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문학소사전] - 추상표현주의란?...
2016년 12월 29일 00시 46분  조회:2869  추천:0  작성자: 죽림




1. 추상표현주의 작가의 특징

- 추상표현주의의 대표주자는 잭슨 폴락(Jackson Pollock)이라는 한 전위적 작가였습니다. 그는 서부의 와이오밍주 출신으로 미술공부를 하기 위해 고등학교도 졸업하지 않은채 뉴욕으로 향합니다. 한동안 인디안의 전설같은 서부의 토착문명을 상기시키는 그림을 그리던 그는 47년경부터 뿌리기작업을 시작합니다. 그는 붓으로 무언가를 그리는 대신, 뿌리고, 던지고, 튕기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그의 그림들은 대개 전시실의 한쪽 벽면을 모두 차지하는 초대형 사이즈입니다. 이것도 세로가 7피트 4인치, 가로가 9피트 11인치의 어마어마한 크기의 그림입니다. 폴락의 경우 멕시코 벽화 화가들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만,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자들은 미국이라는 커다란 나라에서 살아서 그런지 엄청난 스케일의 그림을 주로 그렸습니다.

- 네덜란드 태생의 드 쿠닝(de Kooning)은 잭슨 폴락과 함께 추상표현주의의 선두주자로 간주되는 사람입니다. 그는 한동안 매우 공격적이고 격정적인 형상을 한 <여인> 연작을 하였는데, 이 작품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안겨 주었습니다. 이 그림 역시 대형 사이즈로 그려진 것입니다. 이런 격노한 여인의 형상이 초대형 캔버스에 그려져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어떤 사람들에게는 끔찍스러운 일로 느껴질 겁니다. 그림 속의 여인은 참지 못할 분노의 형상인 것 같기도 하고, 사랑과 증오가 투쟁하고 있는 형상인 것 같기도 합니다.
- 추상표현주의라고 불리우는 미술가들은 지난 시간에 보았던 잭슨 폴락이나 윌렘 드 쿠닝같은 "액션 페인팅" 작가들이 있었는가 하면, 커다란 색면을 주로 그렸던 색면 추상(color-field abstraction) 화가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모두 거대한 스케일의 화면을 강렬한 색채로 채우는 작업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러시아 태생의 화가 로스코(Rothko)는 신비스러운 종교적 분위기를 보여주는 일련의 색면화를 제작하였습니다. 그의 그림은 지극히 단순합니다. <초록, 빨강, 그리고 오렌지>, <검정위의 옅은 빨강> 등이 그의 작품의 제목들입니다. 하지만 그의 그림앞에 선 관객들은 그의 그림을 그렇게 단순하게 느끼지 않습니다. 윤곽선이 뚜렷하지 않은 커다란 사각형은 그저 사각형 모양 이상의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아니, 저것을 사각형이라 해야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노란색의 형태는 일정한 형태로 규정되지 않은채 오렌지색 화면 안으로 스며들어 가는듯 합니다. 어찌보면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숨을 쉬는 듯도 하고요, 조금씩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로스코는 물감이 캔버스에 스며드는 효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붓대신 스폰지를 사용하였습니다. 그 결과 윤곽선이 불분명해진 사각형들은 미묘한 색채와 함께 애매한 형태를 통해 신비적인 효과를 창출하였습니다. 화면 위에 둥둥 떠 있는 것 같은 강렬한 색채의 사각형들은 사람들에게 어떤 숭고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그리하여 이 커다란 화면이 불러일으키는 신비스러운 신성함은 사람들에게 종교적 상징주의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사실 로스코도 그런 의도가 없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2. 1950년대 미국의 추상표현주의 미술의 사회적 배경
194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중심지는 미국으로 이동하는데, 미국의 문화적 주권은 70년대까지 유지됩니다. 미국의 미술가들은 자신의 작품을 통해 '미국적인 것'을 보여주고자 하는 한편, 유럽의 새로운 미술을 배우는데에도 열심이었습니다. 그들이 미국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떠나 최초로 국제적인 미술 양식을 이뤄낸 것이 바로 "추상표현주의"입니다. 추상표현주의 양식은 큐비즘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만, 명백히 유럽의 추상미술과는 구별되는 미국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덤으로 더 알아보기===@


 

*1330억원에 팔린 사상 최고의 그림
/ 미국 화가 잭슨 폴록의 [넘버 5, 1948] * 


미국 화가 잭슨 폴록의 대표작 ‘넘버 5, 1948’(1948년 작·사진)이 1일 회화 사상 
가장 비싼 값에 팔렸다. 뉴욕타임스는 그림 매매에 정통한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 그림이 뉴욕 소더비 경매사 토비아스 마이어씨의 중개로 할리우드 음반 미디어업계
재벌 데이비드 게펜 씨에게 1억4000만 달러(약 1330억 원)에 팔렸다고 보도했다.

