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민속] - 통발
2020년 04월 07일 22시 35분  조회:4603  추천:0  작성자: 죽림
통발

물고기를 가두어 잡는 데 쓰는 어구.

유형 물품
시대 현대
성격 생활용품, 어구
재질 댓조각, 싸리
용도 어획용

목차

  1. 정의
  2. 내용

정의

물고기를 가두어 잡는 데 쓰는 어구.

내용

가는 댓조각이나 싸리로 통처럼 엮어 만들었다. 냇가에서 잔 고기를 잡는 것과 바다에서 큰 고기를 잡는 것의 두 종류가 있으며 크기는 물론 형태도 매우 다르다.

냇가에서 쓰는 통발의 길이는 60cm, 주둥이 지름은 15cm쯤 된다. 바닥 안쪽에 댓조각을 둥글게 대고 작은 구멍만을 남겨서 한번 들어간 고기는 나오지 못한다. 이것으로 고기를 잡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 물고에 뉘어서 박아 놓고 위쪽에서부터 고기를 몰아서 안에 가두는 방법, 둘째 윗부분에 먹이가 될 만한 것을 넣고 한동안 물 속에 두었다가 꺼내서 먹이를 탐내어 안으로 들어간 고기를 들어내는 방법, 셋째 물의 흐름과 반대로 박아놓고 물길을 거슬러 뛰어오르는 고기를 잡는 방법이다. 물 바닥에서 통발 사이의 높이는 1m쯤 되는 것이 적당하다.

바다 통발에는 물레고둥통발·붉은대게통발·붕장어통발 등이 있다. 경상북도 죽변의 물레고둥 통발은 4mm 굵기의 철사로 크고 작은 둥근 테를 짓고 이에 6개의 철사를 같은 간격으로 잡아 매어 틀을 이룬 것으로, 겉에는 그물을 덮었다.

어리 모양을 이룬 통발의 밑지름은 62cm, 윗지름은 35cm이며 미끼로는 정어리를 쓴다. 한 배에 수천 개를 싣고 바다에 나가 설치하며 통발 한 틀에 20∼30마리의 물레고둥을 잡는다.

강원도 속초에서 쓰는 붉은대게통발 모양은 앞의 물레고둥통 발과 비슷하나 안쪽에 아크릴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깔때기가 달리고 윗부분을 수평으로 잘라낸 것이 다르다. 테의 밑지름은 120cm, 윗지름은 70cm쯤이며 깔때기 지름은 38cm이다.

이 통발은 20t급 어선이 수심 1,500m쯤 되는 깊은 바다로 나가 설치한다. 앞의 것들과 달리 붕장어통발은 냇가에서 쓰는 것처럼 좁고 깊어서 용수를 연상시킨다.

예전에는 대로 엮은 것을 썼으나 요즈음에는 검은 플라스틱으로 찍어낸 것을 이용한다. 대제품은 길이 57cm에 지름 14cm 정도이며, 아가리 안쪽에 길이 25cm의 깔때기를 끼워 놓았다.

지름 8mm의 구멍을 촘촘히 뚫어 놓았으며, 약 10m 간격으로 하나씩 잡아맨다. 큰 어선으로 근해에서 조업할 때에는 약 1,500개의 통발을 설치하며 미끼로는 정어리·멸치·고등어 대가리를 이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통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백과

통발

 

 

요약 물고기를 잡는 바구니 모양을 한 도구.

가는 댓살이나 싸리 등으로 엮어서 통같이 만들었다. 아가리에 작은 발을 달아 그 날카로운 끝이 가운데로 몰리게 하여 일단 들어간 고기가 거슬러 나오지 못하게 하고, 뒤쪽 끝은 마음대로 묶었다 풀었다 하게 되어 있어서 안에 든 고기를 꺼내게 되어 있다. 고기 있는 곳을 따라 물속이나 물꼬에 담가 둔다.

[네이버 지식백과] 통발 (두산백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 볼가 보지 말가... 2015-02-24 0 6146
116 잊혀진 어원찾기 11 2015-02-24 0 6894
115 잊혀진 어원찾기 10 2015-02-24 0 6468
114 잊혀진 어원찾기 9 2015-02-24 0 5879
113 잊혀진 어원찾기 8 2015-02-24 0 5584
112 잊혀진 어원찾기 7 2015-02-24 0 5054
111 잊혀진 어원찾기 6 2015-02-24 0 7419
110 잊혀진 어원찾기 5 2015-02-24 0 5433
109 잊어진 어원찾기 4 2015-02-24 0 5549
108 잊혀진 어원찾기 3 2015-02-24 0 4845
107 잊어진 어원찾기 2 2015-02-24 0 6138
106 잊혀진 어원찾기 1 2015-02-24 0 4967
105 호곡령을 넘으며... 2015-02-21 0 5458
104 전통 절하는 방법 2015-02-19 0 5303
103 책 경매 !!! 2015-02-18 0 5650
102 연변 방언 2 2015-02-17 0 5459
101 연변 사투리 모음 2015-02-17 0 9408
100 격언;- 시간에 관하여 2015-02-17 0 5022
99 조선시대 정경 2015-02-17 0 5803
98 묘비명 2015-02-17 0 5152
97 고리끼 명언 2015-02-17 0 6739
96 명언 모음 2015-02-16 0 6972
95 결혼 축시 모음 2015-02-16 0 7627
94 세상에서 제일 2015-02-16 0 7149
93 제일 짧은 시와 제일 긴 시 2015-02-16 0 9153
92 영화의 제일 2015-02-16 0 4791
91 안중근 저술 2015-02-16 0 4780
90 안중근 유묵 18점 2015-02-16 2 5180
89 안중근 어머님 편지 2015-02-16 0 5236
88 안중근 좌우명 2015-02-16 0 5962
87 번자체와 간자체 2015-02-15 0 7661
86 닮은 꼴 비슷한 국기들 2015-02-15 0 6540
85 살림 지혜 모음 2015-02-15 0 6767
84 생활상식 180가지 2015-02-15 0 5716
83 삶과 6가지 진실 2015-02-15 0 5482
82 남자를 파는 가게 2015-02-15 0 6361
81 마음속에 새겨두라... 77가지 2015-02-15 0 6214
80 세계속 지페에 오른 녀성들 2015-02-15 1 5840
79 짧은 자서전 2015-02-15 0 6444
78 황금단어 51개 2015-02-15 0 5807
‹처음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