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와 음악, 음악과 詩
2016년 04월 17일 07시 03분  조회:4763  추천:0  작성자: 죽림

정재학 시인
살인자와 그림자들은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시체를 자루에 싸서 옮기려 한다. 일당은 순찰 중인 경찰관과 마주치지만, 경찰은 시체의 허벅지살을 보고도 모른 척한다. 한 패가 된 경찰 눈엔 시체도 지푸라기와 고구마로 보일 뿐이다. 심지어 한입 깨어 물기까지 한다. 섬뜩한 시엔 마침표가 없다.

...추천작은 정재학 시인(40)의 ‘공모(共謀)’다. 1996년 ‘작가세계’로 등단한 시인이 6년 만에 내놓는 세 번째 시집 ‘모음들이 쏟아진다’(창비)에 실렸다. 추천에는 김요일 신용목 이건청 이원 장석주 시인이 참여했다.

정재학 시인은 정치적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불신이 누적돼 시를 썼다. 정 시인은 ‘공모’ 시작(詩作) 메모에 이렇게 썼다. “때로 진실은 너무 깊숙이 감추어져 있어서 우리는 어떤 부패에 대해 심증만 가질 뿐 교묘하게 조작되어 있는 상황에 농락당하기 쉽다. 권력이 강하면 더욱 쉽게 불리한 상황을 빠져나간다. 우리는 농락당하는 것에 지나치게 익숙해져 가는 것 같다. 하지만 진실은 결국 밝혀져야 한다.”

시집 해설을 쓴 조강석 평론가는 정 시인을 ‘200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선두 주자’로 꼽고 2000년대 한국시의 젊은 시인을 ‘정재학 이전’과 ‘정재학 이후’로 나눴다. 시집에는 음악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어릴 때부터 시와 음악을 많이 좋아했습니다. 한때는 시를 쓰면서 음악도 함께 하고 싶었는데 음악은 능력 부족으로 하지 못했습니다. 시인에게 열등감을 느낀 적은 없지만 음악가에게 열등감을 느낀 적은 있습니다. 음악에 대한 사랑이 시에 많이 담긴 것 같습니다.

 
김요일 시인은 “정재학이 단선율 음계로 연주한 몽환의 선율은, 다양한 색채의 기표가 되어 ‘한여름 밤의 음악회’를 더욱더 비밀스럽고 신비하게 만든다. 시집을 덮어도 끊임없는 배음(倍音)이 되어 귀를 때리고 심장을 쿵쾅거리게 한다”라고 했다.

이원 시인은 “시집에서 재즈와 씻김굿을 넘나들며 ‘전위적 굿판’을 만들어냈다. 그의 초현실적 상상력이 이토록 생생한 것은, 바로 이것이 은폐하고 싶었던 우리 사회의 민얼굴이기 때문이다”고 평했다. 신용목 시인도 “정재학은 ‘풍경의 해부학자’다. 그는 우리 시대의 아픈 장기들을 꺼내 수술대 위에 올려놓는다. 보라, 보라, 보라고 외치는 그의 발밑에는 늘 피가 흥건하다”고 추천했다.

 
장석주 시인은 김근 시집 ‘당신이 어두운 세수를 할 때’(문학과지성사)를 추천하면서 “김근의 시는 불편하다. 한데 그 불편함이 어딘지 익숙하다. 어디선가 불쑥 나온 젖은 손 하나가 발목을 붙잡고, 모르는 손이 내장을 끄집어내는데, 이렇듯 몸은 온전성을 잃고 해체된 지체들로 저마다 현실을 감당할 때, 현실은 낯섦과 기이함으로 물든다”고 했다.

이건청 시인은 조정권 시집 ‘시냇달’(서정시학)을 꼽았다. “시집에서 삶을 바라보는 깊고 원숙한 통찰을 본다. 존재의 근원까지 하강해가면서 정제된 말을 찾고, 찾은 말들을 질서화해가는 그의 시업은 지루한 진술의 시들이 판을 치는 요즘 한국시에서 귀한 개성으로 읽힌다.”

박훈상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83 풍유시로 사회를 고발한 백거이 2016-02-10 0 4653
1082 그 누구에게나 가슴속엔 詩가 가득듬뿍... 2016-02-10 0 5838
1081 묘비명 한졸가리 2016-02-10 0 5022
1080 남미주 칠레 민중시인 네루다를 다시 만나다 2016-02-09 0 4535
1079 詩人은 풍경속을 걷는 者 2016-02-08 0 4769
1078 령혼을 깨우는 천재시인의 향기 - 2천여편 : 23편 2016-02-08 0 5006
1077 <새해> 시모음 2016-02-08 0 4397
1076 <설날> 시모음 2016-02-08 0 4692
1075 동시는 童詩 2016-02-07 0 4127
1074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02-07 0 5113
1073 동시창작론 2016-02-07 1 4627
1072 동요창작론 2016-02-07 0 4115
1071 세계기행詩 쓰기 2016-02-06 0 4397
1070 소설가로만 알았던 포석 조명희, 시인으로 만나다... 2016-02-06 0 5331
1069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이용악 2016-02-06 0 5113
1068 젊은 나이에 요절한 시인 오장환을 기리며 2016-02-06 0 4470
106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오장환 2016-02-05 0 4431
1066 산문시를 확실하게 알아보기 2016-02-05 1 5540
1065 참 재미있는 산문시 2016-02-05 0 4507
1064 산문시를 다시 알아보기 2016-02-05 0 5062
1063 산문시를 아십니까... 2016-02-05 0 4947
1062 詩창작의 최고의 교과서는 詩와 詩集 2016-02-05 0 4953
1061 散文詩이냐 산문(수필)이냐 2016-02-05 0 4419
1060 산문시 쓰기전 공부하기 2016-02-05 0 5313
1059 동시야 동시야 나와 놀자... 2016-02-05 0 4360
1058 우리도 산문시 써보자... 2016-02-05 0 5229
1057 산문시를 공부하기 2016-02-05 0 4602
1056 詩와 산문시, 수필의 차이점 2016-02-05 0 4940
1055 무감각해진 詩의 하체를 톡톡 건드려봅시다 2016-02-05 0 5494
1054 散文詩에 대하여 2016-02-05 0 6772
1053 은유에 관한 보고서 2016-02-05 0 4582
1052 詩쓰기와 자아찾기 2016-02-05 0 5031
1051 풍경이 곧 시인의 재산 2016-02-03 0 4532
1050 "스물여덟 삶" ㅡ 영화 "동주" 이달 18일 개봉 2016-02-03 0 4475
1049 詩의 언어운용에 관하여 2016-02-03 0 5764
1048 겁없이 쓰는 詩와 겁먹으며 씌여지는 詩 2016-02-03 0 5220
1047 태양아래 새로운 것 없다?!... 있다?!... 2016-02-03 0 4930
1046 生态詩 공부하기 2016-02-02 0 4456
1045 "생태시" 시론을 공부하고 생태시 쓰자... 2016-02-02 0 4460
1044 유교사회 조선시대 녀류시인들 2016-02-01 0 5789
‹처음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