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인은 정화가 된 "저체온의 성스러운 언어"로 시를 써야...
2016년 12월 22일 18시 54분  조회:2826  추천:0  작성자: 죽림

가혹한 운명의 겨울에 맞서 오염되지 않은 순수의 슬픔으로 
불씨 피워 빚어낸 詩라는 結晶… 비탄에 젖기보다 황홀을 찾아내 
황폐한 풍경을 견디게 하니 겨울을 깨달음의 계절로 만드네
 

박해현 문학전문기자
박해현 문학전문기자
'아름답다 너, 오 흰 설원이여!/ 가벼운 추위가 내 피를 덥힌다/ 내 몸으로 꼭 끌어안고 싶다/ 자작나무의 벌거벗은 가슴을.'

러시아 시인 예세닌이 쓴 시 '나는 첫눈 속을 거닌다'의 일부다. 첫눈을 맞은 기쁨을 '더운 피'로 표현했다. 혹독한 추위는 사람의 몸을 움츠러들게 하지만, 역설적으로 사람의 의식을 일깨우기도 한다. 가벼운 겨울바람은 적당한 생기를 불어넣는다. 뜨겁게 자작나무를 껴안겠다고 한 예세닌을 비롯해 수많은 시인의 겨울 노래는 황폐한 풍경 속에서 비탄에 젖기보다는 황홀을 찾아냈다. 시인은 겨울 풍경에 투명한 언어를 투사하고 생각의 불씨를 피워 추위를 녹이며 순백의 미학으로 순수한 영혼을 그려내 왔다. 추운 겨울을 견디게 하는 시의 힘이다.

한국 현대시에서 겨울을 예찬한 시인을 꼽으라면 황동규 시인(78)을 빼놓을 수 없다. 그는 1958년 스무 살에 등단해 지금껏 시를 써오는 동안 숱하게 겨울을 노래했다. '막막히 한겨울을/ 바라보는 자여,/ 무모한 사랑이 섞여 있는/ 그런 노래를 우리 부르자'라고 했다. '눈송이 하나하나가/ 눈이 내리는 소리로 바뀌는 소리 들린다'라고도 했다. 그의 시에서 눈송이는 천상과 세속 사이에서 떠도는 존재의 비유이고, 얼음은 시인의 의식이 빚어내는 결정(結晶)이고, 눈 내리고 그친 순간의 적요가 겨울을 깨달음의 계절로 만들었다.

황동규 시인은 최근 낸 열여섯 번째 시집 '연옥의 봄'에서도 겨울 노래를 멈추지 않았다. 그중 시 '나의 동사(動詞)들'이 대표적이다. '올 들어 가장 춥다는 날/ 오랜만에 허브차를 마시며/ 생각이 조금 따뜻해지기를 기다린다/ 그동안 나와 함께 살아온 동사들, 그중에도/ 떨구다 드러내다 털다의 관절들 아직 쓸 만하다/(중략)/ 가만, 현관 앞 나무들은 잔뼈들까지 모두 드러낸 채/ 추위를, 추위보다 더한 무감각을 견디고 있다/ 앞으로 나는 무엇을 더 떨구거나 드러내야/ 점차 더 무감각해지는 삶의 표정을 견뎌낼 수 있을까?'
 
칼럼 관련 일러스트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60년 가까이 시를 써온 시인이 요즘 아끼는 우리말 '떨구다'는 겸손, '드러내다'는 솔직, '털다'는 달관의 미덕을 각각 가리키는 듯하다. 그런 정신의 경지는 나목(裸木)을 자신과 동일시하며 절망하기보다는, 벌거벗었기에 더 감각이 예민해진 실존의 상징을 떠올리면서 삶이 지속되는 한 무감각해지는 것을 끝까지 경계하려는 의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시인이 추구하는 감각은 시 '외등(外燈) 불빛 속 석류나무'에 쓴 '간지럼 타는 눈송이의 살갗/ 어둠 속에서/ 그 간지럼 전하는 공기의 미진동(微振動)'처럼 섬세한 의식의 촉수로 포착한 심상(心象)으로 드러난다. 그의 또 다른 겨울 노래는 '몸이 말한다'이다. 날씨가 쌀쌀해지자 노령자 무료 독감 백신을 동네 병원에서 맞은 뒤 끙끙 앓고 나서 쓴 시다. '이제 감기 몸살하고도 인사 한번 나눠야 않겠나/ 빨리 가라고 자동차에 매질 않지만/ 재갈 물린 말은 채찍을 들어야 말처럼 달린다'며 노년의 건강한 해학을 풀어놓았다.

이처럼 자연의 겨울과 인생의 겨울을 버무린 시집 속에는 연작시 '연옥의 봄'도 들어 있다. 기독교에서 연옥(煉獄)은 천국과 지옥 사이의 장소를 가리킨다. 세속에서 죄짓고 온 인간 영혼이 고통을 겪고 정화되면 천국의 문으로 간다고 한다.

황동규 시인은 현존하면서도 연옥에 있다고 상상한다. 지난 몇 년 사이 오랜 친구들이 잇달아 세상을 뜨면서 허탈한 고통을 자주 겪어야 했기 때문이다. 시인은 자연히 죽음을 다룬 시를 자주 쓰면서 현실도 초현실도 아닌 정화계(淨化界)를 체험했기에 지금-이곳은 연옥이기도 하다. 종교적으로 연옥은 명계(冥界)이므로 황폐하고 어두운 겨울의 이미지에 가깝다. 문학적으론 고통의 승화가 향기롭게 피어나는 곳이다. 그래서 시인은 노년의 삶을 '연옥의 봄'이라 부른 모양이다.

시인은 또 다른 겨울 노래인 '마음 어두운 밤을 위하여'에서 눈 내리는 폐광촌의 술집을 무대로 삼은 극(劇) 서정시를 펼쳐놓았다. 눈바람에 기차 소리마저 얼어붙는 겨울밤, 외딴 술집에서 형광등 불빛 아래 시인의 분신 같은 어느 사내가 홀로 술을 마신다. 그는 '이 세상에서 마지막까지 떨치기 힘든 것은/ 이런 뜻 없는 것들'이라고 중얼거린다. '그래도 이 세상의 꼼수가 안 통하는 게/ 이 저체온(低體溫)의 슬픔, 이런 뜻 없는 것들이 아닐까'라고 덧붙인다.

시인이 패배적 허무주의에 빠진 것은 아니다. 그는 평소 감상(感傷)을 경계하면서 언어와 정서의 지적(知的) 통제에 바탕을 둔 서정시를 써왔기 때문이다. 육체의 삶이란 어차피 덧없기에 슬프다. 하지만 시인의 정신은 '이 세상의 꼼수가 안 통하는 저체온의 슬픔'을 놓지 않으려 한다. 꼼수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의 슬픔이다. 그것이 '저체온의 슬픔'인 까닭은 가혹한 운명의 겨울에 맞선 인간 육체의 하찮은 온기(溫氣)에 감싸여 있기 때문이다. 시인은 그 기운을 통해 정화된 영혼의 언어를 시집에 남긴다. 독자가 그 책을 음미하면서 상상하는 겨울의 밤하늘은 성(聖)스러운 슬픔의 흔적으로 아롱진다.


 

 

 ⓒ 조선일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748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399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567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457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881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485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3005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794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597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890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440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621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736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620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3125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685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550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950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463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3196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469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401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619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928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334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564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493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501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638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207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535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602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209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698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6213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708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897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980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653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736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