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8월 2025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서로서로 혼돈하기 쉬운 명사
2015년 04월 20일 22시 15분  조회:5336  추천:0  작성자: 죽림
*해학 
비일상성, 상식의 파괴, 비합리성, 비정상성으로 단순한 웃음의 유발, 비공격적 
(예)여느 두부 장수들은 "두부 사려오!" 라고 하거나, 그렇잖으면, "두부나 비지 사아려!"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 특색 있는 한 두부 장수는 반드시, "두-부 사아 주오!"라고 외친다. 그래서 그 외침이 들리기만 하면 아이들이 "어머니! 사주오가 가요!" 하고 두부 사기를 묻는 것이 버릇이 되다시피 하였다.[최현배의 '사주오 두부 장수' 중에서] 
-두부 장수의 독특한 외침은 필자와 독자에게 가벼운 웃음을 짓게 하는 표현이다. 

*풍자 
부조리의 고발, 모순의 비판, 오류의 수정을 목적으로 적극적인 공격을 가함 
(예)소의 뿔은 벌써 소의 무기는 아니다. 소의 뿔은 오직 안경의 재료일 따름이다. 소는 사람에게 얻어맞기로 위주니까 소에게는 무기가 필요 없다. 소의 뿔은 오직 동물학자를 위한 표지(標識)이다. 야우(野牛) 시대에는 이것으로 적을 공격한 일도 있습니다. - 하는 폐병(廢兵)의 가슴에 훈장처럼 그 추억성이 애상적이다.[이상의 '권태' 중에서] 
-지나치게 순한 소의 표정에서 권태로움을 느끼고, 그 모습을 야유적(揶揄的)으로 나타낸 표현이다. 

*반어 
의미의 대립, 공격적, 힐난적임 
(예)네가 만일 학이라면 너도 응당 이 곡조를 취하고 화하여 너의 가슴 속에 가득 답답한 설움과 한을 잠시라도 잊고 춤이라도 한 번 덩실 추는 것을 보련마는 - 아아, 차라리 너마저 죽어 없어지면 네 얼마나 행복하며 네 얼마나 구제되랴.[오상순의 '짝 잃은 거위를 곡(哭)하노라' 중에서] 
-실제로 죽어 없어지기를 바라는 게 아니라, 오히려 짝 읽고 구슬프게 우는 거위에 대한 연민과 동정의 마음을 나타낸 표현이다. 

*역설 
의미의 모순을 통한 진리성 강조, 어법의 파괴, 비공격적임 
(예)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물건으로 인해 마음을 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한 번쯤 생각해 볼 말씀이다.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는 것은 무소유(無所有)의 역리(逆理)이니까.[법정의 '무소유' 중에서] 
-물질에의 집착에서 벗어날 때, 그리고 물질을 버리고 비울 때 진정한 삶의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교훈을 강조한 표현이다. 

*기지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서 재빨리 발휘되는 재치 
(예)낙화암에서 다시 아래로 내려가면, <중략> 의자왕의 놀이터가 있는데 여기서 다시 한 번 상류 쪽을 돌아다보면 너무도 아름다움 경치에 새삼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어떤 이가 여기서 "산수여차호(山水如此好) 하죄의자왕(何罪義慈王)"이란 시 구절을 외쳤다던가? "산수가 이리 좋거니 의자왕이 무슨 죄랴. 내가 의자왕이 되었더라도 이렇게 좋은 산수 속에서 그렇게 놀기가 쉬었을 게야!" 하는 뜻이다.[이은상의 '오월의 낙화암' 중에서] 
-낙화암 부근의 경치가 매우 아름답다는 뜻으로 고사를 인용해 재치 있게 나타낸 표현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57 영화 "동주"에서 나오는 노래 2016-02-27 0 5993
356 영화 <<귀향>> 보다... 2016-02-26 0 7464
355 "동주"에서 나오는 두 녀자의 대사와 동주의 시 2016-02-23 0 7356
354 "동주" 에서 삭제된 영상 보고싶다... 2016-02-23 0 5394
353 윤동주와 그를 빛내게 해준 <<흰 그림자>>들 2016-02-23 0 6364
352 두번 다시 본 영화 "동주" 2016-02-23 0 5526
351 <<368>>,ㅡ 그는 누구인가... 2016-02-21 0 5292
350 큰 어른이 그립다... 2016-02-21 0 5097
349 어제, 영화 "동주" 보다... 2016-02-21 0 4948
348 말은 사라지지만 글자는 영원히 남는다... 2016-02-20 0 4730
347 <<475>>는 바닷물 주사로 생체실험 당하다... 2016-02-19 0 6113
346 기억해야 할 죽음을 위하여 2016-02-19 0 6361
345 바로 지금, 동주를 기억해야 하는 까닭은... 2016-02-19 0 5042
344 역시 잊지 말아야 할 청년문사 - 송몽규 2016-02-19 0 6278
343 윤동주 친구들... 2016-02-19 0 4975
342 영화 <동주>를 보면서 가슴을 정화하기 2016-02-19 0 5109
341 <동주>, 청춘은 언제나 아파왔다... 2016-02-19 0 6664
340 흑백 저비용 영화 <동주> 는 상업성 영화가 아니다... 2016-02-19 0 5898
339 <동주>를 찍기 위해, 동주 묘소 다녀오다... 2016-02-19 0 7272
338 동주에 다 담지 못한 장면;우리가 맞고 있는 주사가 뭡니까... 2016-02-18 0 5590
337 <동주>가 개봉 되다... 2016-02-18 0 5166
336 2월 16일, 오늘, 윤동주 옥사 70번째 기일... 2016-02-16 0 5375
335 빛나던 미완성의 청춘 우리가 기억해야 할 별... 2016-02-16 0 8243
334 땡- <<우표학교>> - 윤동주 우표에 오르다 2016-02-16 0 7083
333 요즘 청춘들이 아무리 아프다 한들, 윤동주만 하겠나... 2016-02-16 0 5475
332 별을 노래한 영원한 청년 시인 윤동주 2016-02-16 0 6565
331 신화가 된 윤동주 2016-02-16 0 5347
330 땡땡!!- 국어시간; - 아이고 머리가 아찔... 2016-02-16 0 4961
329 땡!- 생활상식 93 2016-02-16 0 5398
328 진정한 친구가 그립다... 2016-02-15 0 5719
327 "등대'같은 친구 그립다... 2016-02-14 0 5207
326 땡~ 미술시간 - 색이미지 2016-02-14 0 6360
325 땡! 땡! 땡!- 축구는 서민 스포츠, 축구를 돌려 달라... 2016-02-12 0 5262
324 땡! 땡!- 생일축하의 노래의 어제와 오늘... 2016-02-11 0 5282
323 땡!- 1억파운드짜리 "피의 다이아몬드" 돌려달라!!! 2016-02-11 0 5340
322 영화로 배우는 윤동주 시인 2016-02-10 0 6183
321 영화 '동주'에 시 13편 흐르다... 2016-02-10 0 5240
320 영화 '동주' 이어, 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 예막... 2016-02-10 0 5885
319 영화 '동주'를 기다리며 2016-02-08 0 6732
318 전라도 사투리모음 2016-02-07 1 7990
‹처음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