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은 시를 극적으로 쓰는것...
2016년 12월 20일 17시 24분  조회:3011  추천:0  작성자: 죽림

 

감격조의 시는 좋은 시가 아니다 ㅡ이창배 교수 



다음에 인용하는 김소월의 걸작으로 애송되는 [초혼]의 경우도 감격적 어조가 두드러진 시이다. [초혼]이란 말 은 사람이 죽었을 때 망자의 이름을 세 번 부르고 난 후에 장례식을 치르는 관례에서 비롯된 말이다. 
제목이 암시하듯이 시인은 죽은 애인을 못 잊어 비탄에 잠겨 절규한다. 
죽은 이가 과연 누구인지는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이 절규를 통해 슬퍼서 몸부림치는 시인의 비애의 감정이 처절하게 호소해온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흩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나가 않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나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애인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라 이해가 가지만 원숙한 시인은 그 감정에 매달려 몸부림치지 않고 내적인 감정을 외적인 장면이나 사물로 객관화한다. 
이 점에서 같은 시인의 작품이지만 [진달래꽃]은 훨씬 잘 쓴 시라 하겠다. 
[진달래꽃]에 대한 해석이 반드시 일치하진 않겠지만 사랑하는 애인과의 이별 장면이 제시된 것은 틀림없다. 
이 장면을 통하여 전통적인 한국 여인에 대한 시인의 감정이 정확히 구상화된 점에서 이 시의 작품성이 높이 평가된다. 
이 시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다음 장으로 미루고 [초혼]에 제시된 것과 같은 애인의 죽음에 대한 비애의 감정이 感傷에 흐르지 않고 구상화되자면 시가 어떻게 씌어져야 하는가를 유사한 주제를 다룬 또 다른 한 편의 시에서 살펴보기로 하자. 


사무치게 그리운 여인이여, 당신은 어떻게 내게 말을 하는가요. 
지금의 당신은 이전의 당신이 아니라고, 
나에게 전부였던 그 당신이 변했던 시절, 그때가 아닌 
우리 사이가 아름다웠던 처음 그때와 같다고 말하는군요. 
들려오는 목소리가 정말로 당신인가요. 그렇다면 봅시다. 
내가 집 근처에 다가들면 늘 기다리고 
서 있던 당신의 모습, 그래요, 그때 내가 보았던 
그 상쾌한 하늘색 가운까지도 똑같은 당신의 모습을. 
아니면, 이 목소리는 축축한 초원을 가로질러 무심히 
이쪽으로 불어오는 미풍에 불과한가요. 
당신의 목소리는 이제 파리한 불가해한 것으로 변하여 
이 근처 어디서고 다시는 안 들리는군요. 

그래서 나는 비틀거리며 걸어가고, 
낙엽은 여기저기 떨어집니다. 
바람은 북쪽에서 가시덤불 사이로 가냘프게 스며들고, 
여인의 부르는 목소리. 


이 시를 보면 하디에게는 죽은 부인과의 관계가 원만치 않았던 시절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사이가 좋았던 시절에 그녀는 외출했다가 돌아오는 남편을 멀리 집 밖에까지 나와서 기다리고 있을 정도로 다정한 아내였음을 또한 알 수 있다. 
그 아내가 죽으니 이제 생시의 원망과 그리움이 한 데 뒤섞여 못 견디게 보고 싶어 한다. 환각으로 들려오는 아내의 목소리에 이끌려 비틀거리며 낙엽을 밟으며 걸어가는 시인의 외로운 심정이 이 짤막한 한 편의 "극"을 통해서 잘 전달된다. 
이 시가 성공할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은 감정을 인물과 장면으로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시인들이 감정의 절제를 기하여 낭만적 한탄과 초월에서 벗어나 감정을 리얼하게 표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극적 수법이다. 엘리엇은 잘 씌여진 시는 아무리 짧은 한 편의 서정시라도 극적이지 않은 시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시의 초보자들이 개척해야 할 부분이 그 점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관점에서 테니슨의 시보다 예이츠와 하디의 시가 잘 쓴 시이고, [초혼]보다 [진달래꽃]이 잘 쓴 시라고 평할 수 있다. 
다음에 인용하는 서정주의 [부활]이란 시도 김소월의 시, 하디의 시와 같은 주제를 다른 시로서 시인의 감정이 어떻게 형상화되어야 좋은 시가 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내 너를 찾아왔다. 수야 
너 참 내 앞에 많이 있구나. 
내가 혼자서 종로를 걸어가면 
사방에서 네가 웃고 오는구나 
새벽닭이 울 때마다 보고 싶었다. 
내 부르는 소리 귓가에 들리더니. 
수야, 이것이 몇 만 시간만이냐. 

