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시/ 물= 남영전, 해설= 현춘산(6)
2020년 10월 10일 22시 30분  조회:2498  추천:0  작성자: 죽림
6.물, 인류와 만물 창조의 영구한 생령
2020년 08월 24일 /현춘산

 


 
"단군신화"를 보면 천신 환웅이 인간세상을 다스리러 내려올 때 풍백(风伯), 운사(云师), 우사(雨师)를 거느렸다. 풍백은 바람의 신이고 운사는 구름의 신, 우사는 비의 신으로서 바꾸어 말하면 하늘의 수신(水神)이였다. 바람, 구름과 비는 불가분리의 관계로서 다 대지의 물과 풍요를 위하여 준비된 존재들이였다.
 
철학자 텔레스는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물에서 생겨난다고 말했다. 조상들의 관념세계에서 물은 흙과 마찬가지로 남성적인 하늘과 짝지어진 녀성적 존재였다.
 
물이 신화에서 녀성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은 것은 달과 바다와 달과 녀성의 관계에서 비롯되였다. 달이 둥글어지고 이지러짐에 따라 바다에 밀물과 썰물이 생긴다. 또한 이 달의 변화에 따라 녀인들은 생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달과 물과 녀성은 다 같이 생명력과 생산력, 그리고 풍요의 상징이다. 때문에 바다물과 녀성의 생리수를 원수(原水)라고 불렀다. 원수는 인류의 시원(始源)을 내포하고 있다.
 
물의 신비한 힘은 우리의 박혁거세(朴赫居世)와 알영(阏英)신화에서도 표현되고 있다. 혁거세왕의 왕비 알영은 우물에서 나온 계룡(鸡龙)의 옆구리에서 태여난다. 계룡이란 바로 봉황의 화신이다.
박혁거세가 태여났을 때 동천(东泉)에서 목욕시키니 온몸에 광채가 났기에 밝은 기운이 인간세상에 왔다는 뜻으로 이름을 혁거세라고 지었고 알영의 입술이 닭의 부리같아서 북천(北川)에서 목욕시키니 부리가 떨어져 나갔다 한다. 여기에서 물은 박혁거세와 알영을 재생시킨 모친토템이다.
 
또 한가지 주목되는 바는 달과 우물과 녀성에 관련된 우리의  하나의 풍속이다. 달빛이 어린 우물물을 떠 마시면 생남(生男)을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이른 새벽 수집음을 타는 각시들이 남몰래 우물가로 살그머니 나와 룡의 알을 상징하는 달그림자가 비낀 우물물을 바가지로 떠 마셨던 랑만적인 력사가 우리에게 있었다. 달과 물과 녀성의 일체화(一体化)를 보여주는 소재의 극치라 하겠다.
 
물은 또한 경세지언(警世之言)을 상징하기도 한다. 백제의 멸망을 눈앞에 앞두고 우물의 물이 피빛으로 변했다고 한다.
 
우리 민족 조상들의 물숭배에 근거하여 시인 남영전은 1991년 6월에 토템시 "물"을 창작하였다.
시인은 물의 신비함과 신성함을 찬미함으로서 물토템의 위상을 표현하고 있다.
 
사람은 물우를 오가고
고기는 물속을 헤염치거니
물우도 물속도 모두 생명의 락원이라
(중략)
물의 신화는 인간과 함께 숨쉬고
물의 위엄은 하늘과 함께 살아간다
 
물, 물, 물
모든 생명과 령혼의 대문 여닫는 신령이여
 
물은 인간과 만물을 잉태하고 낳아기르는 위대한 모성의 상징이다. 물은 인간을 포함한 만물의 근원이다. 그래서 우리는 흔히 "생명수"라는 이름으로 물의 이미지를 찬미한다. 지구상의 온갖 생명과 생물을 잉태하고 낳아주는 물은 흙과 더불어 영구한 생명체다.
 
