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윤동주 시집 초판본의 초판본;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로
2016년 02월 19일 05시 18분  조회:4911  추천:0  작성자: 죽림

정음사 대표 최영해의 장남 최동식 교수(외솔 최현배 손자), 최초본 공개

(연합뉴스)  =
1948년 출판사 정음사에서 발간한 윤동주(1917~1945) 시인의 유고시집이자 첫 시집인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에는 '서시' '별 헤는 밤' '십자가' '쉽게 씌여진 시' 등 주옥같은 시가 담겨 있다.

생전 시집을 한 편도 내지 못하고 1943년 독립운동 혐의로 체포돼 1945년 2월 젊은 나이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3주기 추도식은 외롭지 않았다. 윤동주 시인의 3주기(1948년 2월16일) 추도식에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본이 헌정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펴낸 정음사 최영해(1914~1981) 대표의 장남 최동식(71) 고려대 화학과 명예교수는 윤동주 시인의 3주기 추도식에 헌정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본을 공개했다.

최 교수는 선친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오랫동안 간직하던 최초본을 공개한다며 윤동주 시인의 지인들이 시인의 3주기에 맞춰 시집 출간을 준비했는데 출간이 늦어지자 급히 만든 시집 10권을 추도식에 헌정했다는 얘기를 선친에게서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시집의 본문을 다 만들어 발간일을 1월30일로 잡았는데 표지 때문에 발간을 못 하고 있다가 동대문 시장에서 구한 갈포벽지로 추정되는 섬유질로 된 벽지를 마분지에 입혀 표지를 만든 뒤 시집 10권을 급하게 제본해 3주기 추도식에 가져갔다"고 전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최초본은 같은 해 발간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본과 정지용 시인이 쓴 서문, 본문, 인쇄 및 발행 일자(1948년 1월20일 인쇄·1948년 1월30일 발행), 속표지 등은 같지만, 파란색의 겉표지가 없다.

최 교수는 "본문은 (초판본과) 다 똑같고 겉표지만 다르다"면서 "초판본은 대략 1천 부정도 만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중 10권만 따로 뽑아서 제본해 3주기 추도식에 가져갔고 나머지는 제대로 된 파란색 표지를 만들어 한 달 후쯤 발간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추도식이 끝나고 모였던 사람들이 시집을 한 권씩 나눠 가졌다고 한다"고 전했다. 3주기 추도식에는 윤동주 시인의 동생인 윤일주, 윤동주 시인의 후배로 그의 시를 보관했던 정병욱, 시집에 추도시를 쓴 유영, 발문을 쓴 경향신문 기자 강처중 등 지인들이 참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최 교수는 덧붙였다.

시집 본문 곳곳에는 잉크펜으로 그은 표시 등이 남아 있다.

최 교수는 "아버님이 나중에 재판을 낼 경우에 대비해 삭제할 부분 등을 표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음사는 우리말 연구와 보급에 평생을 바친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1894~1970) 선생이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당시 강의를 위해 '우리말본' 중 '소리갈'을 등사본으로 찍은 것을 계기로 1928년 설립됐다. 이후 최현배 선생의 아들 최영해 씨가 대표를 맡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등 문학 작품과 국문학 서적 등을 펴냈다.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본은 당시 보기 드물게 가로쓰기를 택했다.

최 교수는 "해방 직후 당시 대부분 세로쓰기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써내려오는 방식으로 책을 펴냈는데 한글 가로쓰기를 주창한 할아버지(최현배 선생)의 뜻을 아버님이 실천에 옮긴 것"이라면서 "윤동주 시인이 할아버지에게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최동호 고려대 국문과 명예교수는 "그런 행사가 있었다는 것은 들었지만 '초판의 초판'으로 볼 수 있는 그 시집을 가져다가 추모 행사를 했다는 것은 처음 듣는 얘기"라고 밝혔다.

'윤동주 평전'을 펴낸 사학자 송우혜 선생은 "윤동주 시인의 지인들이 1948년 소공동 플라워 다방에서 3주기 추도식을 가졌다"면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3주기에 맞춰 펴낸 것이기 때문에 추도식에 초판본이 헌정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670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306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4931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314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855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784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703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5883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718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399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658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3957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419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641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030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772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4997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3778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348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266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699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164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695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3999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679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123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261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053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181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257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462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496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738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071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682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119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786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331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121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4786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