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김춘수 - 꽃
2016년 05월 01일 18시 45분  조회:4959  추천:0  작성자: 죽림

 

'꽃'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김춘수 시인은 릴케와 꽃과 바다와 이중섭과 처용을 좋아했다. 시에서 역사적이고 현실적인 의미의 두께를 벗겨내려는 '무의미 시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교과서를 비롯해 여느 시 모음집에서도 빠지지 않는 시가 '꽃'이며 사람들은 그를 '꽃의 시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1952년에 발표된 '꽃'을 처음 읽은 건 사춘기의 꽃무늬 책받침에서였다. '그'가 '너'로 되기, '나'와 '너'로 관계 맺기, 서로에게 '무엇'이 되기, 그것이 곧 이름을 불러준다는 것이구나 했다. 그러니까 사랑한다는 것이구나 했다. 이름을 부른다는 게 존재의 의미를 인식하는 것이며, 이름이야말로 인식의 근본 조건이라는 걸 알게 된 건 대학에 와서였다. 존재하는 것들에 꼭 맞는 이름을 붙여주는 행위가 시 쓰기에 다름 아니라는 것도.

백일 내내 핀다는 백일홍은 예외로 치자. 천 년에 한 번 핀다는 우담바라의 꽃도 논외로 치자. 꽃이 피어 있는 날을 5일쯤이라 치면, 꽃나무에게 꽃인 시간은 365일 중 고작 5일인 셈. 인간의 평균 수명을 70년으로 치면, 우리 생에서 꽃핀 기간은 단 1년? 꽃은 인생이 아름답되 짧고, 고독하기에 연대해야 한다는 걸 깨닫게 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고 그가 나의 이름을 불러주면, 서로에게 꽃으로 피면, 서로를 껴안는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늦게 부르는 이름도 있고 빨리 부르는 이름도 있다. 내 꽃임에도 내가 부르기 전에 불려지기도 하고, 네 꽃임에도 기어코 네가 부르지 않기도 한다.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이름을 부르는 것의 운명적 호명(呼名)이여! '하나의 몸짓'에서,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는 것의 신비로움이여!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꽃은 나를 보는 너의 눈부처 속 꽃이었으나, 내가 본 가장 무서운 꽃은 나를 등진 너의 눈부처 속 꽃이었다.

세계일화(世界一花)랬거니,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세계는 한 꽃이다. 만화방창(萬化方暢)이랬거니,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세계는 꽃 천지다. 꽃이 피기 전의 정적, 이제 곧 새로운 꽃이 필 것이다. 불러라, 꽃!

[정끝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03 중국조선족시인 홍영빈 篇 2024-08-29 0 688
2202 중국조선족시인 리삼월 篇 2024-08-29 0 738
2201 중국조선족시인 김철 篇 2024-08-29 0 707
2200 중국조선족시인 조광명 篇 2024-08-29 0 1022
2199 중국조선족시인 김창영 篇 2024-08-29 0 849
2198 중국조선족시인 김견 篇 2024-08-29 0 563
2197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건 篇 2024-08-29 0 683
2196 중국조선족시인 심예란 篇 2024-08-29 0 847
2195 중국조선족시인 김일량 篇 2024-08-29 0 853
2194 중국조선족 시인 석화 篇 2024-08-24 0 2251
2193 중국조선족 시인 김정호 篇 2024-08-24 0 956
2192 중국조선족 시인 허동식 篇 2024-08-24 0 1012
2191 중국조선족 시인 리상각 篇 2024-08-24 0 951
2190 중국조선족 시인 조룡남 篇 2024-08-24 0 970
2189 중국조선족 시인 최룡관 篇 2024-08-24 0 910
2188 중국조선족 시인 방산옥 篇 2024-08-24 0 902
2187 중국조선족 시인 김파 篇 2024-08-24 0 1023
2186 중국조선족 시인 강효삼 篇 2024-08-23 0 927
2185 중국조선족 시인 윤청남 篇 2024-08-23 0 932
2184 중국조선족 시인 림운호 篇 2024-08-23 0 844
2183 중국조선족 시인 방태길 篇 2024-08-23 0 1139
2182 중국조선족 시인 김경희 篇 2024-08-23 0 927
2181 중국조선족 시인 방순애 篇 2024-08-23 0 950
2180 중국조선족 시인 최화길 篇 2024-08-23 0 847
2179 중국조선족 시인 허옥진 篇 2024-08-23 0 1091
2178 중국조선족 시인 류춘옥 篇 2024-08-23 0 857
2177 중국조선족 시인 김선희 篇 2024-08-23 0 877
2176 중국조선족 시인 김성우 篇 2024-08-23 0 969
2175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능 篇 2024-08-23 0 1194
2174 중국조선족 시인 림금산 篇 2024-08-23 0 1027
2173 중국조선족 시인 김춘희 篇 2024-08-23 0 983
2172 중국조선족 시인 리문호 篇 2024-08-23 0 1022
2171 중국조선족 시인 최기자 篇 2024-08-23 0 1009
2170 중국조선족 시인 김응룡 篇 2024-08-23 0 1033
2169 중국조선족 시인 김기덕 篇 2024-08-23 0 1031
2168 중국조선족 시인 김창희 篇 2024-08-23 0 913
2167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춘 篇 2024-08-23 0 1120
2166 중국조선족 시인 한춘 篇 2024-08-23 0 1014
2165 중국조선족 시인 김승종 篇 2024-08-23 0 1232
2164 중국조선족 시인 박장길 篇 2024-08-23 0 1286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