒤 이듬해 동아일보 신춘문예 예심 심사위원을 지냈습니다. 응모작 3000편 중 15편 정도를 골라 본심에 올리는 게 그의 임무. 그해(1985년) 최종 당선작으로 뽑힌 게 바로 기 시인이 쓴 ‘안개’였습니다.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입상작을 소개한 그해 1월 5일자 동아일보 문화면. 

그러나 마 교수는 이 시를 별로 탐탁지 않게 생각했습니다. 그는 나중에 “예심을 보던 중 어떤 응모작이 전혀 마음에 안 들어서 낙선작으로 던져 버리고 난 직후에 무슨 텔레파시 같은 육감이 느껴져서 던져버린 작품을 다시 집어 들고 보니 작자가 (내가 지도 교수로 있던 연세문학회 회원) 기형도 군이었다. 그래서 완전히 인맥으로 그의 시를 특별히 뽑은 것이다. 사실 공정한 심사위원으로서는 해서는 안 될 행위였다”고 말했습니다. 

마 교수는 끝까지 기 시인을 크게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2009년 여성동아를 통해 가수 조영남 씨와 대담을 하면서 “기형도는 난해해. ‘물속의 사막’, 이게 무슨 소리야.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라는 시구가 있는 시 제목이 ‘빈집’이야. 무슨 연관이 있어? 사람들이 무슨 말인지 알고나 기형도를 좋아하는 걸까. 어려운 글은 무조건 못쓴 글”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너는/누구에게/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는 시구로 유명한 안도현 시인(52·우석대 교수)이 ’서울로 가는 전봉준‘이라는 시로 198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될 때도 마 교수가 예심 심사위원이었죠. 



 
마 교수와 동아일보의 인연은 한양대 강사 시절이던 1977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그는 그해 4월 11일자 동아일보에 ’세상을 그르치는 신념의 공해‘라는 칼럼을 실었습니다. 마 교수는 이 글에서 ”단발령을 내렸을 때 땅을 치며 통곡하던 유생(儒生)들의 애절한 신념, 그 편협한 선비주의적 신념의 잔재가 아직도 우리들에게는 미덕으로 남아 있다“면서 ”이 세상의 악과 불행은 ’이상의 결핍‘ 때문에 비롯되지 않는다. 되레 모든 악과 불행은 오로지 ’잘못된 이상‘, ’잘못된 신념‘으로부터 발생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유약하지만 솔직한 사람‘이었던 마 교수가 일생을 떠받친 신념은 아마도 ”위선적인 성(性)문화를 바로 잡자“는 것이었을 터. 하지만 여전히 ’선비주의적 신념‘이 지배하던 시대는 쉽게 마 교수의 신념을 받아들이지 못했고 그는 희생양이 되어야 했습니다. 소설 ’즐거운 사라‘를 쓴 죄로 감옥살이를 해야 했던 그는 최근까지도 ”사회적으로 학살당했다“며 괴로워했다고 합니다. 그렇게 마 교수는 우리에게 윤동주와 기형도를 남긴 채 자기 시집 제목 ’모든 것은 슬프게 간다‘처럼 떠났습니다.

”현실적, 현실적으로 되어 나도 화장을 하고 싶다/분(粉)으로 덕지덕지 얼굴을 가리고 싶다/귀걸이, 목걸이, 팔찌라도 하여/내 몸을 주렁주렁 감싸 안고 싶다/현실적으로/진짜 현실적으로“ - 마 교수 시 ’나는 야한 여자다 좋다‘ 중에서

/황규인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530 토템시/ 사슴= 남영전, 해설= 현춘산(7) 2020-10-10 0 2647
1529 토템시/ 물= 남영전, 해설= 현춘산(6) 2020-10-10 0 2468
1528 토템시/ 흙= 남영전, 해설= 현춘산(5) 2020-10-10 0 2566
1527 시=흥취 2020-10-09 0 2500
1526 조선족문단 우화시 개척자 - 허두남 2020-09-08 0 2694
1525 토템시/ 백학= 남영전, 해설= 현춘산(4) 2020-09-08 0 2524
1524 토템시/ 신단수= 남영전, 해설= 현춘산(3) 2020-09-08 0 2516
1523 토템시/ 곰= 남영전, 해설= 현춘산(2) 2020-09-08 0 2388
1522 토템시/ 달= 남영전, 해설= 현춘산(1) 2020-09-08 0 2503
1521 토템과 남영전시인 11 2020-09-03 0 2883
1520 [그것이 알고싶다] - "조선어학회" 2020-09-03 0 3901
1519 우아하게 삽시다 / 우상렬 2020-08-24 0 3148
1518 토템과 남영전 시인 10 2020-07-18 0 2950
1517 토템과 남영전 시인 9 2020-07-18 0 3209
1516 토템과 남영전 시인 8 2020-07-18 0 2967
1515 토템과 남영전 시인 7 2020-07-18 0 3528
1514 토템과 남영전 시인 6 2020-07-18 0 3378
1513 토템과 남영전 시인 5 2020-07-18 0 3268
1512 두만강은 알리라... 2020-07-17 0 3058
1511 작가들의 큰 박수를 받은 민족개념/ "길림신문"/ 김승종 2020-07-02 0 3346
1510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93
1509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242
1508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557
1507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341
1506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7 0 3393
1505 토템과 남영전 시인 4 2020-06-27 0 3053
1504 토템과 남영전 시인 3 2020-06-27 0 3387
1503 토템과 남영전 시인 2 2020-06-27 0 3228
1502 토템과 남영전 시인 1 2020-06-27 0 3233
1501 토템과 남영전 시인 2020-06-20 0 3416
1500 친족, 친척 = 토템 2020-06-20 0 2978
1499 [시공부 101] - 38... 2020-05-13 0 3098
1498 [시공부 101] - 37... 2020-05-13 0 3389
1497 [시공부 101] - 36... 2020-05-13 0 4694
1496 [잊혀진 민속] - 다듬이 2020-05-08 0 4892
1495 [그것이 알고싶다] - "토템"연구와 남영전 시인 2020-05-02 0 3470
1494 [그것이 알고싶다] - "단군신화" 2020-04-30 0 3246
1493 [시문학소사전] - 토테미즘 2020-04-30 0 4033
1492 [시공부 101] - 35... 2020-04-04 0 3091
1491 [시공부 101] - 33... 2020-04-04 0 373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