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속에서 구하라...
2016년 12월 27일 16시 43분  조회:2796  추천:0  작성자: 죽림

 


 

 

 

 

 

 

[인민망] 중국 고생물학자 싱리다(邢立達) 미얀마에서 가져온 호박-공룡 꼬리 화석...



=========================
[새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 낸 문학평론가 임우기] 

16년 만에 990쪽 평론집 펴내… 
4·19세대의 문학 한계 드러낸 '문지'와 '창비' 집중 비판

“한국 문학의 유전적 전통과 뿌리를 돌봐야 한다”며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를 낸 문학평론가 임우기씨.
“한국 문학의 유전적 전통과 뿌리를 돌봐야 한다”며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를 낸 문학평론가 임우기씨. /고운호 기자

"4·19세대 문학의 한계를 철저히 비판하는 과정 속에서 한국 문학의 새 이념을 모색해야 한다. 1970년대 이후 한국 문학은 4·19세대의 서구 자유주의적 문학 이념의 틀에 갇혔다. 한국 문단은 지금껏 한국인의 심층 무의식을 이룬 샤머니즘을 외면해왔다. 단군 신화의 홍익인간부터 동학의 시천주(侍天主) 사상에 이르기까지 샤머니즘의 전통문화가 우리 문학의 새 희망이 될 수 있다."

문학평론가 임우기(60)씨가 새 평론집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아트인라이프)를 내면서 한국 문학의 샤머니즘 부활을 역설하고 나섰다. 임씨는 한번 글을 썼다 하면 200자 원고지 500~800장을 써내는 괴력을 발휘해왔기에 이번에 16년 만에 낸 평론집은 무려 990쪽이나 된다. 임씨는 1990년대 초 문학과 지성 편집장을 지낸 뒤 솔출판사를 차려 박경리의 '토지' 완간과 김지하 시전집 등을 낸 바 있는 중견 출판인이기도 하다. 그는 새 평론집을 내면서 계간지 '문학의 오늘'도 인수해서 발행인을 맡아 문단의 새 목소리를 내겠다고 선언했다.

임씨는 인터뷰를 시작하자마자 '자재연원(自在淵源)'이란 말을 꺼냈다. 그는 "진리를 멀리서 구하지 말고 자기 자신 속에서 구하라는 말"이라며 "문인들이 자신의 삶과 싸우며 치열한 인생 공부를 해야 하는데, 대부분 서양의 인문학 이론에 박학다식한 채 갇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문학의 양대 산맥으로 꼽혀온 '문지'와 '창비' 모두 4·19세대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문지'는 처음부터 모더니즘을 내세워 반(反)샤머니즘을 선언했고, '창비'는 서구적 리얼리즘의 시선으로 샤머니즘을 일부 수용했지만 깊은 이해가 부족했다는 것. 임씨는 1990년대 이후 '문지'와 '창비'의 시(詩)를 집중 비판하면서 "새로운 시학을 보여주지 못한 채 오래된 권력을 누리고 행세하고 있는 형편"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문지 시집들은 지적(知的) 기교나 허황한 감각의 시들을 내놓고, 창비 시집들은 타성화된 리얼리즘과 경박한 현실 참여시들로 어지럽다"는 것.
 

 
임씨가 주장하는 한국적 샤머니즘 문학은 복고주의와 국수주의를 거부한다. 그는 샤머니즘이 '한국인의 본능적 축제 의식이며 문화·예술적 기질'일 뿐 아니라 '외래 사상이나 종교를 받아들인 회통(會通) 정신'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동리와 서정주의 무속 문학을 재평가하면서 모더니스트로 꼽혀온 백석, 윤동주, 김수영 시인이나 2000년대의 작가 김애란의 문학에서도 '샤먼의 노랫소리'를 읽어내려고 했다. 특히 백석의 시를 대표하는 '갈매나무'는 북방 샤머니즘의 신목(神木)을 상징한다는 것. 백석의 시 중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이란 제목은 주문을 외듯 읽어야 하는 '주술 언어'라고도 했다.

