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는 멀리 있는것이 아니라 가까이에 살그머니 있다...
2017년 08월 22일 00시 26분  조회:1878  추천:0  작성자: 죽림

 

 [詩論]

시는 가까이 있다

백석(白石, 1912 - 1996)

 

 

생활에서 유리된 시, 심지어는 자기 자신의 감정에서까지도 유리된 시들이 어떻게 남을 감동시키며, 어떻게 인간의 생활에 기쁨을 줄 수 있겠습니까? 누구나 다 하는 말을 자기의 말처럼 자기의 시라고 하여 적는다는 것은 시를 느낄 수 있는 깨끗하고 자랑 높은 마음으로써는 할 수 없는 일입니다.

 

그리고 또 우리들의 시에는 왜 사색이 없습니까? 작자가 자기 마음속에 늘 가지고 있는 어떤 뿌리 깊은 문제에 대한 사고가 감동의 높이에까지 이를 때, 이것을 시로 표현하여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감동 속에서 그 문제를 사색하게 하는 시를 우리는 하나도 볼 수 없었습니다.

 

어린 가슴에는 어린 대로 깊은 감동을 짝하는 사색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붙들 때, 우리에게는 나이 많고 적음을 떠나 깊은 충동을 받는 것입니다. 참으로 문학이란 사람들로 하여금 이 우주 자연과 인간사회의 모든 아름답고 깊고 먼 것들을 두고 감동 속에 사색하게 하는 것입니다.

 

그림도 좋은 그림은, 그 그림 앞에서 차마 떠나지 못하게 사람의 마음을 붙드는 것이요, 시도 또한 사람의 마음을 붙들어 그 무엇인가를 오래 생각하게 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짧은 시라도 사람의 마음을 오래 붙들 수 있는 것입니다. 아무리 어린이의 시라도 늙은이의 마음을 또한 붙들 수 있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시에 있어서는 언제 어디서나 논의되고 검토되고 비평 되여야 할 것은 언어입니다. 이것은 작품형상의 첫 길이며, 작품정신의 안목입니다. 우리 독자들의 시 작품들에서는 개념적인 언어가 많이 쓰여 지고 있는 것이 결함입니다. 더욱이 남의 말을 자기의 말로 여기는 것은 긍지를 가진 문학학도가 할 일이 아닙니다.

 

시에서 자기의 세계를 찾을 때, 말도 또한 제 것이 생겨나는 것인가 합니다. 시에서 특히 어린이들의 세계와 관계되는 시에서는 그 말이 단순하여야 하며, 소박해야 하며, 순진해야 하며, 맑아서 밑이 환히 꿰뚫려 보이고, 다치면 쨍 소리가 나는 그런 말이여야 할 것입니다...(중략)...

 

시를 쓴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자기 자신에게 거짓이 없어야 되는 것임을 깨달을 때, 비로소 좋은 시를 낳을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이 가지지 못한 것을 가진 듯이, 느끼지 못한 것을 느낀 듯이 속여 본다하여도 결국은 아무도 속이지 못하고 자기 자신만을 속이게 되는 것입니다.

 

무엇을 쓸까? 어떤 시를 지을까? 하고 생각하지 말고, 우선 자기 자신이 무엇을 볼 때, 무엇을 들을 때, 무엇을 꿈꿀 때, 무엇을 느낄 때 즐거우며, 흥분하게 되며, 감동을 받게 되며, 행복한 것을 깨닫게 되는가 하는 것을 생각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이 감동 속에서 자기의 마음을 표현하여 보면, 이것이 시로 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많은 시들이 멀리 있지 않고 가까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30 남미주 아르헨티나 시인 - 보르헤스 2018-01-10 0 4674
929 하이퍼시의 뿌리는 중국시전통에 있으며 대간을 이루고있다... 2018-01-10 0 3324
928 {쟁명} - 하이퍼시는 은유와 환유의 잔치, 설명과 해석은 금물. 2018-01-10 0 2491
927 <서시> 시모음 2018-01-10 0 2614
926 [시단소사전] - "글쓰기 충전구멍가게"... 2018-01-10 0 3118
925 "모든 죽어가는것" 中 하나가 "조선어"였던것 같다... 2018-01-09 0 2439
924 <해빛> 시모음 2018-01-09 0 2456
923 <별> 시모음 2018-01-09 0 2162
922 <콩나물> 시모음 2018-01-09 0 2323
921 보이지 않는것들을 볼수있는 4차원적 발견의 눈을 길러라... 2018-01-07 0 2262
920 항상 수첩을 가지고 다니며 늘 기록하라... 2018-01-07 0 2150
919 [작문써클선생님께] - 동시를 어떻게 쓸가ㅠ... 2018-01-07 0 2357
918 "과연 당신만의 '십자가'를 짊어질수 있는 용기가 있는기여?"... 2018-01-07 0 2397
917 {쟁명} - 하이퍼시는 단일체가 아니라 다양체와의 춤사위이다 2018-01-05 0 2636
916 {쟁명} - 하이퍼시는 자아가 아니라 타자와 노는것이다... 2018-01-05 0 2464
915 詩人 김파님께서는 갔으나 詩伯 김파님께서는 가지 않았다... 2018-01-05 0 2756
914 이상(李箱)의 시는 이상(李箱) 이상(以上)이었다... 2018-01-04 0 2554
913 "솔숲은 늘 푸른데, 숲에 난 발자국은 모두 다르더라"... 2017-12-28 0 3469
912 교육선구자 김약연과 명동학교를 아십니까?!... 2017-12-28 0 2974
911 <시간> 시모음 2017-12-28 0 3035
910 해골의 노래에 맞춰 무도회는 잘도 돌아간다... 2017-12-27 0 3389
909 "네 젊음을 가지고 뭘 했니?"... 2017-12-26 0 3223
908 <말(言)> 시모음 2017-12-24 0 2439
907 시와 시작론 2017-12-22 0 2041
906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7 2017-12-22 0 2303
905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6 2017-12-22 0 2177
904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5 2017-12-22 0 2460
903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4 2017-12-21 0 2590
902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3 2017-12-21 0 2462
90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조, 동시, 시 차이점?... 2017-12-21 0 3611
900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2 2017-12-21 0 2612
899 친구들아, 어서 빨리 "동시조"랑 같이 놀아보쟈... 2017-12-21 0 2283
898 세상에서 제일 보배로운 동요동시를 내 눈언저리에 붙혀주렴... 2017-12-21 0 2426
897 웃음은 모든 인간들의 모든 독을 제거하는 해독제이다... 2017-12-20 0 2393
896 <돌> 시모음 2017-12-19 0 2589
895 산골물 / 윤동주 2017-12-17 0 2962
894 애독자 비행기 조종사가 유명한 작가 비행기 조종사를 죽이다... 2017-12-17 0 3819
893 윤동주, 백석, 릴케 - "삼종(三鐘)의 종소리 웁니다"... 2017-12-16 0 4110
892 "암울한 시대에 시를 써보겠다고 생각했던 내가 어리석었다!"... 2017-12-16 0 3581
891 치욕의 력사에서 참회의 역사로 바꾸어 놓은 시인 - 윤동주 2017-12-16 0 3727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