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 현대시인 - 변지림
2017년 05월 07일 01시 10분  조회:4820  추천:0  작성자: 죽림

download?fid=642219ddfdfccb003bb619f2e71 

 

단장(斷章)
                 - 변지림(1910~2000
卞之琳)
 
你站在桥上看风景,
 

그대는 다리에 서서 풍경을 바라보고,

看风景人在楼上看你.

 

 

풍경을 바라보는 사람은 누각에서 그대를 바라본다.
明月装饰了你的窗子,

 

 

밝은 달은 그대의 창을 장식하고,
你装饰了别人的梦

그대는 다른 사람의 꿈을 장식한다.

 

 

(Fragment)

 

 

When you watch the scenery from the bridge,

The sightseer watches you from the balcony.

 

 

The bright moon adorns your window,

 

 

While you adorn anothers dream.           

 

 

 

 

-------------------------------------------
 
중국 대륙의 풍미 깃든 연애시
내 마음 비추는 듯 애틋하여라...

이 시 참 묘하다.
수묵화 한 폭을 연상케 하는 고졸하면서도 촉촉한 서정이 연애시를 넘어 애틋한 인생의 비장함을 풍긴다.
 
변지림(볜즈린)은 ‘현대파’라 불리는 중국의 모더니스트 시인 겸 번역가다.
1990년 홍콩에서 그를 만났을 때 팔순이 넘었어도 단아한 서정 시인으로서 인상이 진했다.
이 시는 수천 년간 면면히 이어져온 중국 산수화가 서른 몇 자에 농축된 느낌이었다. 
 ‘단장’은 변지림이 1930년대 베이징대 영문과에 다니던 시절에 만났던 명문가 재원 장충화(장충허)를 주제로 한 시다. 너무 담담한 마음이었기에 장충화는 말년에 이르기까지 변지림이 자신을 좋아한 줄 몰랐다고 전해진다. 나도 최근에 와서야 알았다.


/김명호 성공회대 교수
 


또 하나의 시에 대한 강평=

풍경 속에 그대와 나.

  길을 걷다가 보면 앞서간 사람이 
나에게 풍경이 되는 줄도 모른 채 걸어가고
역시 뒤 따라오는 사람에게 내가 풍경이 되는 줄을 모르면서
걸어갈 때가 있다.

어쩌면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늘 그러하리라.
내가 당신의 꿈을 가끔씩 들여다보고 싶은 것처럼
당신도 나의 꿈을 들여다보고 싶지만,
절대로 가능하지 않다.

가능하다 할지라도 설령 들여다보아서 무엇을 알 수 있고,
변할 것이 무엇인가.
다만 꿈꿀 수 없는 것을 꿈꾸며 사는 것이 인생이고,
그게 행복이라면 행복인 것이 이 세상의 변할 수 없는 이치다. 

중국의 현대시인인 변지림卞之琳은 <단장斷章>이라는 시를 통해
멀리서 바라보는 풍경과 꿈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당신은 다리 위에서 풍경을 보고
풍경을 보는 사람은 누각에서 당신을 본다.
명월은 당신의 창문을 장식하고
당신은 다른 사람의 꿈을 장식한다.“ 

꿈을 꾸며 또 다른 꿈을 꾸는 것과 같이
서로가 서로에게 풍경이 되어 주고 꿈이 되는 경이로움이
여기저기에서 펼쳐지는 것이 이 지상이다.

“너는 나를 풍경으로 삼고, 나도 너를 풍경으로 삼는다.
나와 너의 형상은 서로 상대방의 창구나 꿈속에서 교환된다.“고
변지림 시인이 자평했던 이 시를 두고 평론가 이건오李健吾는
다음과 같이 평했다.

“이 시인은 인생을 장식裝飾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말로 다할 수 없는 슬픔을 암암리에 담고 있다.“

꿈이 그렇지만 풍경이라는 것도 어느 순간에 보느냐에 따르고
누구와 보았느냐에 따라, 어떤 시간의 경과 끝에 보았느냐에 따라 다르다.

