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중국조선족시인 홍영빈 篇
2024년 08월 29일 02시 58분  조회:571  추천:0  작성자: 죽림
 홍영빈과 시집 “바람 가는 길”/장학규


1939년 흑룡강성 통하현에서 태여난 홍영빈은 병약한 신체와 가난한 살림때문에 소학교도 졸업하지 못했지만 굳은 의지와 이악스런 노력으로 1973년에 처녀작 “봄은 어디에”로 등단, 현재까지 시집 2권과 300여 수의 시를 발표했다. 
“바람 가는 길”은 1장 “나를 찾아서”, 2장 “세상과 세월”, 3장 “바람과 나무와 별과 시”, 4장 “생명예찬” 등 총 4장으로 나뉘여졌다.
홍영빈의 시는 시골집 무쇠솥에 우려낸 구수한 숭늉같다고 하는 편이 어울릴것 같다. 현란한 언어가 없지만 가슴을 따스하게 하는 솔직한 표현과 알송달송한 몽롱미가 없어도 마음까지 편한 시어의 선택은 홍영빈만의 창작풍격이다. 
막차 //밤 아홉시 정각 /나는 집에 가려고 막차에 올랐다/ 네온등 꽃 수놓아 협곡을 달리는/ 막차에 앉아서 해보는 자문 / 이제 훗날 그 어느 역에서/ 마음 놓고 안식처에 내려야 할 / 막차를 탈 승차권은 / 마련 되었는지?
시에서의 막차는 마지막 뻐스가 아닌 시인이 살아온 전반 인생에 대한 회고의 시간인것 같다. “막차”를 보면  시인 자신이 보인다. 
자맥질 // 물속 자맥질로 먹이 사냥하는 물새가 / 물의 깊이를 다는 모르고 살 듯 / 하늘을 자맥질하며 노니는 날새도 / 하늘의 높이를 다는 알지 못하지만 / 새들은 저마다 즐거운 삶을 사는거다 /…
주어진것에 만족하고 주어진것을 누리는 삶이 평온하고 아름다운 삶이라고 말하고 있다.
홍영빈 시인도 스스로를 날개를 펼줄 아는 한마리의 새라고 했다. 좋아하는것을 마음껏 할수 있는 자유를 가진 스스로가 날개를 펼줄 아는 새라는것은 홍시인의 만족스러운 삶을 말하는것이 아니겠는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3 인생은 비극이라 생각할 때 비로서 살기 시작하는것... 2016-11-06 0 4900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4154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4872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4308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5096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4349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4306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3667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741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4444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797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4546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4530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895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4320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4683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4673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4622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5168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4775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6671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5417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4109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4692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4451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4763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5415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6148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4103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5428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4376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3946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4541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4150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4236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841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3975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3975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4365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4700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