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조선 후기 시인 - 김택영
2019년 12월 06일 22시 18분  조회:4569  추천:0  작성자: 죽림

한국문학

김택영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인.국내의 문인으로는 시에서는 신위(申緯), 산문에서는 박지원(朴趾源)을 가장 높이 평가하였는 바, 신위와 박지원이 시와 산문 분야에서 각기 조선 제1의 대가로 인정받게 된 데는 김택영의 노력이 크게 작용하였다. 중국에 망명해서는 ≪신위시집≫과 ≪여한구가문초 麗韓九家文抄≫등을 편찬하여 한국 한문학의 진수를 중국에 알리는데 공헌하였으며, 지기인 이건창과 황현의 문집을 편집하는 한편 망국의 한을 노래한 다수의 시편을 남겼다. 김택영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그의 고려 유민(遺民)의식이다. 이는 조선 5백년 동안 외면 당해온 개성인의 의식세계를 대변하는 것이기도 했다.
출생 - 사망 1850년 ~ 1927년
이명  : 우림()
 : 창강()
이칭 : 소호당()
본관 화개()
시대 철종1
가족관계 아버지 : 김익복()

조선 후기의 문인, 학자. 본관은 화개(), 자는 우림(), 호는 창강(), 당호는 소호당(). 개성 출신으로 개성부() 분감역() 익복()의 둘 째 아들이다.

소년 시절부터 시장에서 이름을 떨쳤고 17세에 성균초시()에 합격하기도 하였으나, 개성인을 등용하지 않는 조정의 정책과 무반 가계라는 신분상의 제약 때문에 급제하지 못하였다. 20대 초반에 서울에 와서 이건창()과 교유하기 시작하면서 문명이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황현()과 더불어 신헌()의 아들인 신정희()의 식객 노릇을 하며 지냈다. 1883년 김윤식()의 소개로 당시 서울에 와 있던 중국의 진보적 지식인인 장건()을 알게 되었는데 장건은 뒷날 김택영의 중국 망명을 주선하게 된다.

1891년 여론의 압력으로 진사시에 급제하여 가문의 오랜 숙원을 풀었다. 그 뒤 갑오경장으로 벼슬길이 열려 1894년 편사국주사(), 1895년 중추원 서기관(), 1903년 문헌비고 속찬위원()으로 임명되어 통정대부에 오르고 1905년 학부 편집위원이 되었으나 곧 사직하였다. 1908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장건의 주선으로 남통()에 있는 출판사에서 교정일을 보는 것으로 생계를 해결하였다.

김택영은 시와 문이 모두 대가의 반열에 드는 우리나라의 몇 안되는 문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중국에 망명한 뒤에도 국내의 문단과 끊임없이 교류하며 한문학 분야의 정신적 지도자 역할을 하였으며 망명지 중국에서는 우리나라 한문학을 중국에 소개하는데 진력하는 한편 그와 교유한 남방의 문인들로부터 양계초()에 필적하는 대가로 인정받았다. 김택영은 청나라의 시인 왕사정()에게 깊이 경도하여 그의 신운설()을 자신의 문학론으로 소화하여 시창작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산문에서는 명나라의 귀유광()을 모범으로 삼고 자신의 독자적 문체를 개발하는데 진력하였다.

또한 국내의 문인으로는 시에서는 신위(), 산문에서는 박지원()을 가장 높이 평가하였는 바, 신위와 박지원이 시와 산문 분야에서 각기 조선 제1의 대가로 인정받게 된 데는 김택영의 노력이 크게 작용하였다. 중국에 망명해서는 ≪신위시집≫과 ≪여한구가문초 ≫등을 편찬하여 한국 한문학의 진수를 중국에 알리는데 공헌하였으며, 지기인 이건창과 황현의 문집을 편집하는 한편 망국의 한을 노래한 다수의 시편을 남겼다. 김택영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그의 고려 유민()의식이다.

이는 조선 5백년 동안 외면 당해온 개성인의 의식세계를 대변하는 것이기도 했다. 김택영은 중국인들에게 한국 역사를 소개할 목적으로 ≪한사경 ≫를 저술하였는데 이 책에서 이성계의 건국을 부정적으로 기술하여 국내에서 많은 물의가 야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개성 출신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의 행적을 수집하여 ≪숭양기구전 ≫을 집필한 것도 이 고려 유민의식의 발로라고 할 수 있다. 저서로는 ≪한국소사 ≫, ≪한사경 ≫, ≪교정삼국사기 ≫가 있고 시문집으로는 ≪창강고 稿≫와 ≪소호당집 ≫이 있다.

