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오규원 - 한잎의 여자
2016년 05월 01일 18시 50분  조회:5255  추천:0  작성자: 죽림
 

한 잎의 여자

/오규원

 

 

 

 

나는 한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한 잎같이 쬐그만 여자, 그 한 잎의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그 한 잎의 솜털, 그 한 잎의 맑음, 그 한 잎의 영혼, 그 한 잎의 눈, 그리고 바람이 불면 보일 듯 보일 듯한 그 한 잎의 순결과 자유를 사랑했네. 

정말로 나는 한 여자를 사랑했네. 여자만을 가진 여자, 여자 아닌 것은 아무것도 안 가진 여자, 여자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여자, 눈물 같은 여자, 슬픔 같은 여자, 병신(病身) 같은 여자, 시집(詩集) 같은 여자, 그러나 영원히 가질 수 없는 여자, 그래서 불행한 여자. 

그러나 영원히 나 혼자 가지는 여자, 물푸레나무 그림자 같은 슬픈 여자. 

<1978년>


 

▲ 일러스트=권신아

오규원(1941~2007) 시인은, 보통 사람이 호흡하는 산소의 20%밖에 호흡하지 못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앓다 작년 겨울에 타계했다. 임종 직전 "한적한 오후다/ 불타는 오후다/ 더 잃을 것이 없는 오후다/ 나는 나무 속에서 자본다"라는 마지막 문장을 손가락으로 제자 손바닥에 써서 남겼다.

나는 이 시를 대학교 1학년 때의 여름, 한 남학생이 보낸 대학학보의 주소 띠지 속에서 처음 읽었다. 얼마나 많은 남자들이 얼마나 많은 여자에게 이 시를 옮겨 나르곤 했던가. 이 시는 시집 '왕자가 아닌 한 아이에게'(1978)에 실린 작품이다. 그러나 시집 '사랑의 감옥'(1991)에 3편의 연작시 중 1편으로 다시 실렸다. '언어는 추억에 걸려 있는 18세기형 모자'라는 부제가 첨가되었고, 2연의 끝 '영원히 가질 수 없는 여자'와 3연의 '영원히 나 혼자 가지는 여자'가 바뀌었다. 부제를 첨가하여 '여자'는 '언어'에 대한 은유이기도 하다는 것을, '영원히 가질 수 없는 여자'를 뒤로 배치하여 여자나 언어 모두 소유할 수 없는 존재임을 강조하였다.

나무껍질을 벗겨 물에 담그면 물빛이 푸르스름해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물푸레, 이 시 덕분에 물푸레나무와 그 잎이 보고 싶었던 때가 있었다. 커다란 나무에 비해 여릿하고 포릇하고 정말 '쬐그만' 둥근 잎이었다. 천생 '여자'를 닮은, 이를테면 눈물 하면 떠오르는 글썽임이라든가, 슬픔 하면 떠오르는 비릿함이라든가. 병신 하면 떠오르는 어리숙함이라든가, 시집 하면 떠오르는 아련함이라든가….

그런 '여자'를 반복해 나열하면 할수록, 묘사하면 할수록 '여자'의 실체는 사라지고 '여자'는 신비의 옷을 입는다. 세상의 절반이 여자다. 물푸레나무에 달린 '쬐그만' 잎처럼 하고많은 여자와 '여자'라는 보통명사를 이토록 입에 척척 달라붙도록, 혀에 휘휘 휘감기도록 구체화시켜 놓고 있다니!

여자는 남자의 '여자'다. 남자의 엄마이고 누이이고 애인이고 아내이고 딸이다. 남자의 과거이고 미래이다. 남자의 부재이자 심연이고, 선물이자 폭력이다. 그러니 시작이고 끝이다. 그런 여자를 어찌 정의할 수 있으랴. 모두 가지지만 결코 가질 수 없는 그런 한 '여자'를 누가 가졌다 하는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842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462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5104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425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932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956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904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6029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932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462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767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4243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539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745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203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934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5187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3985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558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475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890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295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817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4135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823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347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458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185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381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461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661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637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969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223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905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278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925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569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356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4965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