이는 6월 화장품 제조업자의 상속인 로널드 로더 씨가 1억3500만 달러(약 1282억 원)에 
사들인 오스트리아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작 ‘아델레 블로흐 바워 1’(1907년)의 최고
가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넘버 5, 1948’은 폴록이 드리핑(물감 떨어뜨리기) 기법을 
사용해 제작한 작품이다





1억 4천만 달라라는 사상 초유의 최고가격으로 멕시코 금융가에게 팔린
Pollock의 1948년 제 5번 작품





이하 Pollock의 여러 작품들:














 
 

////////////////////////////////////////////////////////



/제주도민일보  

 

크레이스너와 폴록의 격렬한 사랑, 서로에 대한 인내와 존경에 대한 이야기들은 크레이스너가 폴록을 후원하는 데 행복을 느꼈음을 말해준다. 반면, 지적 견고함과 포용력, 실험성이 돋보이는 그녀의 그림들은 폴록의 난감한 천재성에 대처할 수 있었던 그녀의 성숙함을 입증해 준다. ‘컬러 토템’은 크레이스너가 자신의 활기찬 색채 구성 속에 폴록의 드로잉 조각을 결합 시켜 만든 일련의 작품들 중 하나이다. 


폴록의 회화 조각은 크레이스너의 캔버스에 통합됐으며, 여기서 그 색채 조각들은 바람에 흩날리는 나뭇잎들처럼 소용돌이치고 있다. 크레이스너는 자기 작품의 본체를 자주 파괴했음에도, 되려 폴록이 단념한 회화의 잔존물에는 새로운 생명과 맥락을 부여함으로써, 그것들을 되살려냈다. 그의 작품과 그녀 작품의 유기적이고, 조화로운 합병은 창조성에서 쌍벽을 이룬 두 사람의 협력에 관한 아름다운 메타포라 할 수 있다. 발췌=「명화 1001」



=========리 크레이스너 그림작품 일부 =======























아쉬운 마음에 설명을 읽어보았습니다.



The Springs
1964
Oil on canvas, 43 x 66 in.
Gift of Wallace and Wilhelmina Holladay ?2002 The Pollock-Krasner Foundation/Artists Rights Society (ARS), New York


"Painting, for me, when it really 'happens,' is as miraculous as any natural phenomenon-as, say, a lettuce leaf."1 Although she consistently refused to "explain" the meanings of her works, Lee Krasner often indicated that even her most abstract paintings had ties to nature.


Like many of her pieces, The Springs is partly autobiographical. Its title refers to the village near East Hampton, on Long Island, where she and Jackson Pollock moved in 1945 and where she remained until settling in Manhattan two decades later. Stylistically, this is an example of gestural abstract expressionism: a large canvas, entirely covered with thick paint applied quickly in curving marks. Although it does not describe anything in particular, its rich texture, the various shades of green and white, and implied motion suggest grass and wind. In many parts of the painting "accidental" drips and splatters were left visible to emphasize the "automatic," unplanned way the pigments were applied.


Krasner painted The Springs soon after completing a group of dark abstractions called the Night Journeys and immediately after a series of personal traumas (surgery for a brain aneurysm, followed by a fall in which she broke her wrist, and then a second serious illness). Once Krasner had recovered, she began a new, very different series of paintings, much lighter in both palette and mood. As a result, many writers have interpreted The Springs as a symbol of rebirth and renewal.


1 Artist's statement, quoted in Bryan Robertson and B. H. Friedman, Lee Krasner: Paintings, Drawings, and Collages (London: Whitechapel Gallery, 1965), n.p.
    

  그녀가 크게 아픈 후에 그린 작품인데 그 이전의 어두운 작품 경향에서 벗어나서

훨씬 밝은 모습으로 그린 작품이라고 하네요.

그녀의 작품이 추상적인 것이긴 하지만 자연과의 유대가 완전히 끊어진 것은 아니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1955 | 기계오리 면화에 종이, 유채물감 | 미국 뉴욕, 베티 파슨스 컬렉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687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380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547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416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865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443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2965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771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579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855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423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606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692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604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3059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651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522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943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447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3168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450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392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603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906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319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536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453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465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632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200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483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587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181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681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6132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672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887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964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616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683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