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민속] - 뚝배기
2020년 04월 07일 22시 26분  조회:3814  추천:0  작성자: 죽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뚝배기

 

 

유형 물품
성격 생활용품, 식기
용도 식기

목차

  1. 정의
  2. 내용

정의

찌개나 지지미를 끓일 때 또는 설렁탕·육개장·삼계탕과 같은 것을 담을 때 쓰는 토속적인 그릇의 하나.

내용

크기는 대·중·소의 여러 가지가 있고, 아주 조그맣고 밥공기만하게 만들어 달걀을 쪄 그대로 상에 올리는 알뚝배기도 있다.

뚝배기는 오지그릇으로 된 것도 있고, 질그릇으로 된 것도 있다. 오지뚝배기는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다흑색()의 잿물을 입혀 다시 구워 만든 것으로, 검붉은 윤이 나고 질긴 것이 그 특징이다. 반면에 질뚝배기는 오지뚝배기처럼 만드나 잿물을 입히지 않은 것으로 겉면이 태석태석하고 윤기가 없다.

이러한 질뚝배기는 신석기인들이 만들어 쓰던 즐문토기()에서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로 이어지던 고대의 토기 공정()이 거의 그대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오지뚝배기는 고대토기에서 한단계 발전한 김해토기를 거쳐, 8세기를 전후한 통일신라기에 토기에다 유약을 바르는 수법이 이어진 것이다.

뚝배기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중부지방의 것은 큰 뚝배기의 경우 깊이가 약 10∼15㎝ 정도로 깊으며 구경()보다 저변()이 약간 좁고 측면도 직선을 이룬다.

또한 알뚝배기는 배 부분이 오긋하게 퍼진 곡선형으로 되어 있다. 반면에 동해안의 것은 깊이가 얕고 국대접의 주둥이를 오무려 놓은 것처럼 배부분이 둥글게 곡선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뚝배기는 그 자체에 열을 가하여 조리할 수 있고, 뜨거운 음식물을 담아도 그릇의 표면이 그다지 뜨겁지 않아 쓰기에 편리하다. 또한 음식물이 잘 식지 않아 기름기 있는 음식을 담아 먹기에 좋다.

한편 우리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 중에 뚝배기찌개란 것이 있는데, 바로 이 뚝배기에 쌀뜨물을 부어 된장을 풀어서 뚝배기에 걸맞게 탁하게 끓인 음식이다. 이 음식은 뚝배기 그대로 밥상에 올리는 것이 우리의 풍속이다.

밥상에 올린 뚝배기찌개는 반드시 어른이 먼저 수저를 댄 뒤에 먹어야 하며, 동시에 한꺼번에 두 수저가 들어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손윗 사람이 먼저 찌개를 뜰 수 있게 손아랫 사람이 잠시 멈추는 것이 예의요 미풍이다. 뚝배기는 이렇듯 지금도 우리 곁에서 우리의 정서를 대변해 주는 대표적인 식기로 남아 있다.

참고문헌

  • 『한국의 과학사』(전상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 『한국민속대관』 2(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 『한국식생활사』(강인희, 삼영사, 1990)

관련이미지 6

뚝배기

뚝배기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뚝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e뮤지엄

뚝배기

 

 

국적 > 시대 한국 > 광복이후()
재질 토제()
크기 지름 18.8 높이 9
용도 · 기능 식 > 취사 > 취사 > 뚝배기
소장처 목아박물관
유물번호 도(도) 000010-000

<정의>

찌개를 끓이거나 조림을 할 때쓰는 오지그릇. 뚝배기

<일반사항 및 특징>

지방에 따라 툭배기 · 툭수리 · 툭박이 · 투가리 · 둑수리 등이라고도 한다.한국 재래의 그릇으로서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토속적인 그릇인데, 크기는 대 · 중 · 소와 물이 1/2~1컵 들어가는 알뚝배기 등 다양하다. 흑갈색 잿물을 칠하고, 겉모양은투박하고 안쪽은 매끄러운데, 지역에 따라서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중부 지방의 뚝배기는 깊이가 깊고(약 10~15cm) 지름보다 밑바닥이 약간 좁으며 측면은 직선형을 이루는데, 알뚝배기는 대개 배가 퍼진 곡선형이다.

동해안 지방의 것은 깊이가 얕고 배가 둥글게 곡선을 이루어서 마치 국대접의 주둥이를 오므려놓은 것 같은 모양이다. 중부 지방과 동해안 지방의 뚝배기 모양의 차이는 빗살무늬토기[]에서 민무늬토기[]로 이어진 시대의 바리형[] 토기 유물에 있는 기형()의 차이와흡사하다. 뚝배기는 냄비처럼 빨리 끓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일단 뜨거워진 것은 쉽게식지 않으므로, 겨울철에 찌개 · 설렁탕 등 따끈한 음식을 담는 데 좋다.