임씨는 "정상적이고 만족하는 삶의 세계는 샤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며 "샤먼은 가난하고 억울하고 소외되고 쓸쓸한 삶의 이름들을 저 높은 별빛 하나하나 위에 간절히 불러보는 존재"라고 했다. 그는 샤머니즘과 함께 '방언 문학'도 역설했다. 4·19세대 작가들 중 상당수는 지방을 무대로 한 소설을 쓰면서도 표준어만 고집했다는 것. 임씨는 "작가는 지역 사투리뿐 아니라 자기 고유의 '개인 방언'을 구사하면서 문학의 본질인 '소리'를 살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해현 문학전문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30 윤동주 서울 하숙집 가보다... 2017-03-17 0 2771
329 시쓰기는 보석쟁이가 값진 다이아몬드를 세공하는것과 같다 2017-03-17 0 2736
328 윤동주의 시는 끝까지 한글 작품으로 남아있다... 2017-03-17 0 3321
327 윤동주의 친동생 윤일주도 시인이었다... 2017-03-16 0 4038
326 시비(詩碑)가 뭐길래 시비(是非)인거야... 2017-03-16 0 3092
325 한 편의 시에서 시의 1행이 주조행(主調行)이라 할수 있다... 2017-03-16 0 2849
324 윤동주 묘비에는 "詩人尹東柱之墓"라고 워낙 각인되여... 2017-03-16 0 3334
323 시인은 늘 령감의 메시지를 잡을줄 알아야... 2017-03-15 0 2949
322 시의 씨앗은 시인의 몸 안에서 "무자각적"으로 싹터 자란다... 2017-03-14 0 2837
321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이골이 나다"의 유래 2017-03-14 0 2482
320 일본 교토 윤동주 마지막 사진 찍은 자리에 詩碑 세우다... 2017-03-13 0 3068
319 시 한편이 태여나는것은 늘 울고 웃는 과정을 그려가는것... 2017-03-13 0 2606
318 있어야 할건 다 있고 없을건 없다는 "화개장터" 2017-03-12 0 2871
317 우리 고향 연변에도 "詩碑자연공원"을 조성해야... 2017-03-12 0 3332
316 일본 문화예술인들 윤동주를 기리다... 2017-03-12 0 4415
315 일본 한 신문사 부장이 윤동주의 "빼앗긴 시혼(詩魂)"다루다... 2017-03-12 0 3138
314 일본 녀류시인 50세부터 한글 배워 시를 번역하다... 2017-03-12 0 3329
313 일본인 = "윤동주 선배가 나와 같은 의자에서 공부했다니"... 2017-03-12 0 2992
312 일본의 중견 시인이 윤동주 시를 일본어로 완역하다... 2017-03-12 0 3262
311 일본 녀류시인 이바라키 노리코가 윤동주 시에 해설을 달다... 2017-03-12 0 2935
310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 "실랑이" = "승강이" 2017-03-11 0 2715
309 조선어의 자멸의 길은 있다?... 없다!!!... 2017-03-11 0 3658
308 시는 짧음속에서 큰 이야기를 보여줘야... 2017-03-11 0 2250
307 독자들도 시를 보고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846
306 시인들이 시가 싫어 도망치고 있다... 2017-03-10 0 2603
305 작문써클 선생님들께= 아름다운 순 우리말로 작문짓게 하기... 2017-03-08 1 3007
304 윤동주의 친구 문익환 목사도 시 "동주야"를 썼다... 2017-03-07 0 4801
303 청년문사 송몽규도 시를 썼다... 2017-03-07 0 3002
302 청년문사 송몽규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에 들다... 2017-03-07 0 4257
301 시인과 수석인은 이웃이다... 2017-03-07 0 2632
300 민족시인 윤동주를 연변 룡정 고향에서 모실수 있다는것은... 2017-03-07 0 2686
299 시는 생명의 황금빛이며 진솔한 삶의 몸부림이다... 2017-03-06 0 2797
298 시인은 죽기전 반항하면서 시를 써야... 2017-03-03 0 3438
297 시는 천년을 기다려서 터지는 샘물이여야... 2017-03-03 0 2544
296 시는 이미지 무덤이다... 2017-03-02 0 3016
295 시는 상식, 틀, 표준 등 따위가 깨질 때 탄생해야... 2017-03-01 0 2916
294 시 한수라도 마음속에 깊이 갈무리 해야 함은?!...ㅡ 2017-02-28 0 3666
293 작문써클선생님들께;우리와 다른 알고 넘어가야 할 "두음법칙" 2017-02-28 0 2966
292 시는 "빈 그릇"이다... 2017-02-28 0 2648
291 시문학도들이 알아야 할 시창작원리 12가락 2017-02-27 0 2833
‹처음  이전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