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시공부사전] - 담시(譚詩)?
2021년 05월 29일 23시 14분  조회:2645  추천:0  작성자: 죽림

드라마사전

담시

 

ballade음성듣기 ]

분류 용어

담시()는 어원적으로 무가()에서 출발한 장르로서 서정적, 서사적, 드라마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특수한 형식이다.

대화형식으로 신화, 전설, 역사 혹은 대자연의 우울하고 신비한 비극적 사건을 서술한다. 주어진 테마를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전통적 발라드는 13세기에 유래한 것이고, 16세기 이후의 작품들도 많다. 18세기 영국에서 많이 발전되었으며, 독일에서는 영국 출신의 토마스 퍼시(Thomes Percy, 1729-1811) 주교의 발라드 모음집 『고대 영시 유물(Reliques of Ancient English Poetry, 1765)』의 영향으로 빠르게 유행되었다. 퍼시의 작품에 영향을 받은 헤르더는 민요를 높이 평가하였고, 이에따라 민요는 1770년대부터 독일에서 사랑받는 장르 중 하나가 되었다. 질풍노도시대 이후 담시는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담시 [ballade] (드라마사전)

=========================================///

문학비평용어사전

이야기 시

 

譚詩 , Narrative Poem ]

어떤 이야기를 리듬에 맞추어 읊는 시를 뜻한다. 서구의 장르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구분한 서정, 서사, 극이라는 삼분법에 기준을 두고 있다. 이에 따르면 서사시는 타인에 대한 보고적인 모방이며, 서정시는 자기 자신에 대한 모방을 끌어내는 것, 극은 행위로써 드러내는 모방이다. '서정시'가 주로 개인의 감정을 노래하는 데 비해 '이야기 시'는 서사적인 설화를 비롯하여 민요적인 발라드를 노래했다. 이야기 시 또는 담시를 서구의 장르이론에 입각해 살펴보면 좀 더 복잡해 진다. 이야기시를 어느 범주에 분류할 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견이 통일되지 않았다. 넓은 의미로 이야기 시는 서사시(epic)를 비롯해 서술시의 일종인 발라드(ballad)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야기 시의 전형인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드를 비롯하여 초서의 켄터베리 이야기를 비롯해 서양문학사에서 이야기 시는 매우 긴 뿌리를 갖고 있다. 서사시가 역사적인 사건이나 영웅신화를 서사적 형태로 쓴 시를 의미한다면, 발라드(ballad)는 설화적인 내용이나 민요, 민담적인 성격이 짙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문학사에서 서구의 삼분법에 의한 장르 구분은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논자에 따라서 임화의 「우리 오빠와 화로」를 이야기 시의 기원으로 보는가 하면 단편 서사시로 보기도 한다. 팔봉은 단편 서사시를 소설과 시의 혼합 양식으로 보았고, 소설과 서정시를 연결하는 과도기적인 양식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야기 시를 담시로 보는 시각의 출발점은 김지하의 「오적」에서부터다. '담시'라는 용어는 기존에 통용되던 문학적 장르의 명칭이 아니라 작가 스스로 자신의 작품에 미학적 의미를 부여한 명칭이기 때문에 보통명사가 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이야기 시, 담시, 서사시, 단편 서사시라는 용어는 정확하게 개념 규정이 되지 않고 논자들에 따라 조금씩 상이한 의미를 띠고 있다. 이 용어들을 포괄할 수 있는 것은 이야기가 중심이 되어 리듬에 맞춰 낭송할 수 있다는 정도이다.(박죽심)

[네이버 지식백과] 이야기 시 [譚詩, Narrative Poem]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두산백과

발라드

 

ballade음성듣기 ]

요약 자유스러운 형식의 소서사시, 또는 담시(譚詩).

춤춘다는 뜻의 라틴어 ballare에서 유래하여, 민요·가요로 번역되기도 한다. 교회나 궁정 중심의 문학에 대하여 민중 속에서 생긴 영웅전설·연애비화() 등의 담시로 세대에서 세대로 전승된 것이다. 12세기에 프랑스 남부지방에서 음유시인이 생겨, 이것은 얼마 뒤 영국으로 번졌고 15·16세기에는 크게 유행하였다.

처음에는 춤에 맞추어 노래하던 것으로, 시 형식은 보통 3절로 이루어졌는데, 각 절은 7∼8행이며, 그 중 끝 1∼2행은 되풀이로 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14세기경에 이르러서는 단순히 정형()의 소서사시라는 뜻으로 굳어졌다. 이탈리아에서는 단테와 페트라르카, 프랑스에서는 비용, 마로 등이 이 형식으로 작품을 썼으며, 영국에서는 역사 및 전설을 소재로 많은 작품이 만들어졌고, 독일에서는 헤르더에 의해 소개되었다. 18세기 말의 낭만파 문학시대에는 각국의 작가들이 민요에 흥미를 갖게 되어 독일에서는 괴테, 하이네 등이, 프랑스에서는 위고 등이, 영국에서는 스콧 등이 많은 발라드를 썼다.