경력사항

  • 성균초시(城均初試)에 합격
  • 1891년 ~ 진사시에 급제
  • 1894년 ~ 편사국주사(編史局主事)
  • 1895년 ~ 중추원 서기관(中樞院書記官)
  • 1903년 ~ 문헌비고 속찬위원(文獻備考續撰委員)으로 임명되어 통정대부에 오름
  • 1905년 ~ 학부 편집위원

관련이미지 4

  • 김택영(1850-1927) 
  •  
  • 한사경 
  •  
  • 소호당집 
  •  
  • 소호당집 
  •  
  •  
  •  
  •  
  •  
  •  
  •  
  •  
김택영(1850-1927)

김택영(1850-1927)1850(철종 1)-1927. 조선 말기의 학자. <동아일보사 제공>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김택영 [金澤榮] (네이버고전문학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택영

 

金澤榮 ]

김택영(1850-1927)

1850(철종 1)-1927. 조선 말기의 학자. <동아일보사 제공>

이칭별칭  우림(于霖),  창강(滄江) 소호당주인(韶濩堂主人)
유형 인물
시대 근대
출생 - 사망 1850년(철종 1) ~ 1927년
성격 학자, 시인
출신지 개성
성별
본관 화개

정의

조선후기 『한국역대소사(韓國歷代小史)』·『한사경(韓史綮)』·『창강고(滄江稿)』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화개(花開). 자는 우림(于霖), 호는 창강(滄江), 당호는 소호당주인(韶濩堂主人). 경기도 개성 출생. 아버지는 개성부(開城府) 분감역(分監役) 김익복(金益福)이고, 어머니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윤희락(尹禧樂)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소년시절부터 고문과 한시를 공부해서 1866년(고종 3) 17세의 나이로 성균초시(成均初試)에 합격했다. 20대 전후에 이건창(李建昌)과 교유를 가지면서 문명(文名)을 얻기 시작했다. 34세인 1883년(고종 20) 김윤식(金允植)의 추천으로 당시 서울에 와 있던 중국의 진보적인 지식인 장첸[張騫]과 알게 되었다. 장첸은 그의 시문을 격찬했다.

1891년(고종 28)에 42세로 진사가 되고, 1894년(고종 31) 편사국주사(編史局主事), 1895년(고종 32) 중추원서기관(中樞院書記官)을 지내고 이듬해 낙향했다. 1903(광무 7)년 다시 홍문관 찬집소(纂集所)에 보직되어 『문헌비고』속찬위원(續撰委員)으로 있으면서 통정대부에 올랐다.

1905년(광무 9) 학부 편집위원이 되었으나, 이 해 겨울에 사직했다. 을사조약으로 국가의 장래를 통탄하다가 1905년(광무 9)중국으로 망명하였다. 양쯔강[揚子江] 하류 난퉁[南通]에서 장첸의 협조로 출판소의 일을 보는 것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이 시기에 그는 창작활동과 병행해서 한문학에 대한 정리·평가와 역사 서술에 힘을 기울였다.

한편, 이승만(李承晩) 등과 관계가 있어 중화민국정부에 우리나라 독립 지원을 요청하는 진정서를 썼다. 중국의 계몽사상가인 량치차오[梁啓超]·장핑린[章炳麟] 등과도 교유가 있었다.

김택영은 한문학사의 종막을 장식하는 대가로서 시에서의 황현(黃玹)과 문(文)에서의 이건창과 병칭된다. 그는 고문가(古文家)로서 문장일도(文章一道)를 주장하였으며, 우리나라 고문의 전통과 맥락을 독자적으로 체계화시켰다.

이것이 『여한구가문초(麗韓九家文鈔)』이다. 그의 시는 호방하고 화려하여 신운(神韻)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중국 망명 이후에는 주로 우국적인 시작품을 많이 썼다. 특히, 망국의 한을 작품 속에 담아 내어 지식인으로서의 고뇌를 표출 하였다. 「오호부(嗚呼賦)」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그의 역사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문은 명나라의 귀유광(歸有光)과 박지원(朴趾源)의 문장을 좋아하여 웅혼한 기상이 있다. 저서로는 『한국역대소사(韓國歷代小史)』·『한사경(韓史綮)』·『교정삼국사기(校正三國史記)』 등이 있고 시문집으로 『창강고(滄江稿)』와 『소호당집(韶濩堂集)』이 있다.

상훈과 추모

2018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기려수필(騎驢隨筆)』
  • 「김택영전 연구」(이상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2)
  • 「창강 김택영론」(오윤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
  • 「영재 이건창과 창강 김택영의 고문관」(김도련,『한국학논총』3, 국민대학교, 1980)
  • 「개화기의 한문학」(민병수,『국어국문학』68·69, 1975)
  • 「근한한문학에 대한 일고찰」(권오돈,『인문과학』5, 1960)

관련이미지 3

  • 한사경 
  •  
  • 소호당집 
  •  
  • 소호당집 
  •  
  •  
  •  
  •  
  •  
  •  
  •  
  •  
  •  
  •  
한사경

한사경

이미지 갤러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詩有聲先而意隨者如明月松間照若就明字易以皎字或寒字可能有天然之意乎亦有意先而聲隨者如愁思看春不當春若將一春字作椿字讀則雖利口必不能諧律矣

시에는 먼저 소리가 있고 뜻이 따라가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명월송간조(밝은 달이 소나무 사이를 비춘다)”에서 자를 나 으로 바꾼다면 천연의 뜻이 있지 않겠는가마는 그것은 또한 뜻이 먼저요 소리가 따르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추사간춘부당춘(시름겨운 생각에 봄을 보아도 봄인 것 같지 않다)”에서 만약  한 글자를 가져다가 椿으로 하여 읽으면 비록 발음에는 이롭겠지만 반드시 음률에는 맞지 않는다.

