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한자 "현지원음" 표기법 폐지되어야...
2017년 08월 17일 01시 14분  조회:3026  추천:0  작성자: 죽림
한자 '현지 원음' 표기법이
폐지되어야 하는 6가지 리유 /김봉술
2017년 08월 10일 

      (흑룡강신문=하얼빈)
한자로 된 지명, 인명에 대하여 '한국어'로 표기할 것이냐, 아니면 중국어 '현지 원어'로 표기할 것이냐를 놓고 우리는 최근 1년이 넘도록 옥신각신하였으나 지금껏 시원한 답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중국의 전문번역인들이 한국 모 출판사의 청탁으로 총 15권이나 되는 총서(시리즈)를 번역하게 되었는데 그 내용이 중국의 상고시대 신화로부터 신해혁명에 이르기까지의 방대한 분량으로서 거기에 나오는 고대, 현대 지명과 인명이 아마 수천 개는 넘는다는 데서였다.

  우리는 재래의 한글로 새겨야 한다는 원칙 하에서 그대로 번역하였더니 한국 측에서 신해혁명 후의 현대, 당대의 것은 '중국말 원음'대로 새기라고 원고를 되돌려 보낸 것이었다. 한국 '국립국어원'의 '성지'가 없는데다 설사 있다 해도 그 많은 인명, 지명을 우리로선 '현지 원음으로 창작'해낼 '수준'이 없었다.

  그리하여 항변하였더니 한국 출판사 측에서는 '원칙'이니 방법이 없다는 것이었다. 우리는 하는 수 없이 울며 겨자 먹기로 '현지 원음'을 '창작'해내기는 하였지만 '현지 원음'에 비교적 숙달하다고 할 수 있는 우리로선 흡사 개구리를 삼킨 듯 꺼림직함을 금할 수 없었다.

  첫 번째는 방대한 역사책이다 보니 5천 년 전부터 지금까지의 인명, 지명이 혼잡해 있다는 것이었다. 한 페이지 안에도 고대와 현대가 뒤섞여 있었다.예를 들면 같은 지명 '南京'을 한 페이지에서 '남경'과 '난징' 두 가지로 표기해야 하니 전문번역인이 진땀을 빼는 것은 물론 독자들도 오리무중에 빠질 것이 분명하다.

  두 번째는'원칙'대로라면 신해혁명을 기점으로 전과 후로 나누어 각기 다른 표기 기준을 적용하라는 것. 그런데 난감한 것은 많은 등장인물이 신해혁명 전과 후에 거쳐 생존했다는 점이다.예를 들어 신해혁명을 직접 이끈 손무(孫武)는 무창봉기(武昌起義: 신해혁명)를 직접 지도하고 그 후에도 생존하였는데 그렇다고 같은 사람인데 그 이름을 봉기 전에는 '손무'라 하고 봉기 승리 후에는 '쑨우'라 해야 한단 말인가? 또 예를 들어'毛澤東(모택동)'은 1893년에 태어났으니 1911년까지는 '모택동'으로 표기하고 그 후부터는 '마오쩌둥'으로 표기해야 하는가? 난감한 일이다.

  세 번째는 중국어 병음 'R, F, SH...' 등 발음이 들어가는 글자 '融,飛,上'의 표기이다. 이런 글자의 발음에 꼭 들어맞는 '현지 원음'표기를 찾을 수 없어 우리는 쩔쩔매야 했다. '국립국어원'의 '박사' 들도 별 뾰족한 수가 없을 것이다. 그건 우리 한글 발음에 이런 음이 존재하지 않으니깐. 이런 음과 비슷한 음에다 어떤 기호를 붙이고 유치원 시기부터 익히게 하든지 아니면 문장 한가운데에 '국제음성기호'를 박아 넣든지 등의 방법을 쓰는 것 외에는…

  또 예를 들어 '원칙'대로라면 '北京BEIJING'을 '베이징'이라고 표기하는 것이 맞는데 기실 한어에서의 'B'는 영어에서와 달리 'ㅃ'에 해당함으로 '현지 원음'으로 하면 '뻬이징'이 더 가깝다.

