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박용래 - 저녁눈
2016년 05월 01일 18시 54분  조회:4896  추천:0  작성자: 죽림

 

저녁눈

 

박용래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말집 호롱불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조랑말 발굽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여물 써는 소리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변두리 빈터만 다니며 붐비다.

 

▲ 일러스트 / 잠산

 

박용래(1925~1980) 시인은 과작의 시인이었다. 그는 우리말을 한 땀 한 땀 정성스럽게 기워 시를 써냈다. 그의 시는 가난한 것과 세상이 거들떠보지 않는 작고 하찮은 것들을 세필(細筆)로 세세하게 그려내고 돌보았다.

'저녁눈'을 읽으면 허름한 말집(추녀를 사방으로 삥 두른 집)에 앉아 '탁배기'를 한 잔 하고 있는 박용래 시인이 보이는 듯하다. 말집에는 마차꾼과 지게꾼이 흥성흥성하고, 먼 길을 터벅터벅 걸어온 나귀와 노새가 급한 숨을 내쉬느라 투루루 투레질을 하고, 누군가는 구유에 내놓을 여물을 써느라 작두질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해는 떨어지고 추운 밤은 오는데 눈발은 삭풍에 내려앉을 곳을 찾지 못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는 호롱불 불빛을 받으며 떠도는 눈발을, 조랑말의 정처 없는 걸음처럼 난분분한 눈발을, 여물 써는 소리처럼 내리는 눈발을 바라보고 있었을 것이다.

그는 이 시에서 '붐비다'라고 써서 목탄화처럼 평면적인 풍경에 동선(動線)을 끌어넣는가 하면, 한 곳 한 곳 짚어가던 시선을 들어 올려 퀭한 빈터로 옮김으로써 시의 공간을 일순에 넓게 확장하는 재주를 선보이고 있다.

그는 물러나 앉아 늦은 저녁 눈발 내리는 그 풍경을 하나의 '공터'로 읽었을 것이다. 마차꾼과 지게꾼의 떠도는 삶과 내일이면 또 먼 길을 떠나야 하는 그네들의 노심초사와 나귀와 노새의 공복(空腹)을 읽었을 것이다.

박용래 시인은 술판에서 엉엉 잘 울던 마음 여린 시인이었다. 천진하게 잘 울어 '눈물의 시인'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박용래 시인과 절친했던 소설가 이문구는 '박용래 약전(略傳)'이라는 글에서 박용래 시인의 잦은 눈물에 대해 이렇게 썼다. "모든 아름다운 것들은 언제나 그의 눈물을 불렀다. 갸륵한 것, 어여쁜 것, 소박한 것, 조촐한 것, 조용한 것, 알뜰한 것, 인간의 손을 안 탄 것, 문명의 때가 아니 묻은 것, 임자가 없는 것, 아무렇게나 버려진 것, 갓 태어난 것, 저절로 묵은 것…. 그는 누리의 온갖 생령(生靈)에서 천체의 흔적에 이르도록 사랑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사랑스러운 것들을 만날 적마다 눈시울을 붉히지 않은 때가 없었다."

박용래 시인이 생전에 살았던 대전시 오류동 17번지의 15호를 찾아가면 "감새/ 감꽃 속에 살아라"라고 노래했던 선한 그가 "윤회 끝/ 이제는 돌아와" 다시 살고 있을까.

[문태준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3 시인 - 허옥진 2015-03-08 0 6004
162 시인 - 주향숙 2015-03-08 0 4613
161 시인 - 김영춘 2015-03-08 0 4758
160 시창작의 1, 2 , 3. ㅡ 석화 2015-03-08 0 4596
159 시인 - 송미자 2015-03-08 0 5226
158 시인 - 김경희 2015-03-08 0 5216
157 시인 - 리순옥 2015-03-08 0 5826
156 시인 - 최기자 2015-03-08 0 4717
155 시인 - 석화 2015-03-08 0 5774
154 시인 - 김응룡 2015-03-08 0 5393
153 시인 - 김학송 2015-03-08 0 4689
152 시인 - 김영건 2015-03-08 0 4892
151 동시인 - 림금산 2015-03-08 0 4951
150 시인 - 리임원 2015-03-08 0 4909
149 시인 - 윤청남 2015-03-08 0 4781
148 시인 - 김파 2015-03-08 0 4766
147 시인 - 강효삼 2015-03-08 0 4553
146 명시인 - 괴테 2015-03-07 0 5164
145 보들레르 시 표절작? 2015-03-07 1 5166
144 명시인 - 랭보 2015-03-07 1 5620
143 서구 현대시 시조 - 보들레르 2015-03-07 0 4813
142 노별상 수상 거부자들과 그 리유 2015-03-05 0 4749
141 력대 노벨문학상 수상작 목록 2015-03-05 0 5364
140 러시아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5-03-05 0 4853
139 민족시인 7위 분향단 2015-03-05 0 5153
138 아동문학가 - 고 윤정석 2015-03-05 0 5344
137 시인 - 박장길 2015-03-05 0 4573
136 윤동주 미발표 시 더 있다... 2015-03-05 0 10172
135 시인 - 김동진 2015-03-05 0 5076
134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5-03-05 0 4859
133 윤동주 생가 2015-03-05 0 5282
132 시인 - 김철호 2015-03-05 0 4843
131 동시인 - 한석윤 2015-03-05 0 4929
130 시인 - 고 한춘 2015-03-05 0 5240
129 시인 - 심련수 2015-03-05 0 4750
128 음악가 - 정률성 2015-03-05 1 5082
127 시인 - 고 리삼월 2015-03-05 0 4651
126 룡정 윤동주연구회 "룡두레" 문화총서 출간 2015-03-04 1 5089
125 고독과 시인과 시 2015-03-04 0 5296
124 묘비명 - 자유 2015-03-04 0 5119
‹처음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