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netizin-1 블로그홈 | 로그인
netizin-1
<< 11월 2024 >>
     12
3456789
10111213141516
17181920212223
242526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포럼

나의카테고리 : 칼럼

호호호虎虎虎 호호호好好好
2021년 12월 29일 11시 08분  조회:1003  추천:0  작성자: netizin-1
호호호虎虎虎 호호호好好好

정성수




2022년은 임인년壬寅年으로 육십 간지의 39번째 해이다. 임壬은 흑黑이므로 검은 호랑이 즉 흑호黑虎다. 온몸이 검은 호랑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7마리 정도 남았다고 한다. 호랑이를 한자漢字로 ‘虎狼호랑’이라고 쓰지만 우리 민족은 ‘호랑이’보다는 범이라고 부르기를 더 좋아했다. 요즘에는 범 대신 호랑이라고 부르는데 범이 호랑이에게 밀려난 셈이다.


호랑이의 어원에는 여러 설이 있다. 범을 뜻하는 虎(범 호)와 이리를 뜻하는 狼(이리 랑)에 접미사(이)가 붙어(虎+狼+이) 호랑이가 되었다고 한다. 호랑이는 발달된 근육과 균형 잡힌 신체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천천히 걷거나 느리게 움직이다가도 먹잇감을 공격할 때의 몸놀림은 말 그대로 전광석화電光石火다. 늠름한 기품과 빼어난 지혜가 있다고 해서 산중왕山中王 ․ 산령山靈 ․ 산군山君 ․ 산신령山神靈으로 추앙받는다.

호랑이는 우리 민족과 대단히 친숙한 동물로 건국신화에 등장하고 동화에도 나온다. 호랑이의 형상은 선사시대 청동기와 암각화 ․ 토우와 12지신 상 ․ 고려시대의 동경銅鏡과 석관石棺 ․ 조선시대 능묘 등에서볼 수 있다. 그 외에도 공예품이나 의식주 용품과 신앙의례 기물, 연희용 오락기구, 악기 등의 장식에서도 나타나며 그 밖에도 그림 ․ 조각 등 미술품에도 등장한다.

또한 호돌이라고 명명하여 1988년 제24회 서울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프로야구팀 기아타이거스 로고, 군부대 이름인 백호부대와 맹호부대를 상징한다. 현재에도 고려대학교 로고와 정예 특전 공수부대의 상징물로 쓰이고 있다.

호랑이의 생김새는 등 쪽은 암적황색이고 불규칙한 검은 무늬가 많다. 네 다리는 약간의 담색을 띈다. 눈과 뺨 밑은 흰색이며 검은 점이 있고 주둥이 끝은 암연피색暗軟皮色이다. 또한 머리 위와 복부, 뒷다리에는 뚜렷한 갈색 반점이 있다.

귀 뒤는 광택이 나는 흑색이고, 귀 끝 가까이에는 흰 점이 있다. 꼬리 기부基部는 등 쪽과 같은 색이며, 끝과 뒷면은 연피색軟皮色 또는 대회백색帶灰白色으로 8~9개의 둥글고 검은 무늬가 있다. 수염은 백색이며 겨울털은 여름털에 비하여 길다.

호랑이는 대개 깊은 산 속이나 밀림 지역에서 단독생활을 한다. 힘이 세고 헤엄을 잘 쳐 주로 밤에 사냥하며, 멧돼지를 비롯해서 사슴 등 주로 동물들을 잡아먹는다. 그런 호랑이가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멸종 상태다. 현존하는 호랑이의 아종은 시베리아호랑이 ․ 벵골호랑이 ․ 남중국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 말레이호랑이 ․ 수마트라호랑이 등 6종으로 보고되었다.

