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심정호
2015년 03월 13일 21시 58분  조회:5360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미지보기
 
 
이미지보기
출간모임은 연변작가협회 연변시인협회에서 주최하고 룡정시 
개산툰진 정부에서 협찬했습니다.
 
이미지보기
심정호 시인 (왼쪽> 개산툰진 정부에 작품집을 증정
 

심정호시집 <흙 묻은 이름 >출간모임이 오늘 연길에서  있었습니다. 
 
심정호 시인은 1963년 <산골에 전기 오니>를 <연변일보>에 발표하면서 등단했습니다. 그후 시인은 수십년간 농업로동에 종사하는 한편 개산툰진 통신협회 회장, 룡정시 보도중심 주임. 여러 신문 특약기자로 활약하면서 문학창작을 견지했습니니다. 2006년 시인은 연길로  이주해오면서 고향사람, 고향산천 의미를 되새길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며 이를 문학작품에  반영했습니다. 심정호시인은 어곡전을 비롯해 개산툰의 력사를 알리는데도 일정한 기여를 했습니다. 시집 <흙묻은 이름>은 <고향집>,<어곡전>,<핸들을 잡고 시를 쓰노라>,<하늘아>,<고사리>,<조각달>등 6개 부분으로 나눠 시 100여수를 수록했습니다. 그중 2천년에 들어서서 창작한 시가 반수이상을 차지합니다. 시집 <흙묻은 이름>은 2011년 출판된 지방지 <두만강은 흐른다>에 이어 심정호시인이 펴낸 두번째 작품집입니다.  

연변 문단의 부분적 작가, 시인들과 개산툰진 당위, 정부 책임자 그리고 심정호시인의 고향친구들이 출간모임에 참가했습니다.  

사진/글: 연변인터넷방송 리은파기자  

 

심정호시인 《두만강은 흐른다》 출간

 

 

2011년 03월 21일 11:04

 

심정호시인이 4년 남짓한 시간을 들여 수집, 정리한 개산툰의 력사자료들로 묶어진 《두만강은 흐른다》가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간되였다.

개산툰에서 나서 자란 심정호시인은 한손에 호미를 쥐고 한손에 붓대를 잡아온 향토시인, 농사일의 여가를 타서 문학작품창작에 전념해왔다. 

저자는 독자들로 하여금 개산툰이란 이 고장을 깊이있게 료해하도록 하고싶었고 그 와중에 애국주의교양면에서도 한권의 유용한 향토교재로 될수 있는 책을 펴내고싶었는바 그래서 묶어낸 책이 《두만강은 흐른다》이다.

원 연변일보사 오태호총편집은 서문에서 “혁명전통교양의 교재로서, 향토교양의 교재로서, 더 나아가 애국주의교양의 교재로서 모자람이 없는 책인바 지난날의 력사를 공부하고 오늘의 현실을 직시하며 미래에 대한 비전을 키우는데 밑거름으로 될수 있다”고 평가하고있다.

27만자에 달하는 이 책은 지역명칭의 유래로부터 시작하여 반일투쟁, 민족교육, 해방후의 개황, 어곡전 등 총 7장으로 구성되여있다. 그리고 개산툰에 깃든 전설들도 부분적으로 수록되여 읽는 재미를 더해주고있다.

 연변일보 (편집: 김성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3 인생은 비극이라 생각할 때 비로서 살기 시작하는것... 2016-11-06 0 5022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4207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5011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4369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5157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4448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4403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3767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806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4552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841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4653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4600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942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4372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4849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4808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4755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5319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4883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6844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5539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4226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4844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4566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4883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5500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6283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4208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5494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4459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4042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4693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4191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4291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975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4117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4067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4521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4789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