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미국 시인 - 월러스 스티븐스
2021년 01월 26일 23시 20분  조회:3026  추천:0  작성자: 죽림

미국의 문학

월러스 스티븐스(Wallace Stevens,1879년~1955년)

 

 

월러스 스티븐스

월러스 스티븐스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태어난 월러스 스티븐스는 하버드 대학과 뉴욕 대학 법대를 졸업했다. 그는 1904년부터 1916년까지 법률 활동을 하면서 왕성한 창작 활동을 겸했다. 1916년 보험회사의 간부가 되기 위해 코네티컷의 하트퍼드로 이사를 가서도 시를 계속 창작했다. 그의 삶은 놀랍게도 시인으로서의 생활과 직장인으로서의 생활로 철저하게 분리되어 있었는데, 보험회사 관계자들은 그가 당시 유명한 시인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그는 《풍금(Harmonium)》(1931년 개정판), 《질서의 관념들(Ideas of Order)》(1935), 《세계의 부분들(Parts of a World)》(1942) 등과 같은 적절하게 이름 지어진 시집에서 보이듯이 평생 미학적인 질서에 대한 매우 복잡한 생각들을 개발하는 데 매진했다. 그의 유명한 시들 중에는 〈일요일 아침(Sunday Morning)〉, 〈건반 앞의 피터 퀸스(Peter Quince atthe Clavier)〉, 〈아이스크림의 황제(The Emperor of Ice-Cream)〉, 〈검은새를 보는 13가지 방법(Thirteen Ways of Looking at a Blackbird)〉, 〈키웨스트에서 질서의 관념(The Idea ofOrder at Key West)〉 등이 있다.

스티븐스의 시는 상상력, 미학적 형식의 필요성, 예술의 질서는 자연의 질서와 호응해야 한다는 믿음 등의 주제들을 다루고 있다. 그가 사용한 시어는 풍부하고 다양하다. 그는 울창한 열대 지방의 장면들뿐만 아니라, 유머 넘치고 아이러니한 삽화 같은 장면들 또한 그려내고 있다.

그의 시 일부는 대중문화를 다루고 있으며 어떤 시들은 복잡한 사회에 대해 조롱하거나 지나치게 지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그는 "이윽고 탬버린 같은 소음을 내며 / 그녀를 시중드는 비잔틴 사람들이 왔다(Soon, with a noise like tambourines / Came her attendantByzantines)"는 표현에서처럼 풍부한 언어 유희로 유명하다.

스티븐스의 작품은 놀라운 통찰력으로 가득하다. 그는 때로 다음의 〈10시의 환멸(Disillusionment of Ten O'Clock)〉(1931)이라는 시처럼 독자들에게 장난을 친다.

그 집들에는
흰색 잠옷들이 출몰한다.
어떤 것도 초록색이 아니다.
초록색 링이 달린 자주색도
노란색 링이 달린 초록색도
파란색 링이 달린 노란색도 아니다.
아무것도 이상하지 않다,
레이스와 작은 구슬 달린 띠가 있는
양말을 신는다고 해도.
사람들은
비비와 고둥을 꿈꾸지 않을 것이다.
여기저기 늙은 선원만이
술에 취해 장화를 신은 채 잠들어
호랑이를 잡는다,
붉은 날씨 속에서.

이 시는 상상력이 없는 삶(평범한 흰 잠옷)을 불평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이 시는 독자들의 마음속에 생생한 이미지를 불러일으킨다. 끝에서 재산에는 관심 없는 술 취한 선원이 비록 꿈에서지만 '호랑이를 잡는다'. 이 시는 인간의 상상력이 항상 창조적인 출구를 찾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763 인생은 비극이라 생각할 때 비로서 살기 시작하는것... 2016-11-06 0 4837
1762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11-06 0 4090
1761 따옴표(" ")가 붙은 "시인"과 따옴표가 붙지 않는 시인 2016-11-06 0 4867
1760 모더니즘 경향의 시인들 시를 알아보다... 2016-11-06 0 4248
1759 모더니즘시, 현대 문명을 비판하다... 2016-11-06 0 5089
1758 김기림 모더니즘시 리론작업, 정지용 모더니즘시 실천작업 2016-11-06 0 4343
1757 모더니즘 문학과 도시의 문학 2016-11-06 0 4303
1756 한국 모더니즘 시의 흐름은 어떠한가... 2016-11-06 0 3664
1755 [자료] -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3735
1754 [자료] -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알아보다... 2016-11-06 0 4442
1753 詩人 되기 먼저 자기자신을 완전히 깨닫는것, 곧 구리쇠 잠깨어 나팔 되기 2016-11-06 0 3794
1752 프랑스 상징주의 시 감상하기 2016-11-05 0 4542
1751 詩란 자연과 함께 인간의 덕성을 말하는것이다... 2016-11-05 0 4523
1750 너무나 많은 라침판이여,- 그때는 그때, 지금은 지금이라... 2016-11-03 0 3888
1749 詩는 "만드는것"이 아니라 생체를 통한 "발견"이다...... 2016-11-02 0 4315
1748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와 시인들 2016-11-01 0 4637
1747 죽은지 10여년 지나서야 시적 가치를 찾은 "악의 꽃" 2016-11-01 0 4622
1746 프랑스 상징파 시인, 모험가 - 랭보 2016-11-01 0 4575
1745 프랑스 상징파 시인 - 베를렌느 2016-11-01 0 5118
1744 詩란 우연스러운 "령감들의 모음집"이 아니라 언어행위이다... 2016-11-01 0 4725
174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6-11-01 0 6617
1742 칠레 민중시인 - 파블로 네루다 2016-11-01 0 5363
1741 詩쓰는것이 돈벌이 된다면 어렵다는 말은 사라질것이다... 2016-11-01 0 4061
1740 조기천시인과 김철시인 2016-11-01 0 4643
1739 백두산은 말한다... 2016-11-01 0 4404
1738 "백두산"과 조기천 2016-11-01 0 4717
1737 "백두산", 완결물이 아니라 미완물이다... 2016-11-01 0 5366
1736 체코 문학을 알아보다... 2016-10-31 1 6136
1735 시인이 된다는것은... 2016-10-31 0 4090
1734 "풀"의 시인 김수영을 다시 떠올리다... 2016-10-31 0 5409
1733 "곰팡이는 곰팡을 반성하지 않는것처럼..." 2016-10-31 0 4362
1732 "내가 저의 섹스를 개관하고 있는것을 아는 모양이다"... 2016-10-31 1 3937
1731 곧은 소리는 곧은 소리를 부른다... 2016-10-31 0 4519
1730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10-31 0 4136
1729 변변한 불알친구 하나 없어도 문학이란 친구는 있다... 2016-10-31 0 4214
1728 니체은 니체로 끝나지만 공자는 공자로 지속되다... 2016-10-31 0 3826
1727 詩란 사자의 울부짖음이다... 2016-10-31 0 3961
1726 참말이지 과거는 한줌 재일 따름... 2016-10-30 0 3959
1725 정지용, 김기림과 "조선적 이미지즘" 2016-10-30 0 4354
1724 김기림, 그는 누구인가... 2016-10-30 0 4682
‹처음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