  번역 과정에서 우리는 어디서 이런 '아닌 밤중에 홍두깨 내밀 듯'한 '현지 원음' 원칙이 나타나 사람을 괴롭히는지 투덜거렸다. 하지만 그것이 한국 권위 '국립국어원'에서 제정한 것이라고 하니 할 말을 잃었다.

  하지만 어찌하여 한자를 이용하기 시작하여서부터 2, 3천년 이상은 실히 되고 <훈민정음>이 1453년에 출범되어서도 600년에 가깝게 고정된 한자 '한글법'을 헌신짝 버리듯 던지고 이런 '사불상(四不象)'의 '원칙'을 재창조하였는지? 그 '한글법'이 중국과의 교류에 무슨 지장을 끼치는지? 중국어를 배우는데 유리한지 불리한지? 정말 모를 일이다.

  남과 북을 망라한 조선반도는 우리 한글(중국에서는 조선글이라 함)의 모체로서 거기에서 우리말에 맞는 새로운 단어들이 창출되지 않고 '사용원칙'이 확고하지 못해 이리저리 뒤흔들리면 아름답고 과학적인 우리말이 정체되고 갈팡질팡하고 말 것이다.

  중국의 조선족 언어 상황을 놓고 보더라도 한자 '현지 원음'의 영향으로 심지어 신문지상과 출판물에서까지 이런 거북한 '현지 원음 단어'들이 심심찮게 나타나 '현지 원음'에 익숙한 '현지 사람'마저 곤혹에 빠뜨린다. 중국어에 능숙지 못한 농촌에 가면 신문을 들고 '칭다오, 다롄, 원자바오…' 처럼 익숙한 지명이나 인명도 알아볼 수 없다고 물어보는 이가 많다.

  개탄할 일이 아닌가! 거기에 한자어의 '사성(四聲)' 마저 어수룩하면 당신이 아무리 진땀을 빼며 '현지어'를 구사해도 '현지 원어'에 능숙한 한족은 물론 웬만한 '현지어'와 '한글어'를 장악한 우리 조선족일지라도 멍청해지고 말 것이다. 지금은 외래어표기법을 수정하느냐 하지 않느냐 하는 따위를 쟁론할 것이 아니라 터무니없는 이런 법을 과감히 팽개쳐야 한다는 것이다.

  나의 천박한 소견으로도 모아 보면 한자 '현지원음원칙'은 아래와 같은 치명적인 폐단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수천 년 생산과 생활 가운데서 우리 민족이 한자를 자기의 언어습관에 알맞도록 받아들이기 위해 고명하게 창조하고 고정시킨 우리말 한자 '한글법'을 송두리채 뽑아 버렸다. 우리 민족은 우리글인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썩 전부터 '이두', '향찰' 등 형식으로 한자를 우리 언어습관에 맞게 이용하여 왔다. 그때도 비록 우리 문자는 없었지만 읽을 때 "孔子曰,孟子曰…"을 결코 '쿵즈웨, 멍즈웨…'가 아닌 '공자 왈, 맹자 왈…'로 읽었음을 나는 확신한다.

  그런데 오늘날 '나라 말씀이 중국과 달라'를 명백히 지적한 <훈민정음>이 창제된 지도 약 600년 되고 '하늘 천, 따 지'를 가르친 '천자문'도 일찍 그 새김을 우리말로 고정시켜 거침없이 쓰이고 있은지도 오랜데 어찌하여 새삼스레 역사의 수레바퀴를 되돌리려 하는지 그 심사를 알 바 없다.

  두 번째는 조상님께서 만드신 '옥편(玉篇)'을 들춰보시라. 우리 현명한 조상들은 수천수만 개에 달하는, 그처럼 어렵고 낙후한 한자를 우리말에 맞도록 한 글자도 빠짐없이 새겨 후손들에게 넘겨준 데서 한자를 우리말로 들여오는데 지름길을 개척하여 주었다. 그 '옥편' 대로 한자를 우리말로 옮긴 '한자어'는 떳떳한 우리말이지만 '현지원음법'에서의 새김은 우리말을 되돌려 '외국어'로 퇴화시키는 반역이다.