호랑이를 불교에서는 대충大蟲이라고 부른다. 이는 포유류 고양잇과에 속한 같은 종이라는 뜻이다. 중국 원나라의 시내암施耐庵이 쓰고 명나라 나관중羅貫中이 다듬은 장편 무협 소설 수호지水滸誌에 모대충母大蟲이라는 별명을 가진 여자 호걸 고대수顧大嫂가 등장한다. 모대충은 '암호랑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 설화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매우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최초의 기록은 ‘삼국유사’의 단군신화다. 곰과 호랑이가 사람이 되고자 환웅에게 마늘을 받아 곰은 신의 계율을 지켜 사람이 되었고, 호랑이는 그러지 못했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나 토템Totem 신앙으로 본다면 호랑이는 곰과 달리 환웅에 반발한 반골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유사에는 호랑이가 인간으로 변신한 설화가 있다. '김현감호金現感虎' 또는 '호원虎願'으로 불리는 '호랑이 처녀' 이야기다. 신라시대 초파일에서 보름까지 남녀가 흥륜사興輪寺(경주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아도阿道가 창건한 사찰) 전탑塼塔을 도는 복회福會를 행하였는데 김현金現이라는 낭군이 있어서 밤이 깊도록 혼자서 탑을 돌기를 쉬지 않았다. 그때 한 처녀(호랑이)가 염불을 하면서 따라 돌다가 서로 눈이 맞아 으슥한 곳에서 정을 통하였다. 사람과 호랑이가 사랑했다는 점에서 이물교구설화異物交媾說話(사람이 식물이나 동물과 교합하여 관계를 맺는 내용의 설화)로 분류되기도 한다. 또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는 범에게 부모, 자식, 남편 등을 잃은 가족이 그 원수를 갚고 시신을 찾아오는 설화가 실려 있다. 이것은 호환을 당한 가족들을 끝까지 지키는 유교 윤리 의식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조선 초 태종부터 단종 대에 호두虎頭로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내용은 한강漢江, 양진楊津, 박연朴淵 등의 용소龍沼에 호랑이 머리를 넣고 제사를 지냈다는 이야기다. 동화 ‘호랑이와 곶감’에서는 우는 아이에게 곶감을 주자 아이의 울음소리가 그치는 것을 지켜 본 호랑이가 자신보다 더 무서운 것이 곶감이라고 생각하는 대목이 있다. 이 이야기는 호랑이를 어리숙한 존재로 만들어 호랑이를 인간과 친근한 동물로 희화화戱畵化하여 호환虎患에 대한 두려움을 덜어보고 싶은 민중의식에 기인한 것이라고 한다. 그런가 하면 조상들은 호랑이를 사악한 잡귀들을 물리치는 영물로 인식되기도 했다. 정초에는 대궐이나 민가 할 것 없이 산신도山神圖나 호랑이와 까치 등의 세화歲畵를 벽에 걸어두거나 호축삼재虎逐三災 용호오복龍虎五福이라는 글씨를 기둥이나 출입문에 붙여 악귀를 쫓아내 액땜을 하고 복을 비는 풍속이 있었다.

예로부터 호랑이 꿈을 꾸면 길하다고 했다. 특히 태몽胎夢에서 ‘호랑이를 품에 안았다거나 호랑이와 잠자리를 같이 했다거나 호랑이와 싸워 이겼다, 호랑이에게 물렸다는 꿈은 길몽吉夢 중의 길몽으로 치기도 했다. 아이가 태어나면 명예와 재물 등을 몽땅 얻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우리 민족은 호랑이를 신비의 대상으로 여기기도 했다. 예를 들면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시묘侍墓를 하는 효자를 지켜준다거나, 효성이 지극한 효자의 성묫길을 인도 하는 등 설화들은 효를 장려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호랑이는 살아 있는 자를 사후 세계로 인도하는 영혼의 인도자 또는 저승의 영역을 보호하는 신의 심부름꾼, 혹은 사경死境의 문지기 역할로 보고 있다.

위와 같은 여러 설화에 나오는 호랑이는 보은報恩의 수호자, 산신의 사자使者, 기우제祈雨祭의 희생물인 동시에 용맹하고 날렵한 동물로 절대적인 권위와 힘 등 다양한 비유의 상징으로 표현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 생활과 뗄 수 없는 밀접한 동물로 무섭고 두려운 맹수지만 한편으로는 어리석고 의뭉스러워도 결코 간교하지 않으며 배신을 모르는 우직함이 돋보인다.

2022년 임인년壬寅年에는 원칙과 기본이 중시되고 상식이 통하는 사회가 되어야한다. 정치권은 물론 정부와 사회는 구태와 관행을 벗어 던지고 모두가 변해야 산다. 정치인 ․ 사회지도층 ․ 공직자 등이 솔선수범하는 자세와 노력이 필요하다. 낡은 제도나 관습 따위를 고쳐 모습이나 상태가 새롭게 바뀐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환골탈태換骨奪胎만이 나라를 바로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평범한 진리가 통하고 사람들이 올바른 사고를 갖아야 새로운 세상이 보인다. 내가 먼저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바뀌는 것은 자명하다.

