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그대들의 마음속엔 어떤 나무를 심었는가?!...
2017년 04월 18일 21시 54분  조회:2297  추천:0  작성자: 죽림
 

 

 

 

   위진남북조시대에  생존했던  중국의  자연(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 365~427)은  문  앞에  버드나무  다섯  그루를  심어놓고  스스로  '오류선생(五柳先生)'  이라고  호를  삼았다. 

 柳 자는  <한자나무>의   저자, 랴오원하오(廖文豪)의  해석에 의하면,   '애틋하게  이별하는  나무'라   한다(김락준 옮김,  한자나무,  아템포,  2015,  p.103).   하지만,  도잠이  41세에  관직과  속세를  떠나게  된  심정  때문이라기  보다는  자연과  벗하기  위해서  버드나무를  심었던  것  같다. 

 도연명은  <오류선생전>이란   짧은   글을   통해서   자신의   인생관과   생활관을   집약적으로   표현하였다.   자시자종(自始自終),  즉 시작이   있으면   마침이   있다는   스스로   그러한   삶을   살다   귀천하였다.

 

반면,  영국의  계관시인 ,  알프레드  테니슨경(Alfred Lord Tennyson, 1809~1892)의  저택  앞에는  큰  오크(oak ; 떡갈나무나  졸참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다.  시인은   82세에  오크의  춘하추동을  예찬한   시, 'The Oak' 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인생을  오크처럼  살라  당부한다. 

테니슨경은   오크의   겨울을   인생의   노년기에   비유하면서,   오크가   잎을   다   벗지만   '적나라(赤裸裸)한  힘',  즉   입고   있던  옷을   다   벗은   뒤에도   남아   있는   힘,   나력(裸力, naked strength)을   지녀야   함을   강조한다(윤석철, 삶의 정도, 위즈덤하우스, 2017, p.181).

 

나와   너   그리고   그대들의   집   앞에는   무슨   마음의   나무(吾心之木)를   심었는가?

 


출처:[금재설화(錦載屑話)]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69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731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315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4032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091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844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327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43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37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473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3061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604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70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330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414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133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323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987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259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925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710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648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248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45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598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2990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794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3000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248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626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680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789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432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39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3008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909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65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947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640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826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