 

吾邦盖在上古之世只有方言而無文字其有文字自箕子始則吾邦字音卽箕子之所授也而今其字音與中國大異而小同者何吾嘗思之盖始同而後變耳安徽王饒生聞余讀書曰某字某字是中國之古音夫中音有古今之變則東音何獨不然故今之不同者卽互失其本音故也惟吾邦入聲字音似與中國絶異然徐而尋之特其音太猛而已亦未甞絶異也

우리나라는 대개 상고때에 단지 방언만 있고 문자는 없었다. 문자가 있게 된 것은 기자로부터 시작하니 우리나라 글자의 음은 기자에게 받은 것이다. 그런데 지금 그 글자의 음이 중국과 매우 다르고 같은 것은 거의 없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내가 생각해 보니 대개 처음에는 같다가 나중에 변했을 뿐이다. 안휘의 왕요생이 내가 글 읽는 것을 듣더니 말하기를 무슨 무슨 글자는 중국의 고음입니다.”하였다. 무릇 중국의 음이 고금의 변화가 있었으니 우리나라 음이 어찌 홀로 그렇지 않겠는가? 서로 그 본음을 잃어버린 까닭이다. 오직 우리나라의 입성 글자의 음은 중국과 완전히 다르지만, 천천히 찾아보면 특별히 그 음이 매우 사나울 뿐이지 또한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23 조숙한 동성련애자 천재 시인 - 랭보 2017-12-27 0 8132
2122 빈민굴 하숙방에서 쓸쓸하게 운명한 "시의 왕" - 폴 베를렌느 2017-12-26 0 4596
2121 영국 시인 - 월터 드 라 메어 2017-12-21 1 4155
2120 재래식 서정시의 혁신파 시인 - 정현종 2017-12-14 0 6309
2119 100세 할머니 일본 시인 - 시바타 도요 2017-12-12 0 4815
2118 어학교사, 번역가, 유대계 시인 - 파울 첼란 2017-11-19 0 5794
2117 [타삼지석] - "세계평화와 인간의 존엄성을 확인하는 발신지"... 2017-10-28 0 4148
2116 시창작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시를 쓰겠다는 의지이다... 2017-08-28 2 4044
2115 문단에 숱한 화제를 뿌린 "괴짜 문인들"- "감방" 2017-08-22 0 3967
2114 윤동주는 내성적으로 유한 사람이지만 내면은 강한 사람... 2017-06-09 0 3837
2113 터키 리론가 작가 - 에크렘 2017-05-31 0 4449
2112 터키 혁명가 시인 - 나짐 히크메트 2017-05-31 1 4480
2111 프랑스 상징주의 시인 - 말라르메 2017-05-24 0 6980
2110 프랑스 시인 - 로트레아몽 2017-05-24 0 5751
2109 프랑스 시인 - 아폴리네르 2017-05-24 0 5513
2108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 2017-05-24 0 10371
2107 아르헨티나 시인, 20세기 중남미문학 대표자 - 보르헤스 2017-05-13 0 5337
2106 시인 윤동주 "생체실험"의 진실은?... 2017-05-08 0 6056
2105 스웨덴 국민시인 - 토마스 트란스 트뢰메르 2017-05-07 0 5377
2104 모택동 시가 심원춘. 눈 2017-05-07 0 4109
2103 꾸청, 모자, 시, 자살, 그리고 인생... 2017-05-07 0 4826
2102 중국 현대시인 - 고성(꾸청) 2017-05-07 0 4687
2101 리백, 술, 낚시, 시, 그리고 인생... 2017-05-07 0 4444
2100 중국 현대시인 - 여광중 2017-05-07 0 5283
2099 중국 현대시인 - 변지림 2017-05-07 0 4895
2098 중국 현대시인 - 대망서 2017-05-07 0 4241
2097 중국 현대시인 - 서지마 2017-05-07 0 3640
2096 중국 현대시인 - 문일다 2017-05-07 0 5154
2095 중국 명나라 시인 - 당인 2017-05-06 0 4753
2094 러시아 국민시인 - 푸슈킨 2017-05-05 0 4764
2093 미국 시인 - 로웰 2017-05-01 0 4758
2092 미국 시인 - 프로스트 2017-05-01 0 4612
2091 미국 시인 - 윌리엄스 2017-05-01 0 5582
2090 시법과 글쓰기 2017-05-01 0 3761
2089 미국 녀류시인 - 힐다 둘리틀 2017-05-01 1 5243
2088 영국 시인 - 크리스토퍼 말로 2017-05-01 0 5403
2087 아이랜드 시인 - 잉그럼 2017-05-01 0 4828
2086 프랑스 시인 - 장 드 라 퐁텐 2017-04-24 0 5322
2085 [고향문단소식]-화룡출신 "허씨 3형제" 유명작가로 등록되다... 2017-04-24 0 4400
2084 중국 북송 시인 - 황정견 2017-04-21 0 4630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