우리가 구태에 젖어 있거나 관행에 빠져 있으면 변화도 발전도 없다. 반성과 성찰만이 살길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는 물론 사회와 경제 등 전반에 걸쳐 변화하고 바뀔 때 살기좋은 세상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법치를 바로 세우고 준법을 행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제는 눈짐작이나 고무줄 잣대를 버려야 한다. 세상을 직시하고 선명한 사회가 돼야 마음 놓고 살 수 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그러면 기득권도, 특권도 사라진다.

임인년을 맞이해서 각 지방단체에서는 사자성어를 내 걸고 있다. ‘변화에 한발 앞서 대응하고 주도적으로 길을 개척해 나간다’는 ‘응변창신應變創新’, ‘바람을 타고 물결을 헤쳐 나간다’는 ‘승풍파랑乘風破浪’, ‘어떤 일이든 강한 의지로 전력을 다하면 쇠와 돌도 뚫을 수 있다’는 ‘금석위개金石爲開’, ‘새로운 길을 열어 미래를 창조하자’는 '개신창래開新創來’, ‘거문고 줄을 바꾸어 다시 맨다’는 해현경장解弦更張', ‘흙을 쌓아서 산을 만든다’는 '토적성산土積成山', ’위기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장서 솔선수범한다’는 '성심적솔誠心迪率', ‘도약할 준비를 하고, 세상으로 힘차게 나아가다’라는 ‘비도진세備跳進世’,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고진감래苦盡甘來’ 등을 선정하여 새해의 각오를 다지고 있다.

반성도, 성찰도, 사자성어도 좋다. 우리 사회의 핫 이슈 중 하나가 바로 소통이다. 소통은 일방적 소통이 아니라 쌍방적 소통어어야 한다. 수직적이 아니라 수평적이어야 한다. 불통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 양상은 개인을 넘어 사회적으로 풀어야 하는 과제가 된 지 오래다.

요즘은 하루 종일 손에 들고 있는 스마트폰 없이 살기 어려운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시대다. 여기에 MZ(밀레니얼+Z세대)세대의 등장은 ‘바람직한 소통이 어떤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장벽이 있다고 하여 소통을 멈춰서는 안 된다. 세대 간 소통이나 조직 내 소통은 부단한 노력만이 가능하다. 플랫폼이 달라지더라도 본질이 변하지 않는 것이 소통이기 때문이다.

적극적인 소통을 하기위해서는 지시나 명령이 아닌 물음으로써 말문을 열고(이위하여以爲何如), 상대방의 말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며(경언심가卿言甚嘉), 겸손하게 의견을 듣고(자불지자自不知者), 이전 의견을 검토하자며 생각과 사람을 연결하여(소술선지紹述先志), 진심을 다해 솔선하면서 책임지고 대화를 실천(성심적솔誠心迪率)해야 한다. 우리들이 지켜야 할 세종의 5단계 화법이다.

2022년 임인년壬寅年! 당신은 호호호虎虎虎인가? 호호호好好好인가? 묻는다.

 동북아신문

파일 [ 1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61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1 보이면 터득하는 것들 2021-03-30 0 1124
140 ‘소띠’해에 ‘황소’를 말한다 □ 최준봉 2021-03-12 0 1172
139 ‘SNS는 손안의 시장’□ 김준환 2021-03-04 1 1081
138 [두만강칼럼]세배돈에 대한 단상 2021-02-22 0 1120
137 아름답거나 잘생기면 다 용서된다? 2021-02-22 0 1119
136 명곡의 힘 2021-02-09 0 1125
135 아이의 세배돈은 누구의 몫인가? 2021-02-08 0 953
134 꼬리와 머리 2020-12-29 0 1242
133 ‘주말주택’□ 김준환 2020-12-22 0 1174
132 [두만강칼럼]이환위리(以患为利) 2020-12-17 0 1121
131 믿음의 가치와 사회적 신뢰 2020-12-14 0 1175
130 [대림칼럼] 나의 일본 오카상​ 2020-12-14 0 1205
129 “고향에서 살아 좋겠습니다” 2020-11-24 0 1224
128 팀워크의 힘□ 리향옥 2020-11-13 0 1117
127 아빠트의 ‘무한변신’□ 김준환 2020-10-27 0 1201
126 가무극으로 찾아온 《정률성》 2020-10-26 0 1238
125 안중근과 할빈 2020-10-26 0 1250
124 40%가 데이트폭력 상대와 결혼한다 2020-10-21 0 1141
123 내수확대로 경제고품질발전에 동력 주입해야□ 현진국 2020-10-19 0 1138
122 또 다른 고향 2020-10-16 0 1188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