  조사에 의하면 우리말에 한자어가 70% 이상을 점한다고 하는데 '현지원음원칙'이라면 그것들도 한어원음대로 새겨야 하지 않겠는가? 지명, 인명만, 그것도 '신해혁명' 이후의 것만 그렇게 새긴다고 하는데 이건 무슨 '원칙'을 근거로 한 '원칙'인가? 다른 지명들은 '현지원어'로 새겨야 한다면서 유독 가장 돌출한 지명인 국명 '중국'만은 또 외따로 빼놓고 '현지원음'으로 표기하지 않는 '원칙'은 또 무엇인가? 도무지 납득이 가지 않는 '원칙'이다.

  세 번째는 간단한 지명 따위를 '현지원어'로 몇 개 외워도 별 쓸모가 없다는 점이다. 옛적의 지명은 그래도 둬 글자씩 간단하였지만, 지금은 시대의 발전에 따라 지역이 넓어지고 사회가 세분화되고 고층건물들이 즐비하게 일떠서면서 상세한 지명은 너무 길어졌다.

  원음대로의 '베이징, 샹하이'와 같은 지명은 얼버무려도 그런대로 비행기 등 교통수단이 목적지까지 모셔다 드릴 것이다. 문제는 도착한 후 어떻게 지점을 찾는가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북경에 내려서 한 고장을 찾는데 **구, 구역, 청사, 번지 등 상세한 것을 '원칙'에 따라 '현지 원음'으로 구사하면 듣는 사람은 중이 염불하냐고 할 것이다.

  '원칙'에 따라 배운 대로 구사하느라 애를 먹지 말고 종이조각에 주소를 적어가지고 다니다 보여주는 편이 나을 것이다. 그리고 이런 장편의 지명을 책에 싣는다면 보는 사람은 '천서'를 읽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지 않을까?

  네 번째는 중국도 외국인데 지명이나 성명을 '현지 원음'으로 부르는 것이 원칙이 아닌가 하고 반론할 것이다. 맞는 말이다. 미국의 '워싱턴'이나 영국의 '런던'을 '현지 원음'에 가깝도록 표기해야 함은 에누리없는 '원칙'이다. 다른 방법으로 표기할 수 없으니깐.

  하지만 중국의 경우는 다르다. 중국에서 통용하는 한자와 우리 민족의 고유 언어인 한글 사이에는 다른 언어와는 있을 수 없는 '혈연' 관계가 있어 한글의 한자어로 중국 지명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표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태여 이미 기성된 우리말 한자어를 '긁어 부스럼 만드는 격'으로 퇴화시킬 하등의 필요성도 없다. 그리고 중국 역시 반대할 이유가 없다. '중국'을 '쭝궈'라고 부르지 않아도 전혀 문제 될 것 없지 않은가!

  다섯 번째는 현대적 수단인 컴퓨터 사용에 막대한 어려움을 안겨준다. 예를 들어 '북경'을 베이징'으로 표기고 한자 '北京'을 찾을 수가 없다. 반대로 북경을 한자로 써놓고 음독을 찾으려면 베이징이 나올 리 만무하지 않은가? '컴퓨터를 통틀어 다시 새기면 되지 그것이 무슨 대수냐' 하고 반문할 이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처럼 '기어코 호박 쓰고 돼지 굴로 들어가겠다'는 그 발상부터가 안쓰럽다. 또한 범민족의 견지에서 보면 남한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이런 '원칙'을 쓰지 않으니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민족언어의 통일에 해가 되지 않겠는가?

  한자 한글새김은 예로부터 써온 완벽한 '법칙'으로 이미 우리 민족의 언어습관에 깊이 파고들었기에 생뚱 같은 한자 '현지 원어' 법을 철폐하여도 혼란이 생길 걱정이 없으며 설사 얼마간 생기더라도 장래의 '혼전'에 비하면 치러야할 대가가 훨씬 적을 것이다.

