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21년 01월 26일 23시 12분  조회:3214  추천:0  작성자: 죽림

미국의 문학

에즈라 파운드(Ezra Pound, 1885년~1972년)

 

 

에즈라 파운드는 가장 영향력 있는 20세기 미국 시인 중 한 명이다. 파운드는 1908년부터 1920년까지 런던에 거주하면서 많은 작가들과 친분을 쌓았는데, 그중에는 자신이 비서로 일했던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와, 자신이 과감하게 편집하고 수정했던 시 《황무지》의 시인 T. S.엘리엇이 있었다. 파운드는 미국과 영국을 잇는 가교 역할을 했으며 해리엇 먼로의 중요한 시카고 잡지 《포이트리》에서 공헌도 높은 편집자로 일했다. 그는 또한 매우 시각적이고 명료한 표현을 옹호하는 '이미지즘'이라는 새로운 시 운동의 선봉에 섰다. 이미지즘에 따라 다양한 시적 접근을 시도하던 파운드는 이탈리아로 가서 파시즘에 빠지게 되었다.

파운드는 편지, 수필, 시선집 등을 통해 이미지즘을 진전시켰다. 1915년 먼로에게 쓴 편지에서 그는 '상투어나 관용구' 등을 피하며 현대적인 음성을 지닌 시각적 시를 옹호한다고 했다. 그는 〈이미지즘 시인으로서 하지 말아야 할 몇 가지(A Few Don'ts of an Imagiste)〉 (1913)라는 글에서 이미지를 "순간에 지적이고 감성적인 복잡성을 전달하는 무엇"이라고 정의했다. 1914년 파운드가 시인 10인의 시를 모은 선집 《이미지즘 시인들(Des Imagistes)》은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힐다 두리틀, 에이미 로웰 등을 비롯한 뛰어난 작가들의 이미지즘 실례를 수록하고 있다.

파운드의 관심과 독서는 세계적이었다. 그의 번안물과, 더러 틀린 점도 있지만 대체로 훌륭했던 번역물들은 다양한 문화로부터의 새로운 문학적 가능성을 미국의 현대 작가들에게 소개했다. 그의 역작은 《캔토스(The Cantos)》로, 눈을 감는 날까지 집필하고 출간했던 시들이다. 훌륭한 시구를 담고 있는 《캔토스》는 다양한 시대 및 문화로부터 온 문학과 예술 작품을 인유하고 있어 난해하다. 파운드의 시는 명백한 시각 이미지, 신선한 운율, 남성적이고 지적이며 평범하지 않은 글귀로 유명하다. 이러한 특성은 〈캔토 81〉에 나오는 "용의 세계에서 개미는 켄타우루스다"라는 표현과 다음의 〈지하철역에서(In a Station of the Metro)〉(1916) 같은 일본 하이쿠로부터 영감을 받은 시들에 나타나 있다.

군중 속에서 유령처럼 나타난 얼굴들 ;
축축한 검은 나뭇가지의 꽃잎들.

관련이미지

파운드

파운드출처: 세계문학사 작은사전 (촬영: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43 "님의 침묵"이냐?... "情人의 침묵"이냐?... 2016-11-14 0 3889
1842 실존주자의 인생에 종지부를 찍다... 2016-11-14 0 3607
1841 윤동주의 시 속에 마력이 없다?... 있다!... 2016-11-14 0 3198
1840 윤동주는 "북간도"가 낳은 시인이다... 2016-11-14 0 4747
1839 생태문학이 세계문학의 최고봉이다?... 아니다!... 2016-11-14 0 3792
1838 창작이냐?... 모방이냐?... 이것이 문제면 문제로다... 2016-11-14 0 3779
1837 중국 조선족 동시의 흐름을 알아보다... 2016-11-14 0 3476
1836 동시의 다양화에 관하여 2016-11-14 0 3697
1835 윤동주와 동시 2016-11-14 0 3415
1834 "우화시"와 허두남 2016-11-14 0 3633
1833 동시때벗기기 = 동시도 시로 되여야... 2016-11-14 0 3859
1832 채택룡 / 김만석... 랑송동시도 창작해야/ 김만석... 2016-11-14 0 3448
1831 박영옥 / 김선파 2016-11-14 0 3435
1830 김득만 / 김만석 2016-11-14 0 3706
1829 詩란 고독한 사람의 고독한 작업속에 생산되는 미적량심 2016-11-14 0 3927
1828 시 한수로 평생 명인대가로 인정되는 사람 없다?...있다?!... 2016-11-12 0 3948
1827 김영건 / 고 한춘 2016-11-12 0 3831
1826 심련수 / 한춘 2016-11-12 0 3867
1825 적어도 진정으로 문학을 사랑한다면,ㅡ 2016-11-12 0 3559
1824 "동시엄마" - 한석윤 2016-11-12 0 3509
1823 최룡관 / 최삼룡 2016-11-12 0 3992
1822 김동진 / 최삼룡 2016-11-12 0 4153
1821 詩人은 뽕잎 먹고 비단실 토하는 누에와 같다... 2016-11-12 0 4157
1820 [자료] - 중국 조선족 문학 30년을 알아보다... 2016-11-12 0 4269
1819 조선족 문학작품을 중문번역 전파하는 한족번역가 - 진설홍 2016-11-12 0 4423
1818 베이징 "등대지기" 녀류시인 - 전춘매 2016-11-12 0 4185
1817 화장터 굴뚝연기, 그리고 그 연장선의 값하려는 문사-정호원 2016-11-11 0 3850
1816 고 최문섭 / 전성호 2016-11-11 0 4256
1815 녕안의 파수꾼 시인 - 최화길 2016-11-11 0 4032
1814 한국 최초의 모더니스트 시인 - 정지용 2016-11-11 0 3770
1813 "등불을 밝혀" 시대의 어둠을 몰아내려는 지성인 2016-11-11 0 3968
1812 詩人은 태작을 줄이고 수작을 많이 만들기 위해 정진해야... 2016-11-11 0 4166
1811 늘 "어처구니"를 만드는 시인 - 한영남 2016-11-11 0 4682
1810 늘 "서탑"을 쌓고 쌓는 시인 - 김창영 2016-11-11 0 3935
1809 장르적인 경계를 깨는 문사 - 조광명 2016-11-11 0 3967
1808 김철 / 장춘식 2016-11-11 0 4316
1807 "조양천"과 김조규 2016-11-11 0 3732
1806 "국어 교과서 편찬"과 김조규시인 2016-11-11 0 4023
1805 "만주"와 유치환 2016-11-11 0 3842
1804 {자료} - "두루미 시인" - 리상각 2016-11-11 0 4060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