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이승훈 시론 4
2015년 05월 20일 23시 40분  조회:4735  추천:0  작성자: 죽림

4. 원형적 상징

 

인습적 상징이 시대적 사회적 제약을 받고 그 의미가 사회적 인습에 의존 한다면 
이와는 달리 이런 시대적 사회적 제약을 초월하고 상징(이미지)과 관념의 관계가 보편성을 띠는 것이 있다. 이른바 보편적 상징 혹은 원형적 상징 원형 archetype 은 으뜸가는 이미지, 원초적 이미지라는 뜻으로 시인들, 화가들이 
수많은 이미지들을 생산 하지만 결국은 몇 가지 원형으로 환원 된다는 점에서 
모든 이미지들의 바탕 이라고 부를 수 있다. 융에 의하면 이런 이미지는 
사회와 역사를 초월하는 인간의 보편적 무의식이 생산하고 그런 점에서 
집단 무의식의 산물이다. 프로이트에 의하면 이미지(상징)는 개인 무의식 
그것도 성적 욕망이 생산 하지만 그의 제자인 융에 의하면 집단 무의식이 생산하고 이런 보편적 상징은 옛날부터 현재까지 인류에게 무의식적으로 계승되는 
이미지이다. 그것은 인간이기 때문에 소유하는 인간적 꿈, 소망, 원망을 암시한다. 이런 소망은 지금도 계속된다. 예컨대 이 세계는 물, 불, 바람, 흙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거나 자연은 계절적으로 순환하기 때문에 인간도 다시 태어난다는 
재생 원형 등이 있고, 재생 원형은 결국 우리 인간들이 옛날이나 지금이나 
죽고 싶지 않다는 것, 이른바 불사不死,영원에의 꿈을 상징한다. 그런가 하면 
지상의 삶을 초월해서 하늘, 천상의 세계에 닿고 싶은 소망도 있고, 
이런 소망은 흔히 계단, 산, 나무, 탑의 이미지로 구현된다. 예컨대 이런 꿈은


꿈을 아느냐 네게 물으면 
플라 타너스 
너의 머리는 어느덧 파아란 하늘에 젖어있다.

너는 사모할 줄 모르나 
플라 타너스 
너는 네게 있는 것으로 그늘을 늘인다. 
ㅡ김 현승,[플라 타너스]


같은 시에서 읽을 수 있다. 이 시의 중심적 이미지는 ‘플라 타너스’ 이고 
여기서 이 나무는 단순히 가로수를 의미 하는 게 아니라 ‘너의 머리는 어느덧 
파아란 하늘에 젖어있다’는 시행이 암시하듯이 하늘과 닿은 나무, 이른바 초월을 상징하고, 이런 초월은 지상으로부터 벗어나 신의 세계에 닿고싶은 인간의 꿈을 
암시한다. 그러므로 시의 후반에는 ‘나는 너와 함께 신이 아니다’는 시행이 
나오고, 이런 시행을 전제로 할때 인간의 꿈이 나무의 꿈이고 이꿈은 
신의 세계에 닿고 싶은 인간의 보편적 소망을 의미한다. 한편 인간 에게는 탄생, 
창조, 재생에의 꿈이 있고, 이런 꿈은 계절적으로는 봄, 하루의 수준에서는 
새벽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그해 겨울이 지나고 여름이 시작되어도 
봄은 오지 않았다 복숭아나무는 
채 꽃 피기 전에 작은 열매를 맺고 
불임의 살구나무는 시들어 갔다 
소년들의 성기에는 까닭 없이 고름이 흐르고 
의사들은 아프리카 까지 이민을 떠났다 우리는 
ㅡ 이 성복,[1959년]


이 시의 경우‘봄’은 오지 않고, 그것도 여름이 되어도 오지않는다.
그렇다면 이런 봄은 자연으로서의 봄이면서 동시에 이런 의미를 초월하고 따라서 
관념으로서의 봄이고(‘지금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이상화)이런 봄이 암시하는 것은 새로운 삶, 신생, 창조, 계몽 등이다. 말하자면 죽음을 상징하는 
겨울’과 대비되는 삶이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그런 삶, 새로운 삶의 창조가 불가능 하다는 것을 노래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23 김혁 / 김룡운 2015-09-17 0 4389
722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09-17 0 4747
721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2015-09-17 0 4985
720 김철 / 장춘식 2015-09-17 0 5225
719 김창영 / 장춘식 2015-09-17 0 4748
718 리옥금 / 장춘식 2015-09-17 0 5199
717 고 송정환 / 장춘식 2015-09-17 0 4902
716 연변지역 시문학 뿌리 및 그 현황 2015-09-17 0 4835
715 한영남 / 장춘식 2015-09-17 0 4475
714 전춘매 / 장춘식 2015-09-17 0 4576
713 ...끝 2015-09-17 0 5895
712 ...이어서 2015-09-17 0 4788
711 ...계속 2015-09-17 0 5017
710 ...이어서 2015-09-17 0 4637
709 ...계속 2015-09-17 0 5053
708 일제 강점기 조선족 시문학 2015-09-17 0 4600
707 리육사의 <<로신추도문>> 2015-09-16 0 6142
706 당신도 디카시 시인 2015-09-12 0 4874
705 <사진> 시모음 2015-09-12 0 5110
704 디카시 모음 2015-09-12 0 4417
703 디카시란? 2015-09-10 0 5199
702 하이퍼시 - 역설의 시 2015-09-10 0 4503
701 하이퍼시 창작기법 2015-09-09 1 4862
700 하이퍼시의 목표 - 고정틀 벗어나기 2015-09-09 0 4738
699 하이퍼시 - 새롭게 디자인한 시 2015-09-09 0 4675
698 하이퍼시란? 2015-09-09 1 4405
697 글쓰기 0도 2015-09-09 0 4002
696 패러디(모방, 표절, 도작...)문학을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면 "문제"로다... 2015-09-07 0 4526
695 ...계속 2015-09-07 0 4242
694 남영전 / 최룡관 2015-09-07 0 4300
693 한춘시평 2015-09-07 0 4262
692 토템시에 한마디 2015-09-07 0 4611
691 토템시 - 민족문화브랜드 2015-09-07 0 5491
690 감자 캐는 즐거운 농부 - 남영전시인 2015-09-07 0 4212
689 ...계속 2015-09-07 0 6021
688 남영전 / 김관웅 2015-09-07 1 4635
687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015-09-07 0 4161
686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위상(자료) 2015-09-07 0 5179
685 중국 조선족시문학 정초자 - 리욱 2015-09-07 0 5050
684 시의 가치란? 2015-09-06 0 4983
‹처음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