나뭇잎이 우수수 지고, 
바람이 이 세상 구석구석을 스산하게 스치고 지나가는 11월의 신 새벽,
조금 일찍 일어나 창문을 열자 내 가슴을 파고드는 싸늘함,

“그는 사라져 가는 풍경을 바라보듯, 
자기가 방금 떠나온 그 사랑을 바라보고 싶었다.”라고
마르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묘사한 것처럼,
가는 한 해를 물끄러미 지켜보고 있는
한 사내, 
그래, 겨울은 겨울이로구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83 詩의 세계속에는 지상과 천상이 한 울타리에 있다... 2016-10-20 0 4206
1682 詩란 삶이 이승사자를 찾아가는 과정속의 울음이다... 2016-10-20 0 3970
1681 "말똥가리"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6-10-20 0 4795
1680 폴란드 녀류시인 - 비수아바 심보르스카 2016-10-20 0 4862
1679 고대 그리스 녀류시인 ㅡ 사포 2016-10-20 0 4903
1678 고대 그리스 맹인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16-10-20 0 5579
1677 神들은 문학과 취미의 부문에 속하다... 2016-10-20 0 4932
1676 최초로 음악가가 "노벨문학상"을 걸머쥐다... 2016-10-19 0 5349
1675 <밥> 시모음 2016-10-19 0 3788
1674 詩를 쓸 때 꼭 지켜야 할것들아... 2016-10-19 0 4133
1673 詩란 백지위에서 나를 찾아가는 려행이다... 2016-10-18 0 4192
1672 락서도 문학적 가치를 획득할 때... 2016-10-17 0 4620
1671 詩란 낡아가는 돌문을 천만년 들부쉬는 작업이다... 2016-10-17 0 4422
1670 모든 문학예술은 련속성안에 있다... 2016-10-17 0 4262
1669 죽음은 려행이며 려행은 곧 죽음인것이다... 2016-10-17 0 4145
1668 시인으로서 살것인가 아니면 살인자로서 살것인가... 2016-10-16 0 4726
1667 한춘시인이여! 하늘나라에서 편히 쉬소서... 2016-10-16 0 4134
1666 마지막 단어라는것은 없다... 2016-10-16 0 3893
1665 무질서는 세계를 만들어낸다... 2016-10-16 0 3903
1664 동시 창작론 / 유경환 2016-10-16 0 4150
1663 동시 창작론 / 신현득 2016-10-16 0 4353
1662 미국 최후의 음유시인 - 월트 휘트먼 2016-10-16 0 5880
1661 모더니즘 대표적 영국 시인 - T.S.엘리엇 2016-10-16 0 7067
1660 詩란 언어비틀기가 오로지 아니다... 2016-10-16 0 4963
1659 詩는 태초부터 노래말, "활자감옥"속에 갇힌 문학 도망치기 2016-10-16 0 4077
1658 솔솔 동시향기 흩날리는 동시인 ㅡ 강려 2016-10-14 0 3643
1657 중국조선족 제2세대 대표적 시인 - 리상각 2016-10-14 0 4336
1656 詩에게 말을 걸어보다... 2016-10-14 0 3988
1655 음유시인 전통의 뛰여난 후계자 ㅡ 노벨문학상 주인 되다... 2016-10-14 0 5026
1654 詩란 막다른 골목에서의 정신과의 싸움이다... 2016-10-14 0 4043
1653 詩란 꽃씨앗을 도둑질하는것이다... 2016-10-14 0 3889
1652 난해한 말장난의 詩가 "최고의 현대시"인가?!... 2016-10-14 0 3887
1651 숟가락 시모음 2016-10-12 0 4172
1650 시인들이 이야기하는 詩모음 2016-10-12 0 4326
1649 명태 시모음 2016-10-12 0 6309
1648 어머니 시모음 2016-10-12 1 5466
1647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2016-10-12 0 4285
1646 영남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들은 많아도 詩를 쓰는 놈은 딱 하나 영남 뿐! 2016-10-12 0 3708
1645 중국 조선족 시단의 기화이석 - 한춘시론 2016-10-12 0 3677
1644 詩의 독해(讀解)는 천파장 만파장이다... 2016-10-12 0 3816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