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것...
2016년 12월 11일 23시 50분  조회:2681  추천:0  작성자: 죽림
3. 시는 누가 쓰는가?
 
현대는 자동판매기 시대다. 시인도 돈만 넣으면 나오는(?) 자동판매기 속의 상품처럼 마구 쏟아져 나오고 있다. 월간이든 계간이든 동인지든 잡지에 등단이라는 절차만 거치면 바로 시인이라는 호칭이 자동으로 따라붙는다. 그 사람의 작품적인 역량과 시 정신이 얼마나 검증되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한 사람의 시인이 탄생할 때 그 심사를 한 분의 시적 깊이와 시 정신을 가늠해 볼 뿐이다.
 
새로운 시인의 탄생을 보며 축하를 하기보다는 아쉬워할 때가 더 많다. 작품이 좋고 나쁨을 떠나 적어도 오랜 습작의 흔적 정도는 찾아볼 수 있어야한다. 다른 사람의 작품을 심사할 정도의 시인이라면 그 정도의 노력은 쉽게 구분할 수 있으리라. 하지만 그런 흔적도 찾아볼 수 없고 작품성마저도 수긍하기 힘든 시인을 마구 뽑아내는 분들을 볼 때마다 뭔가 석연치 않은 느낌을 감출 수 없다.
 
시를 쓰지 않고 살 수만 있다면 나는 시를 쓰지 말라고 권하고 싶다. 시로 밥을 해결하는 시인도 드물지만 참 시인의 길이 그만큼 힘들고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아빠는
운전을 할 줄 모르나 봐요
 
제자리에서
만날 붕붕거리기만 해요
 
엄마한테
심하게 잔소리 들은 날도
 
나 같으면 어디로
도망쳐버리고 싶을 텐데
 
제자리에서
마냥 붕붕거리고만 있어요
 
시끄럽기도 하지만
대기오염을 생각해서라도
 
제발 시동을
그만 끄라고 해야겠어요
 
신천희 동시 -『아빠는 방귀대장』전문
 
예를 들어 이 시를 쓰면서 마지막 연에서 ‘제발 시동을 그만 끄라고 해야겠어요.’를 ‘제발 그만 시동을 끄라고 해야겠어요.’로 바꾸었다가 다시 ‘제발 시동을 그만’으로 바꾸기를 수도 없이 반복했다. 자다가 벌떡 일어나서 ‘제발 시동을 그만’로 바꿨다가, 자다가 생각해보면 또 아닌 것 같아서 벌떡 일어나 ‘제발 그만 시동을’로 바꾸기를 반복한 것이다. 만약 부부가 같은 침대에서 자다가 이런 일이 벌어진다면 안면방해 죄로 이혼당하고도 남을지 모른다.
 
이렇듯이 조사 하나, 시어 하나 때문에 까만 밤을 하얗게 새우기 일쑤인데 누구한테 시를 빚으라고 함부로 권할 수 있겠는가! 그러니 시를 쓰지 않고 살수만 있다면 쓰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눈을 진정으로 좋아하면 얼어 죽을 각오를 해야 한다. 그래야 만이 산속 깊은 골짜기를 찾아들어가 숫눈의 황홀한 환희를 맛볼 수 있다. 그렇듯이 시를 진정으로 좋아하는 참 시인이 되고자한다면 굶어죽을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시는 누가 쓰는가? 시는 국문학박사가 쓰는 것도 아니요, 국어교사가 쓰는 것도 아니다. 누가 뭐라고 해도 시는 시인이 쓰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50 시는 식물과 동물이 말을 걸어 올때 써라... 2017-08-18 0 2341
649 동시로 엮는 어린 시절 색깔들... 2017-08-18 0 2481
648 시는 바람을 그리는 작업이다... 2017-08-17 0 2349
647 쓰는 행위와 읽는 행위는 시간의 증언이며 자아의 확인이다... 2017-08-17 0 1966
646 "풍랑, 아무도 휘파람을 불지 않는다"... 2017-08-17 0 2193
645 나이테야, 나와 놀자... 2017-08-17 0 2050
644 좋은 시는 개성적인 비유와 상징성에서 환기된다... 2017-08-17 0 2199
643 제재를 잘 잡으면 좋은 시를 쓸수 있다... 2017-08-17 0 2003
642 말하지 않으면서 말하기 위하여... 2017-08-17 0 2570
641 "한마디 시어때문에 몇달간 고민 고민해야"... 2017-08-17 0 2190
640 시인은 올바른 시어의 선택에 신경써야... 2017-08-17 0 1937
639 "아름다운 시를 두고 차마 죽을수도 없다"... 2017-08-17 0 2030
638 문학하는 일은 "헛것"에 대한 투자, 태양에 기대를 꽂는 일... 2017-08-17 0 2099
637 문학의 힘은 해답에 있지 않고 치렬한 질문에 있다... 2017-08-17 0 2124
636 남다른 개성을 추구하는 시인은 참다운 시인이다... 2017-08-17 0 2319
635 좋은 음악은 시를 쓰는데 령혼의 교감적 밑바탕이 된다... 2017-08-17 0 1958
634 사람들 놀라게 시를 써라... 2017-08-17 0 2084
633 보여주는 시와 말하는 시... 2017-08-17 0 2086
632 소통 불능의 시는 난해한 시가 될수밖에... 2017-08-17 0 1925
631 산이 태양을 삼키다... 2017-08-17 0 2091
630 남자를 돌려주고... 녀자를 돌려다오... 2017-08-17 0 2109
629 문학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2017-08-17 0 2230
628 시와 산문은 다르다... 2017-08-17 0 2460
627 글쓰는 재주는 비정상과 불당연에서 나온다... 2017-08-17 0 2128
626 하이퍼시 창작론 / 최룡관 2017-08-17 0 2134
625 "죽은 개는 짖어댄다"/ 박문희 2017-08-17 0 1955
624 안개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317
623 시를 찾아가는 아홉갈래 길이 없다...? 있다...! 2017-07-27 0 2097
622 할미꽃아, 나와 놀쟈... 2017-07-27 0 2267
621 련금된 말과 상상과 이미지화된 말과 만나 만드는 시세계... 2017-07-27 0 2072
620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참새야, 나와 놀쟈... 2017-07-25 0 2331
619 5 + 7 + 5 = 17자 = 3행 2017-07-24 0 2349
618 나팔꽃아, 어서 빨리 띠띠따따 나팔 불며 나와 놀쟈... 2017-07-24 0 2278
617 "이 진흙별에서 별빛까지는 얼마만큼 멀까"... 2017-07-24 0 2213
616 "님은 갔지만은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2017-07-24 0 2618
615 시인은 자아를 속박하고 있는 억압을 끊임없이 해방시켜야... 2017-07-24 0 2170
614 나무야, 네 나이테 좀 알려주렴... 2017-07-24 0 2428
613 시는 쉽고 평이한 언어로 독자의 감흥을 불러 일으켜야... 2017-07-24 0 2313
612 여름아, 네가 아무리 더워봐라 내가 아이스크림 사 먹는가... 2017-07-24 0 2690
611 모든 비유는 다 시가 될수는 있다?... 없다!... 2017-07-24 0 2175
‹처음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