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짓기는 初心으로...
2016년 01월 08일 04시 58분  조회:4361  추천:0  작성자: 죽림

初心으로 돌아가는 시작법/

 

- 생활의 발견 -

                                             이 문재

 

 

 

<빨래집게>를 발표하신 님은 '시인의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인의 눈이란 무엇입니까. 남들이 못 보는 것, 안 보는 것을 보는 눈이겠지요. 시인의 눈을 '바깥의 눈'이라고 부르는 까닭이 여기에 있습니다. 한 걸음 비켜서서, 또는 한 걸음 앞서거나 뒤쳐져서 보는 눈, 그것이 시인의 눈입니다. <빨래집게>를 함께 읽어보지요.

 

 

 

버스 창문 밖으로 내민

하이얀 그녀의 손

뒤뜰에 널어놓은 손수건 마냥

오늘도 바람에 나부낀다

 

 

꽉 물고 놓지 못하는 그리움

 

 

 

난해한 시어가 없습니다.
특별한 비유도 없습니다.
하지만 그리움의 깊이가 가슴속으로 환하게 스며듭니다.
시 속에서 그녀는 버스를 타고 떠나는데, 창문 밖으로 하얀 손을 흔듭니다.
이 손은 곧 손수건으로 변주됩니다.
애인의 손=하얀 손수건=이별. 이 같은 은유와 상상력의 전개는 너무 흔해서 자칫 상투적 표현으로 전락할 지경입니다.
하지만 시인은 빨래집게를 동원하며 상투성에서 벗어납니다.
시의 화자는 빨래집게를 의인화(자기화)하며 애인의 손을 '꽉 물고 놓지' 않고 있습니다.
이것이 시의 위력이자 매력입니다.
시 쓰는 이의 심리 상태를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물의 이미지와 만나게 해주는 것,
그리하여 '나'는 물론이고 '나'에게 비유된 대상까지 새롭게 태어나게 하는 것!
은유는 지배나 억압의 관계가 아닙니다.
은유는 공존, 상생의 관계입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43 시는 알면 재미있고, 모르면 재미없고... 2016-01-05 0 4234
842 과소평가 된 시인과 과대평가 된 시인 2016-01-05 0 4578
841 시는 시인의 령혼 2016-01-05 0 4278
840 시읽는 방법 2016-01-05 0 4017
839 아버지는 영웅 /// 영웅을 낳는 어머니 2016-01-05 0 4340
838 시인 김억과 그리고 등 등... 2016-01-04 0 6498
837 현대시 100년, 시인 166명, 시 700편 - 기념시집 2016-01-03 0 4932
836 시에서 이미지만들기 2016-01-03 0 4358
835 난해시와 초현실주의의 교주 - 조향시인 2016-01-03 0 5740
834 충동적으로 쓰고마는 詩는 아마추어들이 하는 짓 2016-01-03 0 4545
833 시에서 아방가르드를 꿈꾸는 시인은 고독자 2016-01-03 0 4472
832 천재 시인 李箱과 조선족 소설가, 시인 金革 2016-01-02 0 4844
831 超現實主義 = 超自然主義 2016-01-02 0 4351
830 캐나다시인들은 시를 어떻게 쓸가... 2016-01-02 0 4501
829 모든 것 없는 것, 없는 것 모든 것... 2016-01-02 0 4233
828 미래파의 형성 2016-01-02 0 5234
827 어느 할아버지 시평 - 김춘수 "꽃", 존재론적에 머문 詩 2016-01-02 0 4603
826 해체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2016-01-02 0 6200
825 "거시기" 세글자면 모든 것 통하는 것... 2016-01-02 0 4420
824 난해시와 김지하 2016-01-02 0 4296
823 산문시(散文詩)와 그 례... 2016-01-02 0 4050
822 詩史에서의 미래파시인 2016-01-02 0 5248
821 해체시와 박남철, 황지우 /// 시적허용 2016-01-02 0 4665
820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예디자인론 2016-01-02 0 4138
819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 2016-01-02 0 4801
818 포스트모더니즘과 니체 2016-01-02 0 4296
817 난해시와 보들레르 2016-01-02 0 4420
816 난해시를 읽는법 2016-01-01 0 6719
815 왕초보 시짓기에서의 비법 2016-01-01 0 4668
814 난해시의 원조 - 산해경 2016-01-01 0 4168
813 난해시와 목장의 목동 2016-01-01 0 3871
812 난해시와 오세영 2016-01-01 0 4074
811 난해시와 김수영 2016-01-01 1 4432
810 난해시와 김춘수 2016-01-01 0 4606
809 난해시와 조영남가수 2015-12-31 0 4306
808 난해성과 현대성 2015-12-31 0 4371
807 난해시와 어설픈 평론 / 나와 나도 난해시가 좋다... 2015-12-31 0 4407
806 난해시와 신경림 2015-12-31 0 4806
805 난해시와 李箱 2015-12-31 0 4785
804 詩의 넋두리 2015-12-31 1 4251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