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 문학닷컴웹진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심예란
2015년 03월 08일 23시 47분  조회:4979  추천:0  작성자: 죽림
 
심예란 제2회 연변심련수문학상 수상
 

 
심예란시인이 시집 “십자거리에 물처럼 고인 차량들”로 제2회 연변심련수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심예란시인은 연변재정학원 경제관리학부 졸업. 1984년 “연변문예”에 수필 “아버지”를 발표하면서 데뷔하였다.
 
“두만강여울소리” 시우수상, 제12회 연변지용문학상, “두만강여울소리” 시인상, 진달래문예상 등 굵직한 상을 수상, 현재 연변당위 재정부처장, 연변시인협회 비서장직을 겸하고 있다.
 
한편 8월 8일, 제5회 심련수문학상 및 제2회 연변심련수문학상 시상식이 한국 강릉문화예술관에서 개최되였고11일에는 한민족사랑문화인협회와 남서대대구시인학교의 “조선족시인과의 만남”도 이어 개최되였다.
 
김혁 기자
 
연변일보 종합신문” 2011 9 5

 
 NAME : 허동식  
 
 


      심예란시인의 지용문학 수상시집 < 아침은 호주머니에서 새 길 꺼낸다>를 재미있게 읽었다.
 
시인의 여러가지 사명과 시인에 의해 창출되는 詩作의 여러가지 공능중에 美창조와 美感은시에 유관된 화제에서의 아주 중요한 요인인줄로 알고있다. 말하자면 시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미창조와 미감표현을 떠나서는 시를 담론할수가 없다. 
      
      언어와 마찬가지로 시어도 구속된 시공에서는 습관적이고 靜적인것이지만 보다 넓은 시공의 층차에서는 변화적인것이고 動적인것이다. 그 변화적이고 동적인 직접적인 근원은 사회의 변천과 시인의 주관적인 노력이며 그 결과는 시미의 형식적인 변화이다.

       심예란 시인의 경우, <어휘의 불협화>, 어순의 불균형화 , 이미지의 렵기화 등으로 표현되는 시작들은 어느 정도의 시어의 반역으로 보인다. 시어의 관습과 <전통>적인 시 습작법을 벗어나 새로운 詩美를 시도한다.
 
언어의 변화가 사회변천의 사물이라 한다면 시어의 반역화는 겉으로 보기에는 단순한 언어의 이질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개인행위인듯도 하겠지만 근본적으로 사회변화의 양상과 인간이 사회변화에 대한 사회갈망이 내포되여 있을지도 모른다.
심예란 시인의 경우, 그 시작들에 표현되는 시어의 반역에는 우리 시단의 침체상을 보이는 시습작법에 대한 부정과 새로운 갈망이 깃들어 있다.

      형식에 대한 부정은 내용에 대한 부정을 초래할수도 있다.
심예란 시인의 시어의 반역이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와  정신세계에 대한 반성의 시작이기를 기도해보기도 싶다.
  
출처:조글로문학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43 시인 - 朴龍喆 2015-04-20 0 4852
442 시적 마술(변용) - 알베르 베갱 2015-04-20 0 4480
441 대상의 고유한 특성 잡기와 시적 변용 2015-04-20 0 4279
440 시적 변용과 형상화 2015-04-20 0 3909
439 철학적 사유의 시적 변용 2015-04-20 0 4185
438 박용철 시론을 중심으로 2015-04-20 0 4415
437 詩야 나와 놀아보자... 2015-04-19 0 4497
436 이규보 시론 2015-04-19 0 5093
435 시로 쓴 시론 및 시어의 특성 2015-04-19 1 4362
434 詩로 쓴 詩論 2015-04-19 0 4657
433 현대시의 공감의 문제 2015-04-19 0 4491
432 창조적 시론을 위하여 2015-04-19 0 4368
431 김춘수 / 이승하 2015-04-19 0 4944
430 녀성해방출사표 시인 - 高靜熙 2015-04-19 0 4644
429 민중시인, 옥중시인 - 김남주 2015-04-19 0 4748
428 <길> 시모음 2015-04-19 0 4531
427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아이스킬로스 2015-04-19 0 5113
426 고대 그리스 3대 비극시인 2015-04-19 0 5155
425 고대 그리스 비극시인 - 에우리피데스 2015-04-19 0 5252
424 <바보> 시모음 2015-04-19 0 4446
423 <한글> 시모음 2015-04-19 0 4641
422 <소> 시모음 2015-04-19 1 4447
421 꾸바 시인, 혁명가 - 체 게바라 2015-04-19 0 3908
420 <아내> 시모음 2015-04-19 1 4644
419 <자본주의> 시모음 2015-04-19 0 4580
418 <꽃씨> 시모음 2015-04-19 0 3948
417 皮千得 시모음 2015-04-19 0 4661
416 <이름> 시모음 2015-04-19 0 4565
415 청록파시인 -박목월 2015-04-17 0 4658
414 청록파 시인들 시세계 2015-04-17 0 4341
413 청록파시인 - 박두진 2015-04-17 0 4575
412 청록파시인 - 조지훈 2015-04-17 0 4625
411 참여시인 - 김수영 2015-04-17 0 4316
410 저항시인 - 심훈 2015-04-17 0 4653
409 심훈 시모음 2015-04-17 2 5772
408 <등산> 시모음 2015-04-17 0 6361
407 <동그라미> 시모음 2015-04-17 0 4349
406 <자연> 시모음 2015-04-17 0 4381
405 <하루살이> 시모음 2015-04-17 0 4142
404 <흙> 시모음 2015-04-17 0 4186
‹처음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