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詩人 대학교

토템시/ 흙= 남영전, 해설= 현춘산(5)
2020년 10월 10일 22시 27분  조회:2559  추천:0  작성자: 죽림
5.흙, 인간을 포함한 만물의 어머니
2020년 08월 24일 /현춘산

 


 
흙은 대지의  성분으로서 대지는 흙으로 이루어졌다. 고대 선민들은  하늘을 남성, 땅을 녀성으로 여겼다. 이것이 조상들의 "지모신관" (地母神观)즉 대지를 모신적 존재로 보는 관념을 산생시켰다.
 
우리 선조들의 "지모신관", 말하자면 인간에 대한 흙의 모신적 성격을 보여주는 "해금와신화"가 있다. 늙도록 후사가 없었던 해부루왕이 산천에 제를 지내 어들낳기를 빌고 돌어오는 길에서 타고 가던 말이 큰  돌을 마주하여 눈물을 흘리자 그것을 괴이 하게 여겨 사람들을 시켜 돌을 치우고 보니 그 자리에 금빛개구리모양의 사내아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왕이 크게 기뻐 그애를 길러서 태자를 삼으니 그가 바로 금와왕(金蛙王)이였다.
 
해부루가 산천에 제를 지내자 산의 신령이 돌과 흙을 통해 해금와를 탄생시켰으니, 워낙 산을 이룬 것이 돌과 흙이라. 산제의 효험을 본 것이다. 그래서 돌과 흙은 해금와의  모친토템이였다.
흙토템은 인간을 탄생시키고 인간의 후예들을 보호하기도 했다.
 
자못 흥미있는 고사는 헌강왕대의 산신과 토지신의 이야기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그 시절은 태평성대였다. 그 풍요한 세월을 즐기느라 왕과 신하들이 여념이 없을 때 한번은 왕이 포석정에 행차하자 남산의 신이 나타나 춤을 추었는데 그 춤이 왕의 눈에만 보이고 신하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왕이 그 춤을 추어 대신들에게 보이였다. 산신이 나라의 위기를 먼저 왕에게 알렸으나 왕이 깨닫지 못하니 후에 금강령에 행차하자 북악의 신이 나타나 춤을 추었고 동례전에서 연석을 베풀자 이번에는 토지신이 나타나 춤을 추었다. 이는 토템이 인간으로 전환된 사례이다. 나라의 위기를 산신과 지신들이 사람의 모습으로 나타나 춤으로 예고하였으나 사람들이 태평세월에 마비되여 그것을 깨닫지 못했기에 결국 나라가 망했다는 이야기가 바로 헌강왕신화다. 헌강왕신화는 토템전환을 보여준다.
 
인간이 죽으면 토템으로 돌아가거니와 살아있을 때도 토템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때로는 토템이 인간으로 전환하기도 한다는 것이 토템전환설이다.
 
해금와신화가 인간에 대한 흙의 모신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면 헌강왕신화는 인간에 대한 흙의 수호신(守护神)적 성격을 보여준것이다. 인간을 탄생시킨 흙토템이 인간의 후예를 보호한 사례다.
 
우리 조상들의 흙숭배는 력래의 장례문화에서도 돌출하게 표현되였다. 주검을 흙속에 묻는 토장(土葬)은 우리 선조들의 주요한 장례방식이였다. 흙에서 왔고 흙으로 돌아가는 것이 인생이기에 흙에 묻어야 다시 태여나 영생을 누리게 된다는 관념의 소산이였다.
 
흙은 그처럼 소중하고 그처럼 신성하다. 흙은 삼림을 키우고 곡물을 키워서 인간에게 이바지한다. 인간의 삶을 위한 흙의 말없는 기여, 그것이야말로 어머니대지의 사랑과 보호가 아니고 무엇일가?
시인 남영전은 고대인류와 우리 선조들의 유구한 흙숭배에 근거하여 토템시"흙"을 써냈다. 남영전시인의 토템시 "흙"은 국내외에서 강렬한 반향을 일으켰다.
 
