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갑
http://www.zoglo.net/blog/zhengrenjia 블로그홈 | 로그인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나의카테고리 : 칼럼/단상/수필

‘지리산(智異山)’
2011년 05월 14일 08시 57분  조회:6383  추천:62  작성자: 정인갑
‘지리산(智異山)’


정인갑



한국의 지명 ‘智異山’을 한자어 발음대로 읽으면 ‘지이산’이어야 맞는데 왜 ‘지리산’으로 읽는가? 지금까지 정확하게 해석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문제의 정답을 얻으려면 부득불 중국어와 한국어의 언어발달사에 착안하여야 한다.

우리말의 ‘가을(秋)’ ‘마을(里)’ ‘구이(가축에게 여물을 먹이는 그릇)’ 등을 함경도 방언에서 ‘가슬’ ‘마슬’ ‘구시’라고 한다. 중세 우리말에 원래 ‘을’과 ‘이’에 초성 ‘ᅀ[z]’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ᅀ’이 후세에 탈락되었는데 함경도 방언에서는 탈락되지 않고 그와 비슷한 발음 ‘ㅅ[s]’로 변하여 남아 있다. 이것이 ‘가슬’ ‘마슬’ ‘구시’의 내원이다.

한국어는 이런 고증이 훈민정음이 제작된 1445년 이후에 언문으로 쓰인 문헌에서는 가능하지만 언문 이전의 것은 매우 어렵다. 그러나 중국어는 80%이상을 차지하는 형성자(形聲字)를 통하여 이런 고증을 쉽게 할 수 있다. 형성자는 글자의 반쪽은 형, 즉 뜻을 나타내고 다른 반쪽은 성, 즉 음을 나타내는 글자를 말한다. 이를테면 형성자 ‘물을 문(問)’에서 ‘門’은 이 글자의 음을 표시하고 ‘口’는 뜻을 표시한다(입으로 묻다). 이는 중국 어학자들이 많은 한자의 고대 음을 고증해내는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형성자 한자 중 음을 표시하는 성에 초성‘ㄷ’또는 ‘ㅌ’가 있는데 이 ‘ㄷ’ 또는 ‘ㅌ’를 아래에 든 예와 같이 어떤 자는 읽고 어떤 자는 읽지 않음을 발견하게 된다:

易(yi이)/碭(tang탕), 弋(yi익)/代(dai대), 也(ye야)/地(di지⇤디),

兪(yu유)/偸tou투), 異(yi이)/戴(dai대), 翟(di적⇤뎍)/耀(yao요)

당연‘易’ ‘弋’ ‘也’ ‘兪’ ‘異’ ‘耀’등자의 초성에 원래 ‘ㄷ’ 또는 ‘ㅌ’가 있다가 후세에 탈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부류의 글자를 중국어 음운학에서는 ‘이성모자(以聲母字)’라고 부른다. 필자가 우리말의 ‘되놈’을 한자 ‘夷戎’과 연계시키는 원인도 ‘夷’가 ‘이성모자’이기 때문이다. 왜 탈락되었는가는 그 설명이 복잡하므로 본문에서 할애한다. 상기의 예 중 異(yi이)/戴(dai대)가 바로 본문에서 말하려는 왜 ‘지이산’을 ‘지리산’이라고 하는가의 예에 쓰려는 글자이다.

혀끝이 앞 입천정에 튕기는 음 ‘ㄷ’와 ‘ㅌ’는 연화(軟化)되어 쉽게 다른 음으로 변한다. 지금은 ‘ㅈ’나 ‘ㅊ로 변한다. 예를 들면 맏이⇥마디⇥마지, 미닫이⇥미다디⇥미다지, 같이⇥가티⇥가치, 뎡거댱(停車場)⇥정거장 등이다. 그러나 옛날에는 ‘ㄹ’로 변하였다. 예를 들면 도댱(道場)⇥도량, 차뎨(次第)⇥차례, 모단(牡丹)⇥모란 등이다. 또한 고대 중국어의 ‘ㄷ’받침이 몽땅 한국어의 ‘ㄹ’받침으로 됐다. 예를 들면 達(닫⇥달), 發(받⇥발), 葛(갇⇥갈), 末(맏⇥말) 등이다. 이렇게 볼 때 ‘지디산’이 ‘지리산’으로 발음되는 것은 규율에 부합되는 변화이다.

만약 그 어느 외국인이 왜 ‘智異山’을 ‘지이산’이라 하지 않고 ‘지리산’이라 하는가라고 물으면, “이름은 주인을 따른다는 원칙이 있다. 한국인이 ‘지리산’이라고 하니 잔말 말고 그렇게 불러라” 하면 되지만 좀 알만한 사람한데는 필자의 이 문장으로 해석해주기 바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전체 [ 5 ]

Total : 139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9 '동이', '둥궤' 2006-06-28 69 7339
38 '찰떡 벽'에 대한 단상 2006-06-28 78 6590
37 령수증 趣談 2006-06-28 91 6150
36 중국인과 한국인의 청탁문화의 차이 2006-04-07 80 6606
35 중국인과 한국인의 보복문화의 차이 2006-04-07 97 6526
34 '총각' 2006-03-20 102 7567
33 '網言可畏' 2006-03-20 87 6415
32 天賦, 취미 및 三術 2006-03-20 83 6010
31 '개띠' 2006-01-13 88 5973
30 神刀 2006-01-11 57 5562
29 '本我' '自我' '超我' 2006-01-10 67 6611
28 심상치 않은 '손님' 화제 2005-12-14 86 11270
27 중국산은 맛이 없다? 2005-12-03 84 7051
26 '명함' 2005-12-03 72 6695
25 '儒敎' 析 2005-12-03 72 6450
24 中韓間의 고유명사 논란 2005-11-17 48 7401
23 한자와 우리민족 2005-09-07 82 7262
22 우리민족의 개고기 음식문화 2005-09-07 66 6892
21 북경진출 조선족 학부모에게 충고한다 2005-09-07 74 6359
20 조선어출판물에 한자를 섞어 써야 하는 리유 2005-07-07 74 639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