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참 시인 되자면...
2016년 12월 11일 23시 44분  조회:2709  추천:0  작성자: 죽림
2. 어떤 시인이 될 것인가?
 
시를 쓰기 전에 어떤 시인이 될 것인가 하는 것을 먼저 결정해야 한다.시인에도 여러 부류가 있다. 시를 위한 참 시인, 명예를 위한 정치가 시인, 사업을 위한 장사꾼 시인, 너도 쓰니까 나도 쓴다는 식의 너도나도 시인 등 다양한 부류가 있다. 참 시인은 시를 좋아하지만 다른 시인들은 시보다는 시인이라는 명칭을 더 좋아한다. 참 시인은 자기가 쓴 시에 책임을 느끼고 시처럼 살지만 다른 시인들은 자신의 시와 무관하게 시인처럼 산다.
 
시인이라는 명칭이 좋아 그냥저냥 시인으로 산다면 고통스럽게 고뇌할 필요가 없다. 그저 부자 밥 먹듯이 수시로 나부랭이 시나 써 갈기며 시인행세나 하면 된다. 때로는 머리를 길러서 묶고, 필요하면 수염도 기르고, 그렇게 시인이라 드러내고 폼을 잡으며 살면 된다.
 
하지만 참 시인이 되고자 한다면 그 정신부터 달라야 한다. 좋은 시 한 편을 쓰기 위해 대머리가 되는 것도 몰라야 한다. 무서리가 내려앉아 백발이 성성해져도 개의치 않아야 한다. 피부각질처럼 눈에 안 띄게 죽어가는 시간 속에서 언어를 안고 뒹굴며 머리에 뇌성마비가 일어나도록 고뇌하는 시인이 되어야 한다.
 


 
나는 시와 동시를 다른 갈래로 나누고 싶지 않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시는 주 독자가 어른이고 동시는 주 독자가 어린이라고 갈래를 갈라놓는다. 나는 그들과 분명히 생각을 달리한다.
 
그동안 문인단체들의 초청으로 여러 군데 시 창작 강의를 다녔다. 그럴 때마다 의아해 하는 사람들을 본다. 동시를 쓰는 사람이 시인들을 대상으로 시 창작 강의를 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그분들은 ‘시냇물이 졸졸졸, 나비가 팔랑팔랑.’ 이런 유희적인 것이 동시라고 단단히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동시를 몰라도 시를 쓸 수 있지만 시를 모르면 동시를 쓸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동시를 쓰는 사람들은 이미 시를 알고 넘어간 사람들이다. 왜냐하면 동시도 시로 완성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보면 시는 주 독자가 어른이 맞다. 동시는 어린이가 주 독자가 아니라 어른이 주 독자인 시에 어린이 독자를 추가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동시는 어른이 읽었을 땐 메시지가 있고 어린이가 읽었을 땐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게 쓴 시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시로 완성시키지 못하고 어린이들이 쓰는 언어만 빌어다가 나열해 놓은 것은 동시가 아니다. 시가 아닌데 어떻게 동시가 될 수 있겠는가?
 / 소야 신천희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70 바다에 뛰여들는 양떼가 되지말기... 2019-01-20 0 3373
136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가로수 2019-01-19 0 3458
1368 윤동주의 시 8개국 언어로 번역되다... 2019-01-19 0 3715
1367 윤동주와 "해바라기" 2019-01-17 0 4460
136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바라기 얼굴 2019-01-17 0 4121
1365 윤동주와 "귀뚜라미" 2019-01-14 0 6782
1364 "어린이를 내려다보지 마시고 쳐다보아 주시오" 2019-01-14 0 3640
136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귀뚜라미와 나와 2019-01-14 0 3901
136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해빛, 바람 2019-01-13 0 3551
1361 [그것이 알고싶다] - "상어가족"탄생기... 2019-01-13 0 3947
1360 [그것이 알고싶다] - 동요 "아기상어"... 2019-01-13 0 5356
135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애기의 새벽 2019-01-13 0 3659
135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거짓부리 2019-01-12 0 3688
1357 윤동주와 "반디불" 2019-01-12 0 5036
1356 리상화 / 반디불 2019-01-12 0 3332
135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반디불 2019-01-11 0 3636
135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만돌이 2019-01-11 0 3348
135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줌싸개지도 2019-01-09 0 3699
1352 우리의 시랑송도 늘 생활속과 함께라면... 2019-01-09 0 3138
1351 [작문써클선생님께] - "시랑송"을 어떻게 할가ㅠ... 2019-01-09 0 3536
1350 윤동주와 "참새" 2019-01-08 0 3987
134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새 2019-01-08 0 3590
1348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닭(2) 2019-01-06 0 3062
134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행기 2019-01-06 0 3189
134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자루 2019-01-01 0 3270
134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오후의 구장(球場) 2018-12-29 0 2952
1344 만화로 보는 윤동주와 정병욱 2018-12-29 0 3295
1343 윤동주와 백영(白影) 2018-12-29 0 3308
1342 우지강아, 네가 말해다오... 2018-12-26 0 3740
1341 서로 누워있는 자리는 달랐어도 같은 꿈을 꾸었으리... 2018-12-26 0 3589
1340 세계 문호들의 "참회록" 2018-12-24 0 2983
1339 "일본의 윤동주" - 마키무라 고 2018-12-24 0 3055
1338 ... 2018-12-23 0 2828
1337 동주, 그는 죽지 않았다... 2018-12-23 0 2891
1336 ... 2018-12-21 0 3647
1335 윤동주와 영화 "동주" 그리고 그의 시 15편 2018-12-21 0 3147
133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종달새 2018-12-21 0 3879
1333 ... 2018-12-20 0 3173
1332 ... 2018-12-20 0 2878
1331 ... 2018-12-20 0 3004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