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문단소식]- 중국조선족 두분 문인 駿馬를 타고 질풍하고...
2024년 09월 09일 04시 12분  조회:1851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영건, 정봉숙
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준마상 수상
조글로미디어(ZOGLO) 2024년8월1일 

 

7월 31일, 제13회 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준마상 평의심사위원회는 투표표결로 25부의 수상작품과 5명의 번역상을 산생시켰다. 연변작가협회에서 추천한 김영건의 시집 《류신동 산새는 겨울산에서 운다》와 정봉숙의 번역작품 《위씨네 사당(魏氏祠堂)》이 수상의 영예를 지녔다. 

제13회 준마상 응모작품은 소수민족작가들이 국가통용언어문자 혹은 소수민족문자로 2020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 사이에 중국대륙지구에서 출판발행한 작품으로 평의선발 표준의 요구에 부합되는 작품들이다. 이번 평의선발에는 장편소설 119부, 중단편소설 65부, 시가 96부, 보고문학 36부, 산문 65부, 번역 11부 도합 392부의 작품이 추천되여 참가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준마상(간칭 준마상)은 1981년에 창립되였는데 중국작가협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가 공동으로 주최하여 매 4년에 한차례씩 평의선발하는 소수민족문학의 국가급 문학상으로 모순문학상, 로신문학상, 전국우수아동문학상과 나란히 중국작가협회의 4대 전국성 문학상에 속하는 문학상이다. 

제13회 준마상 수상작품 공모는 2024년 3월 1일에 가동하여 4월 30일에 마감하였으며 초심을 거쳐 381부의 작품과 11명의 번역자 명단을 5월 17일부터 6월 1일까지 《문예보》와 중국작가넷에 공시하였었다. 

/길림신문 김태국 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03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 고향에서 품다... 2017-01-27 0 3762
2002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4) 2017-01-25 0 4407
2001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3) 2017-01-25 0 5062
2000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2) 2017-01-25 0 4414
1999 저항시인, 아동문학가 윤동주 재조명되다... 2017-01-25 0 3924
1998 [자료] - 윤동주 유고시집 보존했던 정병욱 가옥 2017-01-25 0 4947
1997 [자료] - 윤동주 하숙집 옛터 2017-01-24 0 3876
1996 [쟁명] - 윤동주 리해조명돕기 2017-01-24 0 6019
1995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2)... 2017-01-24 0 4919
1994 [쟁명] - 서로서로 교류의 장을 열자... 2017-01-24 0 5436
1993 [쟁명] - 불멸의 영원 - "윤동주 현상"... 2017-01-24 0 3758
1992 [쟁명] - 윤동주 한민족 시인... 2017-01-24 0 4237
1991 [쟁명] - 윤동주 조선족 是是非非... 2017-01-24 0 3498
1990 [쟁명] - 윤동주의 조선족 시인설... 2017-01-24 0 3737
1989 정지용과 윤동주 2017-01-22 0 4193
198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계기로 "동주"를 재다시 바로알기 2017-01-22 0 3924
1987 현대시의 아버지, 민족과 우리 말 수호자 - 정지용시인 2017-01-22 0 5159
1986 "윤동주 연구가" ㅡ 오무라 마스오 日本人 학자 2017-01-22 0 3972
1985 윤동주 탄생 100주년에 붙여... 2017-01-22 0 4520
1984 암울한 시대에 묵묵히 위대한 문학을 이루어낸 시인 윤동주 2017-01-22 0 4395
1983 그 언제나 늙지 않는 그 이름 "동주" 2017-01-22 0 3862
1982 "윤동주시인은 결코 죽지 않았다..." 2017-01-22 0 4269
1981 영원한 청년 - 윤동주시인 2017-01-21 0 3808
1980 2017년, 윤동주 탄생 100주년!... 2017-01-09 0 4126
1979 불러도 대답없을, 헛되나마 다시 부르고싶은 동주! 몽규!... 2017-01-09 0 4813
1978 윤동주 시집 제목을 워낙 "병원"이라 붙일가 했단다... 2017-01-09 0 6278
1977 "서정시 동서고금 속마음 모두 하나" 2017-01-08 0 4446
1976 시인은 시대와 력사의 고통을 노래해야... 2017-01-06 0 4160
1975 대가, 천재, 명인, 그리고 病이 명작 만들다... 2017-01-06 0 4371
1974 리투아니아 음유시인 - 마이로니스 2017-01-02 0 4450
1973 칠레 시인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2017-01-02 0 4653
1972 이탈리아 시인 - 단눈치오 2017-01-02 0 6626
1971 영국 시인 - 에디스 싯웰, o. 싯웰, s. 싯웰 2017-01-01 0 5955
1970 "반디불" 저자 조룡남 원로시인 "반디불나라"로 가다... 2016-12-27 0 4208
1969 독일 시인 - 베르톨트 브레히트 2016-12-27 0 5845
1968 몽골 시인 - 째.바트바타르 2016-12-26 0 4266
1967 대통령, 총통, 그리고 시인 2016-12-26 0 4913
1966 뿌리는 중국, 줄기는 대만, 가지와 잎은 미국 2016-12-25 1 5557
1965 "중국의 솔제니친" - 北島 시인 2016-12-25 0 4349
1964 중국 가장 전위적인 예술가 - 최건(음유시인) 2016-12-25 0 4936
‹처음  이전 3 4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