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世界 색점선

13년간이나 그렸거나 애장해온 자신의 그림 전부 불사르다...
2016년 10월 26일 00시 51분  조회:1987  추천:0  작성자: 죽림
 
발데사리
1970년 미국 화가 존 발데사리는 13년간 자신이 그리거나 애장해온 그림 전부를 불태웠다. ‘화장 프로젝트’로 기록된 이 퍼포먼스를 통해 당시 39세 발데사리는 개념미술의 거장 반열에 올랐다.
...발데사리는 ‘보는 것’과 ‘읽는 것’의 상관 관계에 주목한 그림들로 개념미술의 새 장을 열었다. 대중매체에서 나온 이미지들의 사회 문화적 영향을 직시한 작업들로 명성을 얻었다.

 ‘맥락없음’이 그의 작품의 맥락이다.  전시되는 ‘스토리보드(Storyboard)’ 시리즈도 그 하나다. 책장 옆 책상, 프로텍터를 한 포수, 칼라 차트, 그리고 ‘사다리를 옮기는 남자’라는 문구 등 서로 관계 없는 네 개의 이미지와 텍스트 조각을 던지며 관객에게 ‘생각하라’고 한다. 그는 미술의 권위도 비틀었다. ‘이중노트(Double Bill)’ 시리즈에서는 마네·샤르댕·고갱 등 대가들의 명작 중 아무도 주목하지 않은 한구석의 이미지를 확대해 출력하고 여기 대중가요 가사 같은 문구를 결합시켰다. 주류 미술과 대중문화 양쪽의 ‘전형’을 결합시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든 경우다.

DA 300

 
존 발데사리, 스토리보드(네 부분): 사다리를 옮기는 남자, 캔버스에 잉크젯 프린트, 유화와 아크릴, 191.8×196.9㎝. [사진 PKM갤러리]
 1970년 칼아츠(CalArts )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 2007년 UCLA에서 은퇴할 때까지 발데사리는 리처드 프린스, 데이비드 살르, 셰리 레빈 등 미국 현대미술의 주인공들을 양성했다. 2009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평생업적 부문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미술 시장과는 거리가 있었던 이 84세 개념미술가는 요즘 대중문화의 조명을 받고 있다. 영화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에서 그레이의 집엔 그의 그림이 여러 점 걸려 있었고, 올 초 생로랑의 파리 컬렉션 또한 발데사리에서 영감을 얻은 요소들로 런웨이를 채웠다. 

권근영 기자


[출처: 중앙일보] 




===================


개념미술(Conceptual art)의 거장 존 발데사리(John Baldessariㆍ1931~)의 대규모 개인전...발데사리의 근작과 신작(2008~2015) 20여점...

발데사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출신으로, 자유와 진보의 상징인 웨스트코스트(West coast)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현대미술가들의 ‘구루’로 칭송받는 작가다. 
Double Bill…And Chardin,Varnished inkjet print on
canvas with acrylic and oil paint, 178.4×137.2㎝, 2012 Courtesy Marian Goodman Gallery, New York[사진제공=PKM갤러리]

1960년대 이미지와 텍스트간의 상호관계에 주목한 회화들로 개념미술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개념미술은 완성된 예술품 자체보다 과정이나 아이디어를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전세계에 확산된 현대미술 사조 중 하나다. 

발데사리는 대중매체에서 차용한 이미지들을 해체하고 재조립한 작품들을 통해, 미디어 이미지가 전하는 메시지를 관습적으로 인식하는 것에 대해 비판을 가하며 주목 받았다. 

1970년 ‘화장프로젝트’ 퍼포먼스를 통해 지난 13년 동안(1953~1966) 자신이 해 왔던 모든 전통적인 회화 작품을 불태워버리면서 개념미술이라는 새로운 예술세계의 시작을 알렸다. 누벨바그 거장 장 뤽 고다르로부터 영향 받았다고 말하는 발데사리는 영화 스틸 컷에 텍스트를 조합시키는 작업을 통해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현재 발데사리는 설치, 조각, 영상, 사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험적인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다. 
존 발데사리

박경미 PKM갤러리 대표는 “현대미술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발데사리는 사실 1990년대까지 시장의 야인(野人)이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 상업갤러리들이 앞장서서 그를 재평가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미술시장이 그를 재평가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작품값도 급등했다. PKM갤러리에 걸린 발데사리의 작품 가격은 3억5000만원에서 5억원에 이른다. 그의 초기작 중 하나인 ‘Quality Material(1968)’는 미술경매에서 440만달러(약 45억원)에 판매되기도 했다. 

