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연변작가협회에서 회원들 작품집 출간 전력
2016년 05월 05일 00시 28분  조회:4470  추천:0  작성자: 죽림


연변작가협회가 호북성작가협회의 후원금 20만원으로 해마다 정기적으로 출간하는 작품집 평선에 임은숙시인이 선정되여 시인의 작품집 《하늘아, 별아》가 일전에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판발행되였다.
 
1971년에 화룡시에서 출생한 임은숙은 현재 연변작가협회 회원이며 2002년 《연변문학》에 “가을숲길(외3수)”로 등단하여 작품활동을 시작, 2006년에 한국《대한문학세계》에 시 “그리움의 행선지”로 신인문학상, 2012년엔 연변작가협회 제2회 가야하인터넷문학상 등을 수상한바 있는 시적재능이 넘치는 시인이다.
 
“하늘이 허락한 사랑이 아니여도/ 사랑한다 말할수 있도록 마음을 열어준 당신/ 잔잔히 흐르는 내물 같은 작은 고백 드릴수 있어 행복합니다”라는 머리글로 벌써 독자를 “사랑”속에 가두는 시집 《하늘아, 별아》에는 사랑을 주제로 아름답고 조용했고 아팠고 떠나보내고 추억하는 사랑려정을 시줄에 곱게 옮긴 146수의 아름다운 시들이 수록되였다.
 
2015년부터 연변작가협회는 호북성작가협회 후원금을 기초로 회원들의 작품집을 무료로 출간하고있는데 이번 시집은 리근영시인의 시집에 이어 두번째로 되는 시집이다.

박정근

=======================


박장길의 시집 《너라는 역에 도착하다》가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판되였다. 이 시집은 연변작가협회가 호북성작가협회의 후원금 20만원으로 해마다 정기적으로 출간하는 작품집 평선에 선정되여 출간된 시집이며  리근영, 임은숙 시인의 시집에 이어 세번째로 되는 시집이다.

시집 《너라는 역에 도착하다》는 5개 장절로 나뉘었다. 제1부는 '가슴의 북'으로 시내물, 여름강, 모래섬 등 자연을 소재로 했으며 2부는 '잡초의 가슴에 푸른 칼날이 자란다'로 '가락지', '부자의 독', '낚시줄의 긴 꿈' 등 희망을 그려보는 작자의 내심의 발로라 하겠다. 3부는 '아침이 흰옷 입고 춤춘다', 4부는 '내두산은 장백산의 안해이다', 5부는 '서산마루에 해바라기 피였다' 로 근 100수의 시가 수록되였다.

저자 박장길은 중국소수민족작가학회 회원이며 연변작가협회 리사이다. 그는 아리랑문학상, 두만강여울소리 시탐구상, 해란강문학상, 정지용문학상, 가야하문학상, 중앙급가사창작상 등 30여차 수상했다.

그의 저서로는 시집 《매돌》,  《찰떡》,《짧은 시 긴 탄식》;동시집《소녀의 봄》, 가사집《부부사이는 춘하추동》,수필집《어머니 시집 가는 날》등이 있다.

저자 박장길은 저서에서 "좋은 시를 읽으면 그렇게 기쁠수가 없다...후배가 선배를 본보기로만 대하고 '적수'로 대하지 않는다면 영원히 선배를 초월하지 못한다...자기의 길을 찾는 과정이 배워가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조글로미디어 문야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867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471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5113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428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933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962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946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6039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943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528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776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4244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549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757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206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970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5197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4028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601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545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917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311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859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4142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827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381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467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220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424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508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664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672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975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227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915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285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933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574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363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4998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