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77세에 등단, 80세에 詩集 출간...
2017년 03월 20일 18시 53분  조회:3678  추천:0  작성자: 죽림
 
80세에 첫 시집낸 노시인 '별의 언덕' 노래
77세에 등단한 채행무 시인 출판기념회 열어
 
2010년 12월 05일 (일) 신영규 시민기자 
 
   
  ▲ 채행무 시인  
 

시인은 가진 것이 없어야 한다. 시인은 버릴 줄 알아야 한다. 시인은 눈물이 많아야 한다. 시인은 그대 같은 아쉬움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시인의 삶은 구도자의 삶과도 같다. 시를 통해 자신의 내면세계를 드러내지만 그 작품을 읽는 이들의 마음과 영혼을 맑게 하는 시인의 삶은 그의 시에 그대로 투영되기 때문이다.

“시인의 꿈은 학창시절 때부터 있었습니다. 그 꿈 한 조각이 이제 이루어 진 것 같습니다. 내 몸과 마음이 허락하는 날까지 시 창작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입니다.”

77세에 등단하여 80세에 시집을 낸 채행무(80) 시인의 첫 시집 “별의 언덕에서”출판기념회가 4일 오후 4시 전주 호남성 3층 대연회장에서 열렸다.

한국신문학인협회 전북지회가 주최한 이날 출판기념회는 신문학 김종선 회장을 비롯, 행촌수필 고재흠 회장, 전북수필 이남구 회장 임실문협 김여화 전 회장과 회원, 채 시인의 가족ㆍ친지 등 약 70여명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신문학 전북지회 신청림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 신문학 김종선 전북지회장은 축사를 통해 “채 시인의 삶은 한편의 드라마였으며, 팔순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노익장을 과시해 시집을 낸 그 용기에 찬사와 박수를 보낸다”며 채 시인의 시적 역량을 높이 평가했다.

이어 행촌수필 고재흠 회장은 “저서는 아무나 남기지 못하며, 77세에 등단, 80세에 시집을 낸 채 시인은 극히 보기 드문 예로 그의 시 창작열은 한국문단에 영원히 기억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인생 길”등 총 5부로 구성된 시집 “별의 언덕에서”는 자연과 인생, 그리고 일상의 편린을 모은 것으로 채 시인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날 출판기념회는 임실문협 김춘자, 김영숙, 이재복 회원과 채 시인의 가족이 채 시인의 시 “어머니”와 “아버지”를 낭송해 분위기를 숙연하게 만들었다.

시인은 응당 눈물이 많은 사람이다. 또한 사소한 것에도 웃음을 풍기는 사람이 시인이다. 가족과 주위의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전혀 모르는 사람의 즐거움에도 함께 할 수 있어야 진짜 시인이다. 결국 시인은 감정의 폭이 큰 사람인 것이다.

채 씨는 1931년 전북 군산에서 출생하여 1949년 전주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교직에 머물다 사직했다. 2007년 월간 <문학공간>으로 등단하여 시인이 된 후 한국문협, 공간시인협회, 한국신문학, 포천문인협회, 임실문인협회, 영호남수필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번에 첫 시집 “별의 언덕에서”를 상재했다. 

/신영규 시민기자

=============================================
한국신문학인협회가 주최하는 제5회 한국신문학상에 군산 출신 채행무(81)시인이 ‘별의 언덕에서’로 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지난 26일 오후 6시 서울 사간동 대한출판문화회관 4층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심사위원장인 김두환 원로시인은 “채행무 시인은 77세에 등단하여 80세에 첫 시집 ‘별의 언덕에서’를 상재한 늦깎이 시인이면서도 항상 시를 가슴에 담고 창작하며 살아가는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며 “그의 첫 시집에 수록된 작품들을 통하여 이미지에 의거하여 시의 에스프리를 추구하는 현대시의 일방적 경향을 탈피하여 우리 시의 전통적 운율을 복원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평했다. 

이에 채 시인은 “자신을 대상으로 선정해준 심사위원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 사는 날까지 좋은 시를 쓰기 위해 늘 좋은 생각을 가슴에 새기며 살아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편, 채 시인은 군산 출생으로, 전주 사범을 나와 잠시 교직에 몸담았다가 퇴직했다. 2007년 월간 문학공간 시 부문에 등단 후 한국문협, 한국신문학인협회, 공간시인협회, 포천문협, 임실문협, 영호남수필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첫 시집 “별의 언덕에서”가 있으며, 올 10월 제6회 ‘한국문학신문문학상’ 시 부문 우수상을 수상한바 있다. 



/송민애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677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307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4960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315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855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786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706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5883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730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401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659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3958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420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659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030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773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4998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3781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349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267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700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165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695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4000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689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124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278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054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187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312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500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497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739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072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683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121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786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357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166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4787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