그날 꽃상여 山 넘어서 간 다음, 내 눈동자 속에는 하늘만 남더니 
매만져볼 머리카락 하나 머리카락 하나 없더니. 
비만 자꾸 오고...... 촛불 밖에 부엉이 우는 돌문을 열고 가면 
江들은 또 몇 천 리, 한 번 가선 소식없던 그 
어려운 住所에서 너 무슨 무지개로 내려왔느냐. 

종로 네거리에 뿌우여니 흩어져서, 
뭐라고 조잘대며 햇볕에 오는 애들. 
그 중에서도 열아홉 살 쯤 스무 살 쯤 되는 애들 - 
그들의 눈망울 속에, 핏대에, 가슴 속에 들어앉아 
수야! 수야! 수야! 너 이젠 모두 다 내 앞에 오는군나. 


이 시에 등장하는 "수야"라는 아이가 실명인지 가명인지는 가릴 필요가 없고, 아마 "열아홉 살 쯤 스무 살 쯤" 나이에 죽은 여자아이임에 틀림없다. 
시인은 이 아이가 죽은 뒤 "새벽닭이 울 때마다 보고 싶"어서 그 모습이 늘 눈에 밟혀 종로 바닥을 걸으면서 같은 또래의 아이들을 보면 그 애가 "조잘대며 햇볕에 오는" 명랑하고 맑은 모습으로 돌아온 듯한 착각에 시달려 왔음을 알 수 있다. 
죽은 수야에 대한 사무치게 그리운 심정이 부활의 사상으로 바뀌면서 자초지종에 대한 설명도, 애절한 감정의 표출도 없이 장면과 이미지만으로 잘 전달되고 있다. 


====================================================================================

 

 


 
 

아버지 자랑 ― 임길택(1952∼1997)

새로 오신 선생님께서
아버지 자랑을 해보자 하셨다

우리들은
아버지 자랑이 무엇일까 하고
오늘에야 생각해보면서
그러나
탄 캐는 일이 자랑 같아 보이지는 않고
누가 먼저 나서나
몰래 친구들 눈치만 살폈다

그때
영호가 손을 들고 일어났다

 

 

술 잡수신 다음 날
일 안 가려 떼쓰시다
어머니께 혼나는 일입니다

교실 안은 갑자기
웃음소리로 넘쳐 흘렀다


  
 장소는 탄광촌. 정확히 말하자면 그곳에 위치한 초등학교의 교실이다. 어느 날, 새 선생님이 오셔서 아버지 자랑을 해보자 말했다. 여기서 잠깐, 부디 이 선생님의 의도를 오해하지 말자. 그는 아이들의 배경과 재력을 알아보려는 것이 아니다. 선생님은 착하디착한 시인 선생님, 아이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광부의 아이들이다. 

 난생처음 아버지 자랑을 해야 하는 아이들은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대체 우리 아버지는 뭐가 잘났을까. 요새 초등학생들 같으면 남한테 질세라, 사실에 허풍을 보태서 목청껏 떠들 텐데 이 아이들은 주저주저했다. 내 아버지의 잘남이 네 아버지의 잘남을 이겨야 한다는 생각, 아버지 자랑이 곧 내 자랑이 된다는 생각 자체가 아예 없는 아이들이다. 금방 떠올리지 못하는 이 아이들은 너무나도 순수하다. 
 

 

 영호가 내놓은 대답이 특히 엉뚱하고 귀엽다. 숙취에 시달리며 바가지 긁히는 일이 아버지가 잘하시는 일이란다. 이 아이는 얼마나 진지한지, “떼쓰시”는 아버님 자랑에 꼬박꼬박 높임법까지 사용하고 있다. 

 시의 제목만을 보았을 때는 오해하기 쉽다. 직책 높고 돈 많은 아버지가 있다는 말일까. 대단한 아버지와 귀한 자식의 집안 자랑을 들어야 한다는 말일까. 그런데 읽어 가다 보면 굳었던 마음이 풀리고 입가에는 미소가 번진다. 