시인은 "모든 생명과 령혼의 대문 여닫는 신령"이라는 시구로 인간을 비롯한 만물의 근원인
물의 토템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3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어릴 때부터 바른 글씨체를... 2017-01-22 0 2942
129 [시문학소사전] - "오마주"란?... 2017-01-22 0 4965
128 현대시는 외형률보다 내재률을 통해 음악성을 강조해야... 2017-01-21 0 3347
127 시인은 "버려진 집"에서 살며 시작해야... 2017-01-20 0 2695
126 시는 목적없이 그 무엇을 "찾는" 행동이다... 2017-01-20 0 2765
12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외래어도 알고 쓰자... 2017-01-20 0 2738
124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한글과 일본어 대조표 2017-01-20 0 3069
123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순수 우리말로 하면 촌스러운가... 2017-01-20 0 3967
122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순수 우리말 있을 땐 외래어 쓰지 말기... 2017-01-20 0 3902
121 시작에 공부 좀 하이쏘.. 2017-01-18 0 5428
120 시작의 길잡이는 오로지 "나도 시를 쓸수 있다" 이다... 2017-01-18 0 3123
119 시는 시시한 물건짝이 옳다?... 아니다!... 2017-01-18 0 2759
118 [시문학소사전] - "벽화"와 "그래피티" 차이점?... 2017-01-16 0 3988
117 시작(詩作)의 비법 = 다독(多讀), 다사(多思), 다작(多作)... 2017-01-16 0 3140
116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딸님"과 "따님" 2017-01-15 0 2874
115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부딪히다"와 "부딪치다" 2017-01-15 0 3233
114 [쉼터] - 사랑의 노래는 학습되지 않는 막무가내의 모든 것... 2017-01-15 0 3275
113 [쉼터] - 그림자 이끌고 떠나가야겠네... 2017-01-15 0 2669
112 살맛나는 세상과 무서운 세상, 그리고 "거짓 글" 2017-01-14 0 3608
111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글쓰기, 토론식 례찬 2017-01-14 0 3077
110 문학은 "퇴고, 다시 퇴고"의 련마작업을 거치는 고된 작업... 2017-01-14 0 2879
109 詩作에서의 퇴고, 퇴고, 퇴고 끝에 탈고와 등고의 희렬!~~~ 2017-01-14 0 3097
108 시작할 때 늘 시어(詩語)의 생사존망(生死存亡)문제를 따져야... 2017-01-13 0 2694
107 섬은 늘 거기에 있지만 사람들은 그 섬을 떠나 돌아오지 않는다... 2017-01-11 0 2664
106 시적언어가 탄생과정을 거치지 않은 언어는 독자의 마음을 파고들수 없다... 2017-01-11 0 3092
105 시조라는 정형틀을 지키면서 동시에 시적 심상의 확장과 응축 등으로 새로운 시조의 미학을 창조해야... 2017-01-11 0 2765
104 "선생님은 퇴고를 하십니까, 안 하십니까?..." 2017-01-08 0 2624
103 시는 희, 로, 애, 락, 욕, 지, 의, 정 등의 복합적 예술품이다... 2017-01-08 0 2752
102 문학예술가와 病, 그리고 창작 2017-01-07 0 2668
101 2017년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모음 2017-01-06 0 2787
100 작문선생님들께 보내는 편지; ㅡ"~ 위하여" 건배!... 2017-01-06 0 2889
99 금서, 70, 베스트셀러 그리고 독재자... 2017-01-06 0 2716
98 시는 늘 육화(肉化)된 언어를 찾아 써야... 2017-01-05 0 2856
97 무지하고 께제제한 눔들 하곤 할 말이 있다?... 없다!... 2017-01-04 0 3941
96 시는 불필요한 관념성, 난해성, 상투성, 피상적, 추상적인식에서 머물지 말아야... 2017-01-04 0 3148
95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의 상자"란?... 2017-01-03 0 3820
94 [시문학소사전] - "판도라"란?... 2017-01-03 0 3952
93 시문학이 이땅에서의 생존의 길, 그것은 곧 "사랑"과 "고뇌". 2017-01-02 0 3211
92 5천권의 책을 읽고 만장의 글을 써라... 2017-01-02 0 3188
91 글쓰기 비법 아닌 비법 12 2017-01-02 0 3696
‹처음  이전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