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미국 계관시인 - 테드 쿠서
2016년 12월 03일 21시 07분  조회:4609  추천:0  작성자: 죽림
 

     미국 시인의 시 읽기(2010  03) 테드 쿠서

    

       테드 쿠서(Ted Kooser, 1939 -)는 미국 계관 시인 이다

       (U. S. Poet Laureate, 2004  2006)

 

       [테드 쿠서](Ted Kooser)의 시 한편을 읽어 본다.

 

       This evening, I sat by an open window

       and read till the light was gone and book

       was no more than a part of the darkness.

       I could easily have switched on a lamp,

       but I wanted to ride this day down into night,

       to sit alone and smooth the unreadable page

       with the pale gray ghost of my hand.

 

       (오늘 저녁, 나는 열린 창문가에 앉아 있다

       불빛이 꺼지기 까지 책을 읽는다 그리고 

       책은 어둠의 일부 보다 더하지 않다 

       나는 쉽사리 등불을 바꿀 수 있었으나

       나는 이 낮이 밤 가운데로 이길 수 있기를 원하였다

       혼자 앉아 있도록 그리고 읽을 수 없는 장수를

       부드럽도록 위해서도

       내 손안에 어슴푸레하고 회색의 유령과 함께. )

 

                                   시 [생일 축하] (A Happy Birthday)

           * 위의 한글 시의 번역은 사역 임.

 

 

 

 

 

                                     

 

 

 

       간략한 프로필

 

       테드 쿠서(Ted Kooser, 1939. 4. 25)는 Ames (LOWA 주)에서 출생.

 

       풀릿츠 상(The Pulitzer Prize) 등 여러 상을 받음.

       네브라스카 대학(The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교수(현)

 

       저서는 Flying at Night(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05) 외 

       많은 시 선집이 있음.

 

       현재, 가랜드 마을(The Village of Garland, 네부라스카 주) 가까운

       한 에이커(토지)에 살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895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521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5130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544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935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980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964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6168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961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541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788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4253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560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771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299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4010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5203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4036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607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560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4012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322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957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4142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836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405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480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233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489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547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690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736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977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310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917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288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5025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623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371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5003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