  많은 견해를 종합하여 시비를 가림으로써 한자 현지원어법이 하루속히 종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37 [그것이 알고싶다] - 앗차, 실수한 물건이 과학박물관에?!... 2017-10-11 0 6124
1436 [그것이 알고싶다] - 똑같은 모양으로 평면을 덮을수 있는것?... 2017-10-11 0 7942
1435 [그것이 알고싶다] - "착시"?... 2017-10-11 0 6109
1434 [그것이 알고싶다] - 충격적인 "삼각형" 2017-10-11 0 5814
1433 [이런저런] - 이미 결정된 "노벨상" 취소할 수 있다?... 없다!... 2017-10-10 0 3552
1432 중국에서 유일하게 입선된 무용류 문화재 - "조선족농악무" 2017-10-10 0 3566
1431 재외동포문학의 소중한 자산을 외연에 넓히고 장벽을 넘기... 2017-10-10 0 3580
1430 [그것이 알고싶다] - 안중근 유묵을 받은 이는 모두 일본인들 2017-10-09 0 4389
1429 [쉼터] - "퍼뜨리지 말라, 퍼뜨리지 말라, 역시 퍼뜨리지 말라" 2017-10-09 0 3634
1428 [이런저런] - 제발 姓씨를 본인의 요구대로 쓰게 해주세요... 2017-10-09 0 3660
1427 [쉼터] - 아름다운 추억은 영원하다... 2017-10-09 0 3127
1426 호날두 = "당신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2017-10-09 0 3164
1425 한글 쓰는 나라에서 제발 한글로 간판쓰기를... 2017-10-09 0 3722
1424 노벨문학상 수상후의 여담들 2017-10-09 0 3607
1423 세종대왕의 세가지 후담 2017-10-09 0 3923
1422 [고향문단] - 중국 연변작가협회 조선족 회원 600여명 2017-10-09 0 3752
1421 쿠바는 영원히 체 게바라를 잊지 않는다... 2017-10-09 0 3426
1420 [이런저런] - 신기한 동물세계- "강제 짝짓기" 2017-10-08 0 4553
1419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말, 언어" 명언모음 2017-10-08 0 4328
1418 [이런저런]- "지옥의 구멍"에서 죽은 동물들이 살아나온다고?... 2017-10-07 0 6834
141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새끼 갈색곰들아, 엄마 곰 찾았니?... 2017-10-07 0 3706
1416 [이런저런] - 애완동물들도 지나가길 원치 아니하는 학교 2017-10-07 0 3671
1415 [그것이 알고싶다] - "무릇"(3)?... 2017-10-06 0 4846
1414 [그것이 알고싶다] - "무릇"(2)?... 2017-10-06 0 5178
1413 [그것이 알고싶다] - "무릇"?... 2017-10-06 0 5637
1412 [그것이 알고싶다] - "마늘"은 아니고 "무릇"?... 2017-10-06 0 3849
1411 [이런저런] - 길고양이가 자살자를 살리다... 2017-10-06 0 3408
1410 [이런저런] - 도자기 경매 최고가의 조그마한 접시 2017-10-06 0 3567
1409 [이런저런] -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2017-10-06 0 3463
1408 [쉼터] - 911점 다이아몬드가 박힌 검 2017-10-06 0 3544
1407 [그것이 알고싶다] - 달, 지구, 태양, 우주... 2017-10-06 0 4053
1406 [이런저런] - 자동차가 두둥실... 2017-10-06 0 3747
1405 [이런저런] - "숨막히는 사진" = 절대 따라 하지 말기 2017-10-05 0 3293
1404 [이런저런] - 7m나되는 비단배암 2017-10-05 0 3816
140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비들기까지 염색하다니... 2017-10-05 0 3436
1402 [이런저런] - "초현실주의 도로" = 보행자와 저전거에게~~~ 2017-10-05 0 3145
1401 [아이디어장터]+정말로 진짜로- 시부모님 오시기전 감춰두기... 2017-10-04 0 4698
1400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상 수상 확률 높히자면... 2017-10-04 0 3755
1399 [이런저런] - "괴짜" 노벨수상자 2017-10-04 0 3213
1398 [이런저런] - 락타 그림자는 락타가 아니다... 2017-10-03 0 3521
‹처음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