1998년 8월에 제18차 세계시인대회가 슬로바크에서 열렸다. 주최측인 슬로바크의 텔레비죤방송국에서 특히 '중국시인의 밤'행사를 마련하여 남시인더러 "흙"을 랑송하게 하고 전국적으로 방송하여 대단한 인기를 모았다. 농업국인 슬로바크인민들의 흙숭배를 알 수 있다.
 
"흙은 자신의 무변한 체구로/돌을 뻐로 삼고/물을 피줄로 삼아/우중충한 하늘아래/언덕과 산줄기 쌓고/늪과 바다를 만들어/생령을 배태하고/만물을 낳아키운다"
 
시인은 이와 같은 시구들로 대지를 이루는 흙의 신비한 조화를 묘사하면서 인간을 포함한 만물의 위대한 어머니인 흙의 토템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1570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30 윤동주가 가장자리에서 정중앙자리에 서다... 2018-07-08 0 2540
112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쉽게 씌여진 시 2018-07-08 0 5777
1128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관부련락선" 2018-07-08 0 4105
1127 인생이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정말 아니다... 2018-07-07 0 2448
1126 호박아 호박아 너는 뚱뚱보 엄마다... 2018-07-07 0 2819
1125 윤동주와 영화 "동주"에 등장하는 윤동주 시 15편 2018-07-06 0 2708
112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흰 그림자 2018-07-06 0 3575
112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참회록 2018-07-06 0 5993
1122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토끼전" 2018-07-05 0 3749
1121 윤동주 시 리해돕기와 시 "간"과 "코카사쓰", "프로메테우스" 2018-07-05 0 4302
1120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간(肝) 2018-07-05 0 4334
111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별 헤는 밤 2018-07-05 0 4191
1118 윤동주와 우물틀 2018-07-04 0 2945
1117 해바라기 이야기는 고소하고 길다... 2018-07-04 0 2654
1116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또 다른 고향 2018-07-04 0 6916
1115 윤동주와 하숙집 터 2018-07-03 0 4808
111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는 하나!!! 2018-07-03 0 2544
1113 윤동주를 알린 일본 시인 - 이바라기 노리코 2018-07-02 0 2975
111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돌아와 보는 밤 2018-07-02 0 3140
1111 [동네방네] - "詩碑문제"와 "是非문제" 2018-07-02 0 2555
1110 윤동주와 "백석시집" - "사슴" 2018-07-02 0 2631
110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십자가 2018-07-02 0 5874
1108 "詩여 침을 뱉고 또 뱉어라"... 2018-07-01 0 4259
1107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비애 2018-07-01 0 4786
1106 이래저래 해도 뭐니뭐니 해도 그래도 학교 갈때가 제일이야... 2018-06-30 0 2402
110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소낙비 2018-06-30 0 4186
1104 윤동주와 그의 룡정자택 2018-06-29 0 3844
1103 윤동주의 친구 장준하, 문익환 2018-06-29 0 2571
1102 윤동주의 친구 정병욱 2018-06-29 0 4225
1101 윤동주의 친구 강처중 2018-06-29 0 3004
1100 "빨랫줄을 보면 또 어머니 생각이 납니다"... 2018-06-29 0 2381
1099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한난계 2018-06-29 0 4164
1098 "밥상에서 시가 나와요"... 2018-06-28 0 2499
1097 시속에서 우주의 목소리가 펼쳐진다... 2018-06-25 0 2591
1096 시속에서 무한한 세상이 펼쳐진다... 2018-06-25 0 2562
1095 시속에서 사랑의 노래가 펼쳐진다... 2018-06-25 0 2607
1094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풍경 2018-06-16 0 4671
1093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림 2018-06-16 0 3205
1092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산상 2018-06-16 0 3400
1091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황혼 2018-06-14 0 3390
‹처음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