관련이미지 6

뚝배기

뚝배기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뚝배기 (e뮤지엄)

 

두산백과

뚝배기

 

 

요약 찌개를 끓이거나 조림을 할 때 쓰는 오지그릇.
해물뚝배기

해물뚝배기

지방에 따라 툭배기 ·툭수리 ·툭박이 ·투가리 ·둑수리 등이라고도 한다. 한국 재래의 그릇으로서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토속적인 그릇인데, 크기는 대 ·중 ·소와 물이 1/2~1컵 들어가는 알뚝배기 등 다양하다. 흑갈색 잿물을 칠하고, 겉모양은 투박하고 안쪽은 매끄러운데, 지역에 따라서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중부 지방의 뚝배기는 깊이가 깊고(약 10∼15cm) 지름보다 밑바닥이 약간 좁으며 측면은 직선형을 이루는데, 알뚝배기는 대개 배가 퍼진 곡선형이다. 동해안 지방의 것은 깊이가 얕고 배가 둥글게 곡선을 이루어서 마치 국대접의 주둥이를 오므려놓은 것 같은 모양이다. 중부 지방과 동해안 지방의 뚝배기 모양의 차이는 빗살무늬토기[]에서 민무늬토기[]로 이어진 시대의 바리형[] 토기 유물에 있는 기형()의 차이와 흡사하다. 뚝배기는 냄비처럼 빨리 끓지 않는 단점이 있지만 일단 뜨거워진 것은 쉽게 식지 않으므로, 겨울철에 찌개 ·설렁탕 등 따끈한 음식을 담는 데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뚝배기 (두산백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57 천재적인 건축가 비참하게 죽다... 2016-11-02 0 4179
556 100여년간 오로지 입장료와 모금으로만 짓고 있다니... 2016-11-02 0 5155
555 자기가 설계한 건축물 안에 묻히기까지... 2016-11-02 0 5237
554 인간이 만든 최고의 조형물 - 작품은 긴 시간의 결과물 2016-11-02 0 4432
553 가수는 청중이 들은것을 믿게 만들어야... 2016-11-01 1 4792
552 프랑스 문학계에서 가장 유명한 권총 2016-11-01 0 5602
551 [시문학소사전] - 상징주의란? 2016-11-01 0 5334
550 [시문학소사전] - 산문시란? 2016-11-01 0 5616
549 [려행] - "새 7대 불가사의" 2016-11-01 0 4873
548 [려행] - 석유를 팔아 세계 최고를 만들다... 2016-11-01 0 5705
547 [려행] - 한번 건너 보고싶은 대교 2016-11-01 0 4615
546 [쉼터] - 불교경전을 알아보다... 2016-11-01 0 6297
545 언어라도 "통일" 되였으면... 2016-11-01 0 4772
544 [쉼터] - 알아두면 좋은 말 78 2016-11-01 0 5918
543 민족의 성산 ㅡ 백두산 2016-11-01 0 6005
542 력대 노벨상을 거부한 사람은 무슨 리유?... 2016-10-31 0 4110
541 [쉼터] - 대만으로 가보고싶다... 2016-10-30 0 6934
540 고향시단소식 한토리 - 시가 물결과 함께 구겨지고 펴진다... 2016-10-30 0 5912
539 자기 자신만의 별을 따라가야 한다... 2016-10-29 0 4206
538 "록" 2016-10-29 0 3937
537 비영리적인 목적으로 시를 공유하는 활동에는 반대의견이 없다. 2016-10-28 0 3838
536 [쉼터] - 화투 48 2016-10-28 0 4530
535 로마 신화 전쟁의 신 - 마르스 2016-10-28 0 6168
534 그리스 신화 전쟁의 신 - 아레스 2016-10-28 0 6629
533 고향문화소식 ㅡ 꽃상여 나간다... 상사듸여, 상사듸여... 2016-10-26 0 3946
532 프랑스 철학자 해체주의자 - 데리다 2016-10-25 0 6208
531 [쉼터] - 커피라는 눔은 어떠한 놈팽이라구라... 2016-10-23 0 4370
530 [록색문학평화주의자]= 아무르 호랑이 = 백두산호랑이 2016-10-21 0 4216
529 [쉼터] - 올림픽과 년금 및 포상금 2016-10-20 0 4076
528 [쉼터] - 어원이 무서운 "도무지" 2016-10-20 0 4477
527 [취미] - 술, 술, 그리고 술 2016-10-20 0 5002
526 [취미] - 바둑 단수 2016-10-20 0 4023
525 날개 달린 "혀의 시인" - 책이여! 빠이빠이~... 2016-10-20 0 4850
524 ~&~&~ 2016-10-19 0 4816
523 ~@~@~ 2016-10-19 0 7771
522 "록", ㅡ미치광이가 머리속에 들어 있다... 2016-10-19 0 5068
521 먼 길을 왔고 가야 할 먼 길을 막 출발하다... 2016-10-19 0 4252
520 마음을 음악으로 표현하는 실험은 그치지 않았다... 2016-10-19 1 5695
519 와인 한병, 재떨이, 그리고 물만 요청한 음유시인 2016-10-19 0 6400
518 "문학에 대한 경고!!!" ㅡ 노래가 곧 詩, 詩가 곧 노래 2016-10-19 0 5299
‹처음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