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경청 - "길 하나 보인다..."
2015년 12월 28일 19시 20분  조회:4560  추천:0  작성자: 죽림
 

달콤한 아이스크림의 역설
모든 건 덧없이 녹아내리니

기사 이미지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원문 The only emperor is the emperor of ice-cream)

- 월리스 스티븐스(1879~1955), ‘아이스크림 황제’ 중에서


이 한 줄은 시 ‘아이스크림 황제(The Emperor of Ice-cream)’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필자가 오랫동안 매료됐던 구절이다. 미국 시를 한 차원 올려놨다는 월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도 자신의 시 중에서 이 시를 가장 선호했다고 한다.

 
 
 이 시의 정황, 부엌에선 아이스크림이 만들어지고, 침실엔 시체가 누워 있다. 죽은 여자는 자신이 화려하게 수놓았던 시트로 얼굴이 덮여 있으나 딱딱한 발이 시트 밖으로 삐져나온다. 그것이 얼마나 차갑고 무감각한지 보여주기 위해서란다. 우리 앞에 놓인 죽음은 그 무엇으로 가릴 수도, 장식될 수도 없다는 뜻일 것이다. 아이스크림은 달콤하나 순간 녹아버린다는 점에서 우리 삶과 닮아 있다. 얼음 디저트라는 점에서는 시체의 차가움을 은유한다.
시인은 달콤한 기쁨을 주다 덧없이 녹아내리는 아이스크림이야말로 절대적인 황제라 한다. 죽음 앞에서 모든 것은 덧없고 덧없다. 그중 최고로 덧없는 모습은 아이스크림의 거품이다. 뭉게구름 같은 그것이 덧없음의 황제 아이스크림 황제다. 이 허무주의적 진실을 이렇게 한 줄로 꿰뚫어 요약하다니, 이 구절이야말로 시의 엑스터시로서 우리를 녹아내리게 하는 아름다움 아닌가. 

  최정례 시인


DA 300

 
[전문]

아이스크림 황제

                                 월리스 스티븐스
                                        /최정례 졸역

여송연 굵게 마는 자를 불러라
근육질의 사내로, 그리고 그로 하여금
부엌의 컵에 욕정적인 응유를 휘젓게 하라
계집들은 늘 입던 옷 그대로 입고
빈둥거리게 하라 그리고 남자애들은
달지난 신문에 꽃을 싸서 가져오게 하라
실재로 하여금 최후의 모습이 되게 하라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유리 손잡이가 세 개나 떨어져 나간
전나무 경대에서 그녀가 한때
부채꼬리딱새를 수놓았던 그 시트를 꺼내라
그녀의 얼굴이 잘 덮이도록 펼쳐라
만약 굳어버린 발이 삐져나온다면, 그건
그녀가 얼마나 차가운지 얼마나 무감각한지 보이기 위한 거다
램프로 하여금 빛줄기를 첨부하게 하라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경청
       - 김정수(1963~ )

 
기사 이미지








누군가에 더러운 것

누군가에겐 일용할 양식

구르는 재주 없어도

굴리는 재주 있다고

DA 300

 


쇠똥구리 지나간 자리

길 하나

보인다


더러운 배설물이 쇠똥구리에게는 “일용할 양식”이다. 내게 없는 재주를 다른 사람이 갖고 있다. 세계는 이렇듯 배리(背理)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압이 새를 공중에 뜨게 하고, 무거운 물체가 물 위에서 더 큰 부력을 얻는다. 그러니 큰 배가 덜 흔들리는 것이다. 가로막는 산이 있으니 산을 넘는다. 끝장났다고 생각할 때 새 날이 가깝다. 반대 극을 가진 자석이 쇠를 끌어당긴다. (어려운 말이지만)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쳤다.”(바울). 배리의 담론을 경청할 때, “길 하나/ 보인다”.

<오민석·시인·단국대 영문학과 교수>


 


[출처: 중앙일보] [나를 흔들 시 한 줄] 최정례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63 시인들이여, - 은유를 잡아라... 2016-01-10 0 4780
962 <<시집을 좀 사주자 >>... 2016-01-10 0 4182
961 시인들이여, - 시창작 時 혼신을 다 하라... 2016-01-10 0 4809
960 공부하지 않는 시인들이 문제는 문제로다... 2016-01-10 0 4553
959 시인들이여, - 시작메모를 하라... 2016-01-10 0 4740
958 시인들이여,- 시 첫행에 승부를 걸어라... 2016-01-10 1 4532
957 시인들이여, - 세상의 바보들과 웃어라... 2016-01-10 0 5323
956 名詩 속의 "옥에 티" 2016-01-10 0 5890
955 현대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2016-01-10 0 7787
954 비대상시를 창조하라 2016-01-10 0 7710
953 詩쓰기에서 다양한 어법을 사용하라... 2016-01-10 0 6748
952 창조는 비유적 어법에서 시작된다... 2016-01-10 0 4929
951 시인들이여,- 시의 위기탈출구를 찾아라 2016-01-10 0 5753
950 詩쓰기 뒤집어 쓰기 2016-01-10 2 5937
949 詩에 옳바른 <<이름>> 붙혀주자... 2016-01-10 0 6095
948 詩에서 제목은 왕관 2016-01-10 0 4839
947 詩쓰기에서 2중구조를 잘 틀어쥐라... 2016-01-10 0 4645
946 왕초보시습작자들은 기본에 충실하라... 2016-01-10 0 5339
945 詩란 모방에서 출발?!...!?... 2016-01-10 0 3987
944 詩는 재창조의 산물 2016-01-10 0 3831
943 詩를 쉽게 쓰려면 상상력 키우라... 2016-01-10 0 5058
942 철학서, 력사서 한권을 압축해 시 한편을 쓰라... 2016-01-10 0 5070
941 詩쓰기에서 어려운 시어는 금물 2016-01-10 0 5713
940 詩를 찾아서... 2016-01-10 0 4992
939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01-10 0 5171
938 詩에서 낚시질 하기... 2016-01-10 0 5578
937 "충격"을 주는 詩를 쓰라... 2016-01-10 0 4507
936 좋은 詩를 쓰고 詩에서 떠나라 2016-01-10 0 6766
935 뻐속에서 쓰는 詩 2016-01-10 0 6543
934 詩작법 질질질... 2016-01-10 0 3972
933 詩작법 마마마... 2016-01-10 0 4577
932 詩작법 추추추... 2016-01-10 0 4809
931 詩작법 쌔애앵... 2016-01-10 0 4770
930 詩작법 팔씹일... 2016-01-09 0 5554
929 詩작법 찰싸닥... 2016-01-09 0 4091
928 詩작법 통통통... 2016-01-09 0 4251
927 詩작법 후ㅜㅠ... 2016-01-09 0 4622
926 詩작법 지라리... 2016-01-09 0 4246
925 詩작법 촐라당... 2016-01-09 0 5558
924 詩작법 걀걀걀... 2016-01-09 0 4519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