  ‘아버지’와 ‘자랑’. 이 두 단어의 조합에 왜 우리는 지레 움츠러들었던 것일까. 이렇게 귀엽고 사랑스러운 아버지 자랑도 있는데 말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70 시인은 작품속에 삶의 몸부림과 고통을 버무려야 한다... 2017-04-03 0 2768
369 당신은 왜 시인의 험난한 길을 걸어가려 하십니까?... 2017-04-03 0 2404
368 시는 누구나 쓸수 있으나 아무나 시인이 되는것은 아니다... 2017-04-03 0 2656
367 시인은 시상(詩想), 시정(詩情), 시흥(詩興)을 깨울줄 알아야... 2017-04-02 0 2479
366 시인은 시상이라는 "낚시 찌"에 전신전령을 기울려야... 2017-04-02 0 2913
365 시인은 詩나무그루터에 오줌을 싸고 있었다... 2017-04-02 0 2509
364 형이상시에서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폭력조합시켜라... 2017-03-29 0 3033
363 형이상시는 불협화음속에서 기상천외의 조화로운 분위기를... 2017-03-29 0 2795
362 시인은 언어를 잘 다룰줄 아는 고급동물이다... 2017-03-29 0 2604
361 형이상시는 즉물시와 사물시를 포괄한 제3류형의 시이다???... 2017-03-29 0 2941
360 형이상시에서 객관적 상관물의 발견으로 통합된 감수성을... 2017-03-29 0 2453
359 형이상詩는 21세기의 시운동의 모델이라고???... 2017-03-29 0 2643
358 시인은 자연과 타인의 생을 기웃거리는 촉매자이다... 2017-03-29 0 2756
357 시에서 아방가르드 정신을 꿈꾸는 자는 늘 고독하다... 2017-03-29 0 2651
356 [시문학소사전] - 시쓰기에서 알아야 할 용어들 2017-03-29 0 3155
355 현대시는 탈관념의 꿈꾸기이며 언어적 해체인것이다... 2017-03-29 0 2739
354 후기산업혁명사회의 현대인들의 병을 시로 치료하라... 2017-03-29 0 2578
353 시란 희노애락을 부르짖는 소리이다... 2017-03-29 0 2955
352 "전통시인"이나 "실험시인"이나 독자를 외면하면 안된다... 2017-03-29 0 2525
351 현대시쓰기 전 련상단어 100개 쓰기부터 하라... 2017-03-29 0 3213
350 현대시의 실험적 정신은 계속 진행형이다... 2017-03-29 0 2531
349 현대시의 흐름을 알고 시작(詩作)을 시작(始作)하자... 2017-03-29 0 2472
348 현대시는 "단절의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2017-03-29 0 2620
347 시는 추상적인 표현과 원쑤지간이다... 2017-03-29 0 2933
346 시심의 모든 밑바탕은 지, 정, 의를 근본으로 한다... 2017-03-29 0 2370
345 시가 "디지털혁명시대"와 맞다들다... 2017-03-27 0 2634
344 프랑스 시인 - 폴 엘뤼다르 2017-03-27 0 3526
343 시어는 삶과 한 덩어리가 된, 육화적인 언어로 련금술해야... 2017-03-27 0 2514
342 시는 한점의 그늘 없이 화창해야 한다... 2017-03-27 0 2643
341 시인아, 어쨌든 있을 때 잘해야지...그리고...상투는 없다... 2017-03-24 0 2210
340 시인의 "적막한 키스"는 이제 어디로 가야 할것인가... 2017-03-23 0 2558
339 시와 련관성이 없는 "무의미시"의 낱말로 제목화할수도 있어... 2017-03-22 0 2604
338 이순신 장군 시 모음 2017-03-21 0 3246
337 저 밑에는 날개도 없는것들이 많단다... 2017-03-21 0 2710
336 류시화 시 모음 2017-03-21 0 6238
335 새가 나무가지를 못떠남은?!ㅡ 2017-03-21 0 2714
334 <새(鳥)> 시 모음 2017-03-21 0 2908
333 시제는 그 시의 얼굴로서 그작품의 질과 수준을 예감할수도... 2017-03-21 0 2992
332 시의 제목을 첫행이나 끝행으로 할수도 있다... 2017-03-20 0 2665
331 시의 제목에 의하여 시의 탄력이 생긴다... 2017-03-18 0 2749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