발데사리는 후학을 양성한 공로도 크다. 리처드 프린스, 데이비드 살르, 셰리 레빈 등이 그의 제자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 2009년 베니스비엔날레는 그에게 평생업적부문 황금사자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김아미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53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53 "새로운 미국 회화의 선구자" 화가 - 윌렘 드 쿠닝 2017-11-20 0 4116
452 부부 추상 표현주의 화가 2017-11-19 0 3640
451 [그것이 알고싶다] - 화가 반 고흐와 "해바라기그림"?... 2017-11-15 0 1669
450 [그것이 알고싶다] - "모나리자"의 실제 모델은 누구?... 2017-11-14 0 1605
449 [미술써클선생님께] - 그림 그릴 때 상상의 날개를 달아주라... 2017-11-14 0 1960
448 [미술써클선생님들께] - 그림 그리기에서 상상력을 키우라... 2017-11-14 0 3563
447 [쉼터] - 그림은 뛰고 또 뛴다... 2017-11-14 0 2816
446 [그것이 알고싶다] - "모나리자"는 녀성일가 남성일가?... 2017-11-14 0 3160
445 [쉼터] - 비행기야, 같이 놀쟈... 2017-11-13 0 1494
444 [타산지석] - 국화꽃아, 나와 놀아나보쟈... 2017-11-13 0 1288
443 세계에서 가장 몸값 높은 화가 - 잭슨 폴락 2017-11-10 0 3829
442 [이런저런] - 200만원짜리 그림 = 1800억짜리 그림 2017-11-10 0 2750
441 화가는 갔어도 미술계의 그의 신화는 사라지지 않았다... 2017-11-09 0 1881
440 [쉼터] - 가위질 몇번에 검은색 종이는 살아난다... 2017-11-07 0 2075
439 "누구가가 내 작품을 즐겼다는것에 만족한다"면 그것으로 끝! 2017-11-07 0 1517
438 [쉼터] - "길림시 호랑이왕" 화가 = "동북호랑이왕" 화가 2017-11-07 0 1745
437 "봄을 그리려면 봄의 느낌이 나야"... 2017-11-06 0 2575
436 가장 서민적인것, 가장 거룩한 세계, 가장 현대적인것... 2017-11-04 0 1883
435 화가들도 컴퓨터의 노예가 되고 있더라구ㅠ... 후ㅠ... 2017-11-03 0 2596
434 [쉼터] - 세상은 넓디넓고 세상은 불공평하다... 2017-11-02 0 1388
433 [쉼터] - 세상은 넓디넓고 세상은 매력적이다... 2017-10-31 0 2059
432 시작할 때 기하학적 립체도 수용할줄 알아야... 2017-10-31 0 2200
431 시도 "4분의 3"의 립상이 좋을 듯... 2017-10-25 0 2435
430 예술창작은 자연과 인간의 결정(結晶)에의 충동이다... 2017-10-24 0 2455
429 거꾸로 볼가ㅠ... 삐딱하게 볼가ㅠ... 2017-10-23 0 2453
428 바로 볼가ㅠ... 뒤집어 볼가ㅠ... 2017-10-23 0 4340
427 "봄, 여름, 가을, 겨울 - 사계"로 형상화한 신비로운 인물화 2017-10-23 0 3636
426 화가 다빈치가 자전거를 최초로 발상했다?... 아니다!... 2017-10-23 0 2171
425 유명한 본 종가집 그림은 새끼에 새끼를 낳는걸 알가 모를가... 2017-10-23 0 2496
424 "나는 한번도 뚱보를 그린적이 없다"... 2017-10-23 0 3790
423 7만 = 1억 2017-10-22 0 2756
422 세계 3대 박물관 하나인 루브르 박물관을 둘러보다... 2017-10-22 0 1497
421 미술작품과 일상용품의 경계를 허물어버린 초현실주의 화가... 2017-10-22 0 3908
420 [쟁명] = 세상은 넓고 그림세계는 요지경이다... 2017-10-22 0 2253
419 {쟁명} = "모나리자"는 말이 없다?... 말이 많다!... 2017-10-22 0 2573
418 {쟁명} = 칭찬 일색이던 사회 분위기를 대담하게 뒤번지다... 2017-10-22 0 3094
417 {쟁명} = 아방가르드적 락서 행위도 예술일까???... 2017-10-22 0 2103
416 {쟁명" = "수염 난 모나리자" 시집 잘 가다... 2017-10-22 0 2484
415 꽃은 그 언제나 말이 필요 없다... 2017-10-22 0 1907
414 세상에 버려질 물건이란 있다?... 없다!... 2017-10-22 0 274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