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일제가 일으킨 전쟁의 와중에 한반도에서 중국 만주 지역으로 강제 이주한 조선인 약 600명을 인터뷰한 내용을 담은 기록집이 일본에서 출간됐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이주 2세대인 이광평(74) 씨가 최근 이주 조선인들의 애환을 담은 기록집 '만주로 건너간 조선족들-사진으로 더듬는 기억과 흔적'(世織書房)을 펴냈다.
도쿄신문은 25일 자 지면에 이 책을 소개하면서 당시 고향에서 쫓겨났던 조선인들이 겪은 고난의 배경에는 한반도를 식민지 지배한 일본의 집단 이주정책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 씨가 만주의 조선족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중국 지린(吉林)성 룽징(龍井)시 문화관장으로 일할 때인 1999년 약 1천명이 이주해 온 것으로 알려진 한 마을에서 충격적인 증언을 들은 것이 계기가 됐다.
"경작할 수 있는 좋은 땅이 있다는 말을 믿고 왔는데 아무것도 없는 황무지였다."
"속았다. 조선에 다시 돌아가고 싶었지만 돌아갈 수 없었다."
90세가 넘는 노인들로부터 그런 얘기를 들은 이 씨는 자신의 할아버지와 부모를 생각했다고 한다.
그의 할아버지와 양친도 함경북도에서 농사를 짓다가 1939년 일본군 창고가 마을에 들어서면서 땅을 빼앗기고 북쪽으로 300㎞가량 떨어진 룽징으로 이주했던 것.
당시 조선인 만주 이주정책은 조선총독부와 일본 간토군(關東軍)이 주도했다.
이 정책으로 태평양전쟁이 끝날 때인 1945년 시점에 만주 지역에 살게 된 조선인은 200만명을 넘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현지 중국인들 사이에선 '일본인 앞잡이' 취급을 당하는 등 복잡한 처지로 인해 관심을 제대로 못 받았고, 그 결과로 변변한 기록조차 남아 있지 않았다.
그런 상황에 이 씨는 뭔가 해야겠다고 마음먹었다고 한다.
이 씨는 "조선족은 중국의 56개 소수민족의 하나로, 유일한 이주민족"이라며 "우리 역사는 우리가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그런 사명감을 갖게 된 이 씨는 조기퇴직을 선택한 뒤 자비로 오토바이와 자동차를 장만해 조선족의 흔적이 있는 95개 마을을 돌기 시작했다.
10년여에 걸친 여정을 통해 일본군의 강제징병 등을 경험한 사람들을 만나 거듭 얘기를 들었다.
그는 얼음과 눈 덮인 황무지에서 거적 생활을 하며 땅을 일구느라 고생했던 일화나 영양실조와 전염병으로 온 가족이 죽었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는 증언자와 함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이주 초기에 흙으로 쌓는 성채 공사에 동원됐다가 허리를 다쳐 만년에 하반신을 못 쓰게 된 노인, 일본군이 주민을 살해한 토치카(진지) 흔적, 조선에서 가져온 절구나 도기 같은 생활용품들….
이 씨는 태평양전쟁이 끝나고도 고향에 돌아가지 못했던 조선족들의 삶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이런 광경들을 있는 그대로 카메라 앵글에 담았다.
위안부 출신 여성을 찾아갔을 때는 경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 씨는 수차례의 방문을 통해 "두 번 다시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자"고 간곡히 설득한 끝에 '일본 병사를 매일 상대하다가 병에 걸려 위안소에서 쫓겨났다'는 증언을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기록집 편집 작업에 참여한 김부자 도쿄외국어대대학원 교수는 도쿄신문에 "만주에서 활약한 일본인 개척단 얘기는 잘 알려졌지만, 그곳에 일본인보다 더 많은 조선 이주민이 있었다는 사실은 거의 전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식민지주의 유산을 파악하는 데 이 씨의 연구 자료는 매우 귀중하다"며 "이 책을 통해 지배한 쪽인 일본 국민이 배우는 바도 클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씨는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고 싶었다고 출간 동기를 밝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