음악에서는 담시곡 ·이야기곡 등으로 번역되는 통속적 가곡을 뜻한다. 원래는 무도가()였는데, 14세기에 들어와서 무도가의 성격이 거의 상실되어 무도에서 독립하여 주로 역사적 ·전설적 ·종교적 소재가 담긴 가벼운 독창곡이 되었다. 16세기에는 주로 이야기식 성격의 성악곡으로 발전하여 영국의 헨리 8세로부터 엘리자베스 1세 시대에 많은 발라드가 작곡되었다. 19세기에는 보통 3부 형식으로 이루어진 성격적인 피아노 소품()을 발레데 또는 발라드라 하였는데, 쇼팽의 《발라드》 4곡과 브람스, 포레 등의 발라드가 유명하다.

오늘날에는 포퓰러송 가운데서 센티멘틀한 러브송 종류를 발라드라 하고, 재즈 연주에서는 포퓰러송 등의 원곡() 멜로디를 살리면서 애드 리브(즉흥연주)하는 것을 발라드 연주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발라드 [ballade] (두산백과)

=============================///
 

이야기와 같은 줄거리와 짜임이 있는 시. 이야기시는 객관적 사실을 진술한다는 점에서 서사시와 공통점이 있으나 시적인 표현, 시적인 비유 등이 없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있다. 이야기시는 단지 시의 형태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이야기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야기시 (Basic 중학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0 산문에 산문률이 없다면 자칫 딱딱하고 재미없는 문투가 되다 2017-02-04 0 3410
169 시의 갈래 특성 재다시 복습하기 2017-02-04 0 3512
168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왼손잡이를 리해해주기... 2017-02-04 0 2415
167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시를 산문으로 고쳐쓰기 2017-02-04 0 2698
166 "문학치료"로 삶의 질을 높일수 없다?... 있다!... 2017-02-04 0 2621
165 우리 고향 연변에서도 "시詩 항아리"가 류행되었으면?!... 2017-02-04 0 3844
164 2017년 <<신춘문예>>당선작 동시모음 2017-02-03 0 2854
163 "시(詩)"를 보면 절(寺)에서 하는 말(言)이다... 2017-02-03 0 3420
162 쉽고 친근한 시어로 시심을 불러 일으키는 시를 써라... 2017-02-03 0 2722
161 중국 혈통 미국 문학가 & 영국 문학사의 "세 자매 문학가" 2017-02-02 0 3078
160 현대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2017-02-02 0 2782
159 시의 첫줄은 신(神)이 주는것... 2017-02-02 0 2722
158 시어(詩語)는 없고 시의 언어만 있을 뿐...조탁언어(彫琢)를 쓰고 사어(死語)는 금물... 2017-02-02 0 3248
157 "개과(科) 남편과 고양이과(科) 아내" 지금도 잘 지내고 있는지 2017-02-02 0 3119
156 시보다 어눌한 령혼은 없다... 2017-02-01 0 3133
155 백지에 채워져야 할 순수 사랑을 위하여... 2017-01-31 0 2545
154 력사에 길이 남을 "락서"를 위하여... 2017-01-30 0 2808
153 [시문학소사전] - "락서(낙서)"란?... 2017-01-30 0 3590
152 문화속 생태를 알아보기 2017-01-30 0 2648
151 영문시 "국화옆에서" 2017-01-30 0 3336
150 [시문학소사전] - "팝 아트"란?... 2017-01-29 0 4538
149 "바람속에서 불어오는 답에 귀 기울여 보기를..." 2017-01-28 0 3235
148 2008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윤동주를 운운하다... 2017-01-27 0 2762
147 [자료] - 조선족 차세대 언어교육에 "살얼음장"이... 2017-01-27 0 2658
146 작문써클선생님들께; - 신정을 "양력설"로, 구정을 "음력설"로... 2017-01-26 0 2854
145 시적 발상, 령감, 동기, 언어 등 시작 준비를 구체적으로 해야 2017-01-26 0 2698
144 시인은 직접적 체험을 통하여 진실된 인생을 운운해야... 2017-01-26 0 2718
143 시는 이미지적 회화성과 배후에 숨겨진 의미성의 암시이다... 2017-01-24 0 2526
142 시인은 올바른 인생관과 정립된 가치관이 있어야... 2017-01-23 0 2880
141 "조선족 대표"와 "덜된 대표" 2017-01-22 0 2733
140 "조선족"과 "선족" 2017-01-22 0 2595
139 로익장(老益壯)의 문학을 위하여... 2017-01-22 0 2939
138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 어릴 때부터 글쓰기 훈련을... 2017-01-22 0 3369
137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어릴 때부터 인성교육을... 2017-01-22 0 2698
136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어릴 때부터 한자 공부를... 2017-01-22 0 3024
13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어릴 때부터 절약정신 교육을... 2017-01-22 0 2593
134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어릴 때부터 "말 잘하기"훈련을... 2017-01-22 0 3288
133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어릴 때부터 올바른 용돈교육을... 2017-01-22 0 2884
13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5000억 뇌세포를 깨우라... 2017-01-22 0 3447
13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어릴 때부터 동시조 공부를... 2017-01-22 0 2896
‹처음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